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O활동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NPO 자료와 사례를 모으고 생산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하고, 시민들에게 체험적 공간으로서 NPO와 시민들의 연계지점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은 무엇일지, 만약 'NPO도서관'이라는 형태로 만든다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상상해보기 위한 연구입니다.
시민들의 공익활동을 촉진하고, NPO의 사회적 영향력과 가치 인정을 확산하기 위해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공간조성의 전략을 모색하고, NPO도서관이라는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전통적 개념의 도서관이 아닌 복합공간(가칭, 소셜뮤지엄social museum 형태)으로서의 새로운 융합적인 모델과 역할을 상상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 조사 및 NPO 현장활동가/전문가 인터뷰 내용을 함께 담았습니다.
NPO도서관 조성을 위한 공간개념 연구 개요
■ 연구기간_2018년 10월 ~ 12월
■ 연구목적
- NPO 활동자료들을 효율적으로 발굴-저장-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스 도출
- 시민들에게 사회적 이슈 및 관련 활동들을 체험-논의-실행해보는 복합공간으로서의 NPO도서관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 도출
■ 연구책임자_최소연, 장문경, 김은영, 강혜민, 홍아영
■ 목차
1. 서론
⑴ 연구 배경 및 목적① 연구 배경
② 연구 목적
⑵ 연구 범위 및 방법
2. 서점과 도서관의 변화
⑴ 서점의 변화
⑵ 도서관의 변화
① 지역성과 전문성을 담는 특별한 공간
② 수요자의 욕구를 담아내는 복합공간
③ 도시를 살리는 문화공간
④ 사회적 기억을 담는 박물관
⑤ 현대 기술의 집합체
⑥ 장소성과 결합하는 기념비적 공간
3. NPO도서관 운영 사례
⑴ 국내 운영 사례
① 희망제작소 NPO정보센터
② 성평등도서관 여기
③ 천안NGO도서관/충북NGO도서관
④ 나눔문화 컬렉션
⑵ 해외 운영 사례
① 미국 Foundation Center
② 일본 NPO도서관
③ 타이완 자선사업 정보센터
4. NPO도서관의 필요성
⑴ NPO 자료 저장 및 활용의 한계와 문제점
⑵ 시민의 힘으로 변화하는 도시를 담는 역사적 공간
⑶ NPO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보는 전문도서관에 대한 요구
⑷ NPO와 시민들의 접점을 만들어내는 체험적 공간
5. NPO도서관의 성격
⑴ NPO도서관의 개념
⑵ NPO도서관의 내용
① NPO의 과거와 현재를 알 수 있고,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곳
② ‘Social’을 실현하는 도서관
③ ‘Action’이 있는 도서관
④ 작은 사물을 아카이브하는 도서관
⑤ 사서가 보이는 도서관
⑥ 감각의 중추(네트워크 허브)가 되는 도서관
6. NPO도서관 조성을 위한 제안
⑴ 절차적 제안
⑵ 인적 제안
⑶ 프로그램의 제안
⑷ 공간적 제안
7. 결론
참고문헌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