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활동이 우리 사회에 일으킨 긍정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의도하는 변화, 즉 사회성과가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해서 명확하게 상을 그려야 합니다. 또한 그 성과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하위 성과와 활동 결과, 활동 간의 관계가 논리적으로 타당해야 합니다. <변화이론>은 변화의 구체성, 인과성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성과측정을 위해 기획단계, 성과관리 단계, 평가 단계에서 <변화이론> 또는 그와 유사한 논리관계틀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변화이론>은 변화와 변화에 이르는 다각적 측면을 보여주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간주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변화이론> 설계 과정에서 참여자의 활동을 촉진을 돕기 위해서 퍼실리테이터가 어떤 역할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변화이론> 퍼실리테이터 안내서를 소개합니다.* |
*가능한 자세한 내용을 전달 드리기 위해서, 해당 글은 총 3회에 걸쳐 소개됩니다.
**이 글은 <변화이론>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회적 기업인 액트놀리지(ActKnowledge)가 2012년에 배포한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지침서인 <Facilitator’s Source Book – Source Book for Facilitators Leading Theory of Change Development Sessions>의 일부를 번역·편집하였습니다. 인용 및 배포 시 원문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퍼실리테이터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변화이론> 주요 개념
항목 | 설명 |
‘장기목표/사회성과’* (Impact) | 지역사회 또는 사회에 프로그램/활동이 미치는 영향 |
‘성과/활동성과/단기성과’** (Outcome) |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달성해야 할 하위 ‘성과’ 활동으로 발생한 산출결과가 일으킨 변화 |
‘사전 조건’ (Precondition) |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다음 단계의 ‘성과’가 실현되기 위해서 달성할 필요가 있는 하위 ‘성과’ |
‘경로’ Pathway | ‘성과’ 간, 또는 ‘산출물’과 ‘성과’ 간의 (인과적) 관계 ※‘경로’ 파악을 위한 질문 - 왜 주어진 ‘사전조건’ 또는 ‘단기 성과/활동 성과’가 그 윗 단계의 ‘성과’를 도출한다고 생각하는가? ‘단기 성과/활동 성과’가 상위 단계의 ‘성과’에 도달하는데 ‘사전 조건’으로서 왜 필요한가? (성과 간의 인과관계 고찰) - 기획 과정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는 성과(들)을 방해하는 장애요소가 있는가? |
*Long-term Outcomes = Social Impact, Impact (장기성과, 사회성과, 사회적 영향)
**Short-term Outcomes = Outcomes (단기성과, 활동성과, 성과)
퍼실리테이터 사전 준비사항
1. 당신이 이끌 <변화이론> 과정이 준비된 목적을 이해한다.
- 기획 단계인가?, 수행 단계인가? 평가 단계인가? 조정 단계인가?
- 당신이 반드시 다뤄야할 요소가 이미 있는가? 아니면 백지 상태인가?
2. 필요한 “사전 작업”이 완료 되었는가?
- 해결할 문제를 알 수 있는 사실 정보를 확인, 준비 등
3. 핵심 행위자와 존재하는 의제를 미리 인지한다.
- 핵심 의사결정자가 누구인가? 핵심 의사결정자가 <변화이론> 진행과정에 참여하도록 확실히 합니다.
- 핵심 의사결정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어떤 이슈들이 있는지 사전에 이해합니다.
- 핵심 의사결정자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동일 내용)를 사전에 준비합니다.
4. 적절한 참여자의 수는 얼마인가?
- 다양한 관점이 <변화이론>에 담길수록 효과적이기 때문에 참여자 수는 많을수록 좋습니다.
- 세션 당 6~8명 정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5. 첫 번째 미팅은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진행해야 하는가?
- 첫 번째 미팅은 3~4시간이 이상적입니다. (최소 2시간 이상)
- 보통 첫 번째 미팅에서 <변화이론>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고, <변화이론> 설계 회의의 규칙을 정합니다.
