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정보 아카이브를 통해서 사회성과 측정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글이 소개되었습니다. 올해 NPO국제컨퍼런스 또한 “변화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를 주제로 다양한 비영리활동이 우리사회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문지식을 공유하는 자리였습니다. 효과적인 비영리활동, 근거에 기반한 합리적 의사결정, 자원의 최적의 활용에 대한 관심은 항상 있어온 주제였지만, 그 중요성이 더욱 커져 갑니다. 이번 스물두번째 기획아카이브는 그동안 <공익정보 아카이브>를 통해서 소개된 “성과측정” “사회성과” “성과관리 및 평가”에 관한 글을 성과측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고, 적용해볼 수 있도록 주요 키워드에 따라 엮어 보았습니다. 사회 곳곳, 다양한 분야, 각양각색의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공익성이 충만한 우리 사회를 위한 여러분들의 활동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사회성과 측정 이해
우리의 활동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활동이 정말 수혜자에게 도움이 되고 있는 것일까? 우리의 자원이 정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일까?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긍정적․부정적 외부효과가 있는 것은 아닐까? 잘못되고 있는 것이 있지는 않을까? 어디에서, 무엇이, 얼마나, 어떻게, 잘못되었을까? 혹은 잘 되고 있는 것일까? ‘성과측정’은 측정이라는 말 때문에 오해를 사기도하지만 모든지 정량화해서 활동을 바라보려는 노력이 아닙니다. 그보다 우리가 하는 활동을 기준점, 준거점, 관찰대상, 추적 대상을 정해 구체적이고 명화하게 살펴보려는 노력입니다. 우리의 위치, 우리의 활동을 수면 위로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지치지 않고, 정말 필요한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입니다. |
#논리 구체화
효과적인 성과측정, 바람직한 성과측정을 위해서는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며, 그 ‘성과’는 무엇을 통해서, 어떤 과정으로, 어떤 조건에서 이뤄지는지에 대한 파악을 해야 합니다. 활동을 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변화가 이뤄지는 것이 아닌,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 ‘정말 필요한 활동’이 무엇인지를 논리적으로 파악해내는 과정을 설계해야합니다. 각 과정에서 인과적으로 중요한 요소와 지점이 파악되어야 의미있는 측정이 가능합니다. |
1. 성과에 대한 이해
- 무엇을 측정해야할까요? 산출물, 성과물, 영향(사회성과) 구별하기
2. 문제 발굴
3. 문제 발굴 사례: 공공공간
-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을까요? - 1부 “공간 내 사람 간 애착 표현(Affection)” 지표
-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을까요? - 2부 “공간 내 무의식적 안락함 표현(Comfort)” 지표
-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을까요? - 3부 “공간 내 즉흥적 표현(Improvisation)” 지표
- 공공공간 평가툴 - 지역공동체 주민을 공간전문가로 만드는 방법
4. 논리모델 구체화 - <변화이론> 중심
#지표 선정 및 개발
의사선생님이 우리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혈압 또는 체온을 측정하듯이,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비영리활동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도 측정이 필요합니다. 지표는 바로 활동의 “건강상태”를 들여다보고,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체온”이자 “혈압”입니다. 지표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
1. 지표 이해
2. 지표 선정/개발 방법
- 사회적 영향력(Impact) 평가를 위한 지표 선정 방법
- 바람직한 지표개발 및 보고를 위한 실천가이드/뉴질랜드통계청/2009
3. 지표 사례
-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영향력 측정지표 개발 연구/한국자원봉사문화/2013
#분석 및 보고
성과측정이 곧 평가가 아닙니다. 성과측정은 평가에 필요한 유의미한 증거를 찾기 위한 방법이고 수단입니다. 평가는 우리의 활동이 정말 ‘원화는 변화’를 일으키는데 효과가 있었는지, 그 인과적 가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바람직했던 것, 부족했던 것 등을 파악하여, 더 나은 활동을 위한 교훈을 얻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교훈을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환류의 과정까지를 말합니다. 논리적 구조를 바탕으로, 지표를 추적․관찰하여 얻은 결과를 어떻게 평가로 이어지게 할 수 있을까요? 성과측정과 평가를 연계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
1. 측정 방법
2. 평가 계획 세우기
- 당신의 사회성과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6가지 단계
-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위한 7가지 단계 (inFocus)
- ‘평가적 사고’를 반영한 평가와 수립 방법 01 – 평가 수립/수행 과정
- 평가적 사고를 반영한 평가 과정 02 – 무엇을 평가하고 싶은가?
- 결과를 현실화시키기 위한 도구, '공식 기반 전략 기획/평가'
[그림 01. 성과측정 기반 비영리활동 영향력 평가 흐름도 예시]
3. 평가/기획 툴
- 계획과 평가를 돕는 무료 온라인 "로직 모델" 툴, Advocacy Progress Planner(APP)
- 사회혁신 평가 툴박스(Social Innovation Evaluation Toolbox) - SIMPACT
4. 응용
-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애드보커시(옹호활동) 성과 모니터링 스텝
- 영상과 스토리텔링을 결합해 의미 있는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툴킷, PVMSC
5. 주의사항
#기타 참고 자료
성과측정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작업인 논리구조 설계는 혼자보다는 5~6명의 소규모 그룹토의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워크숍의 원활한 진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한 활동 안내서를 소개합니다. 또한 성과측정과 관련해서 어떤 고민, 어떤 사례들이 있을까요? 2019년 변화측정을 주제로 개최한 국제NPO 컨퍼런스 자료집을 함께 공유합니다. 마지막으로, 성과측정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관련 도서를 함께 소개합니다. |
1. 변화이론 워크숍 퍼실리테이팅
-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안내서 – 1부: 준비사항, 세션1(‘장기성과’ 설정)
-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안내서 – 2부: 세션 2(경로) & 세션 3(가정&개입)
-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안내서 – 3부: 세션 2(경로) & 세션 3(가정&개입)
2. 사회성과 측정 컨퍼런스 자료집
- 2019 NPO국제컨퍼런스_변화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3. 서울시NPO지원센터 연수 보고
- [사례보고] 캐나다 사회성과 관련 사례조사 및 시사점
4. 사례
-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한 사업 성과 평가 - 오케스트라 사업
5. 관련 도서
- 비영리를 위한 아웃컴 핸드북/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총서10
- 컬렉티브 임팩트 평가 가이드(1): 컬렉티브 임팩트 맥락에 대한 학습과 평가(번역본) - FSG
- 컬렉티브 임팩트 평가 가이드(2): 과정과 임팩트 평가(번역본) - FSG
- 컬렉티브 임팩트 평가 가이드(3): [부록]질문,결과,지표의 예시들(번역본) - FSG
마무리하며...
성과측정에 관해서 내용적 접근보다는 이해하고 바로 활동으로 실천해볼 수 있을 만한 내용들을 소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관련 자료의 대부분이 영어인 점은, 안타깝게도 한국어로 된 성과측정과 관련된 실천 자료, 개념 자료, 사례 등이 부족하다는 한계 때문이었습니다. 이번 기획아카이브를 통해서 성과측정에 대한 환기와 더불어, 실제 사례와 관련 자료가 늘어나길 바라는 마음을 가집니다. |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