"청년, 자기 삶의 연구자가 되다" 청년허브 공모연구보고서(2016년)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 작성일 : 2017.04.18 / 수정일 : 2017.04.18



<목차>
1. ‘청년세대’ 담론 속에 없어진 ‘청년 퀴어’의 삶 드러내기-청년으로서의 독립, 퀴어로서의 불안- (강동희, 이권우, 이연학)
2. 대형 복합 상업시설과의 결합을 통한 청년문화공간의 지속성, 다양성 확보 (김예람, 박재우, 이지윤)
3. 학자금 대출로 발생하는 삶의 불안을 감축시키기 위한 정책대안 모색: 상환과 삶의 안정성, 그 균형을 위하여 (강지원, 남궁정, 한상규)
4. 신문 아카이브를 통해 본 청년 주거사: 1970년대부터 2016년까지 주택 정책의 흐름을 중심으로 (마민지, 김예빈)
5. 청년창작자들이 만드는 도시형장터의 양적, 질적 현황조사 (박주연, 정은빈, 류덕희, 송효웅)
6. 예술인 지원의 사각지대 극복을 위한 대안적 창작공간 공급모델 연구 (백지연, 김소령, 최윤하)
7. 조건없는 공적 재정지원을 받은 청년들의 삶 경험 탐구: 삼선재단 지역청년활동가 인턴십과 성남시 청년배당 참여자를 중심으로 (송하진, 우성희)
8. 청년 주거지로서 1세대 아파트의 가능성 탐색 (이다솔, 황서연)
9. 2016년 남성중심적 대학문화와 변주하는 여성성: 성균관대학교와 서강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정서인, 류희정, 이영해, 장수지, 조훈제)
10. 나는 여성인가, 장애인인가, 청년인가: 여성장애청년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홍서윤, 문영민)
11. 결혼하지 않는 가족 – 2,30대 청년 비혼 청년문화를 중심으로 (기경서, 윤유리, 이예진, 이준영, 황윤지) 


 # 청년 당사자가 스스로 청년의 삶을 연구하고, 청년의 삶을 개선시키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한 "청년, 자기 삶의 연구자가 되다" 2016년 공모연구보고서입니다. 교수와 박사, 전문연구원이 아니라 삶을 직접 살아가는 청년들이 머리를 맞대 만들어낸 성과물입니다. 청년의 목소리가 정부와 지자체, 사회, 나라에 영향을 미쳐, 청년이 불안정하지 않고 불안해하지 않으며 불평등하지 않게 살 수 있는 세상을 그려봅니다.
 # 원문 출처 및 연구보고서 PDF 전문 보기 : 청년허브(https://youthhub.kr/hub/17952)


글쓴이 _쑥
서울시NPO지원센터 아카이브 큐레이터. 봄철에 먹는 향긋한 쑥국을 좋아합니다.
한국여성의전화에서 진행하는 20대 여성인권활동가 아카데미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 페미니즘, 소수자에 관심이 많습니다.

작성자 : / 작성일 : 2017.04.18 / 수정일 : 2017.04.18 / 조회수 : 2360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