<변화이론> 회의 규칙 시 고려사항 - 회의 시작 시간 - 다른 의견에 대한 존중과 타인 발언 끊지 않는다는 약속 명시 - 주어진 과제는 주어진 시간 또는 마감기한 내 완료한다는 약속 - 개인적 의제는 보류하되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으로 고려 및 토의 - 의사결정 방법에 대한 합의 1) 전원 일치제 (모두가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토의 지속) 2) ‘준’ 전원 일치제 (합의가 되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경우, 다수결) 3) 다수결제 |
<변화이론> 설계, 세션 별 퍼실리테이팅 활동 내용
세션1: 장기 성과/사회적 영향 Long-term Outcome*
*장기적 성과 = 사회적 영향 (Long-term Outcome = Impact/Social Impact)
1-1 ‘장기 성과’ 찾아내기
- <변화이론>에 도달할 ‘장기적 목표‘/’장기적 성과‘를 명확하게 정의
진행 방식 - 집단 브레인스토밍
‘장기 목표’ 도출을 위한 주요 질문
- 당신의 프로젝트가 성공적이었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당신의 프로젝트의 성공에 대한 신문기사의 헤드라인을 뽑는다면, 무엇이 될 수 있는가?
- 당신의 재정지원자는 어떤 것을 목격하기를 기대하는가?
준비물*
- 포스트잇(대), 전지(대)**
*가능한 충분하게 준비
**[일단 보관]이라고 명명한 전지 1장과 [개입]으로 명명된 전지 1장을 별도로 준비 (브레인스토밍에서 필요함)
퍼실리테이터 역할
- (브레인스토밍 단계) 포스트잇에 생각 적어서 화이트보드에 붙이기 - 유사성에 따른 생각 묶기 - 생각 묶기 과정에서 집단 토의하기 -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아이디어에 대한 합의 도출하기 -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해당 프로젝트의 기간을 분명히 하기* |
*프로젝트 기간에 대해서 집단 내 합의 도출 중요!
1-2 ‘장기성과’ 구체화하기 Crafting the Long-term Outcome
퍼실리테이터 역할
<1단계>
- 모든 회의구성원이 ‘장기성과’를 적도록 유도합니다. - 포스트잇 1장에 아이디어(정의 포함) 1개 작성하도록 안내합니다. |
<2단계>
- 포스트잇을 전지에 붙이고, 유사성에 따라 묶기(그룹핑) - 제시한 아이디어와 그룹핑에 대해서 다른 구성원에게 설명하도록 유도합니다. - 서로 다른 설명 간의 비교를 하며 토론 진행합니다. - “반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는 내용”에 대한 합의가 되도록 진행합니다.* ** |
*합의가 이뤄진 것은 별도로 기록 및 분류합니다.
**유사한 아이디어로 그룹핑 되지 못한 ‘아웃라이어’를 배제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단, ‘아웃라이어’라도 적절해 보인다면 [일단 보관] 전지에 따로 보관)
<3단계>
- 2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장기성과’를 위한 ‘사전 조건’의 기능을 하는 ‘단기성과’를 찾아내도록 유도합니다. - 만약 ‘사전 조건’에 해당하는 ‘단기 성과’를 찾아냈을 경우, ‘사전 조건’이 해당할 수 있는지 토론을 하고 합의를 도출합니다. - 합의 도출 후 해당 ‘단기 성과’를 [일단 보관] 전지에 보관합니다. (분류된 ‘단기 성과’는 세션2 ‘거꾸로 거슬러가기 맵핑’에 활용) |
※ 주의 사항
<3단계>를 거듭해서 반복하는 과정에 새로운 아이디어 또는 수정의견이 나올 수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장기성과/사회성과’는 프로젝트가 최종 완료되는 직전까지 “잠정 합의” 상태입니다.
(계속)
액트놀리지(ActKnowledge)는,
비영리 활동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작동하는가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사회 변화를 위한 실제 활동과 연결짓는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의 사회적 기업입니다. 지역사회 조직/기관, 비영리단체/기관, 비영리재단, 정부 등과 함께 환경, 제도, 공공영역의 바람직한 전환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