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중소기업의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활성화방안연구/한국과학창의재단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SinMás / 작성일 : 2020.06.05 / 수정일 : 2020.06.05
본 보고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 2019년 12월에 공모한 <중소기업의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활동 활성화 방안연구 용역>(이하 본 연구)에 따라 이노소셜랩이 진행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본 연구의 추진목적은 ‘대기업 · 준대기업 대비 인력 및 예산 부족 등의 문제로 사회공헌 활동 추진에 어려움이 있는 중소기업의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촉진 방안 마련을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국내외 중소기업의 과학기술문화분야 CSR활동 선도모델 약 10건을 조사 발굴하고 케이스를 분석해 국내 중소기업의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활동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성을 제언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국내외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본 연구는 아래 사례들의 성공요인을 경영자의 의지, 비즈니스 관련성, 파트너십, 임직원의 참여, 기타(프로그램의 완성도, 지역의 필요성, 시의 적절성 등) 다섯 가지 요소를 꼽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5가지 단계로 제언하고 있습니다;
1. 0단계 : 중장기 관점 비전수립, 단계별 발전과제 제시
2. 1단계_ 기반조성 :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
3. 2단계_중소기업 참여 플랫폼 다양화, 활성화
4. 3단계_실질적인 실행지원 : 3단계(기획, 실행, 지원) 통합적 지원 실행
5. 지속적인 R&D 실행과 사회 이슈화를 통한 선순환 구조 만들기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국내외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본 연구는 아래 사례들의 성공요인을 경영자의 의지, 비즈니스 관련성, 파트너십, 임직원의 참여, 기타(프로그램의 완성도, 지역의 필요성, 시의 적절성 등) 다섯 가지 요소를 꼽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5가지 단계로 제언하고 있습니다;
1. 0단계 : 중장기 관점 비전수립, 단계별 발전과제 제시
2. 1단계_ 기반조성 :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
3. 2단계_중소기업 참여 플랫폼 다양화, 활성화
4. 3단계_실질적인 실행지원 : 3단계(기획, 실행, 지원) 통합적 지원 실행
5. 지속적인 R&D 실행과 사회 이슈화를 통한 선순환 구조 만들기
국내 사례(회사명:CSR프로그램명)
터치포굿: 숨은제비찾기한국 에자이: 헬스케어 헬피웹젠: 코딩공작소 IT인재양성교육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 에코 스트럭처데모 첼린지글로리엔텍: 제 3세계물,에너지개발지원사업국외 사례(회사명:CSR프로그램명)미국의 DOMO: Domo for Good영국의 UK Fast: IT교육센터
독일의 Dold(이원화) 직업기술교육프랑스의 미쉐린: 무브온,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서밋, 유레카 프로젝트일본의 ITOKI: 리빙랩 거실연구소, 어린이 환경 과학 체험 프로그램
[보고서 목차]
제 1 장 연구과제 개요
1절 : 연구목적
2절 : 연구범위와 용어정의
3절 : 연구방법
제 2 장 국내외 현황 조사
1절 : 국내 중소기업 사회공헌 현황
2절 : 국내외 중소기업 사회공헌 선행연구
3절 : 국내 중소기업 사회공헌, CSR 활성화 관련 지원
4절 : 국외 중소기업 사회공헌, CSR 활성화 관련 지원
제 3 장 국내외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우수사례 및 성공요인
1절 : 국내 과학기술 사회공헌 우수사례
2절 : 국외 과학기술 사회공헌 우수사례
3절 :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성공요인
제 4 장 과학기술문화 기업사회공헌 실행 가이드
1절 :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이해
2절 :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활동 실행 프로세스
제 5 장 중소기업 과학기술 사회공헌 활성화 방안 제언
1절 : 중소기업 대표 및 관계자 인터뷰 요약
2절 : 중소기업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활성화 방안 제언
3절 :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코멘트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