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의 경험에서 얻은 성공적 콜렉티브 임팩트를 위한 중심적 가치, 사회적 형평(Equity)
현안과이슈 / by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1.12.10 / 수정일 : 2021.12.10

10년 전 마크 크레이머와 존 카니아 교수는 우리가 직면하는 사회문제 해결 접근 전략으로 문제 중심의 해결, 문제 관련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 문제 해결을 통한 사회적 가치 달성 지향이라는 개념을 골자로 콜렉티브 임팩트라는 개념을 소개하였습니다. 그 이후 지난 10년 동안, 이 개념이 소개된 미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민관 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민관 협치(Collaborative Governance) 등의 이름으로 협의와 협력 기반의 문제 해결 접근이 꾸준하게 진행되었습니다. 10년의 경험 과정에서 10년 전 제시된 콜렉티브 임팩트 필수 요소 5가지와 더불어, 성공적인 콜렉티브 임팩트 사례에서 경험적으로 드러난 사회적 형평지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을 소개합니다. 콜렉티브 임팩트와 사회적 형평의 관계를 짚어보고, 경험적 교훈에서 도출된 5가지 전략을 간단하게 함께 소개합니다.

*이 글은 스탠포드 소셜 이노베이션 리뷰(Stanford Social Innovation Review, SSIR) 2021년 겨울호에 수록된 기고문 “Centering Equity in Collective Impact”의 일부를 발췌하여 번역, 편집한 글입니다. 인용 시 반드시 원문의 출처를 밝혀주세요.

 

원문 바로가기



콜렉티브 임팩트 정의이란,

특정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화하고 합의한 공동의 아젠다에 대해서 서로 다른 분야의 주요 행위자가 형성한 합의와 문제해결 실천 약속 (Mark Kramer & John Kania)

 

콜렉티브 임팩트 필수 요소 5가지

1. 공동의 아젠다 A common agenda

2. 측정 방법 공유 Shared measurement

3. 상호 강화 활동 Mutually reinforcing activities

4. 지속적인 의사소통 Continuous communication

5. 핵심 실행 그룹 A “backbone” team


▶관련 글 
[이슈소개] 콜렉티브 임팩트에 필요한 사전조건 바로가기

[사례소개] 콜렉티브 임팩트를 반영한 활동을 만드는 8가지 요소 바로가기



(이미지 출처: Julia Schwarz, SSIR Winter 2021)


10년의 경험 속에서 도출된 콜렉티브 임팩트 재정의

콜렉티브 임팩트란, ‘사회적 형평달성을 향해 노력하는 지역사회 구성원, 기관과 조직, 행정 등이 사회구조적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 서로를 피드백 하며 학습하고 개선하면서, 공동으로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맞춰 서로의 활동을 서로 조응하는 네트워크 활동

 

사회적 형평이란,

사회적 기회, 소득, 대표성에서 나타나는 불공평함을 시스템적 차원에서 진단하고 평가해서 이러한 불공평함을 바로잡는 것으로 통해 달성하는 사회적 공정과 정의를 사회적 형평이라고 함. (Urban Strategies Council)

 

사회적 형평을 지향하는 콜렉티브 임팩트란,

지역사회의 구성원의 경험을 듣고, 조밀한 지역 정보를 수집하면서 지역사회에서 어떤 인구 집단이 사회 구조적으로 가장 소외되는지를 이해하고, 소외된 집단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이들 집단과 함께 활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회적 형평을 지향하는 콜렉티브 임팩트는 지역사회 내 소외된 집단이 겪는 경험이 그들을 돕는 기관과 개인이 가진 경험과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문제를 정의할 것을 요구합니다.

 

즉 우리는 해당 사회적 문제에 있어 외부자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실행자인 우리가 대상 소외 집단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우리 활동이 효과적인지 충분하게 알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우선해서 해야 할 활동으로 대상 집단과 대화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배울 것을 요구합니다.

 

사회적 형평을 지향하는 콜렉티브 임팩트는 지속가능한 문제 해결 효과를 얻기 위해서 단지 특정 문제에 대응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서비스를 추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보다 문제의 기저에 자리한 시스템적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중점을 둡니다. 그렇기 때문에 콜렉티브 임팩트 프로젝트를 위한 리더십을 구성할 때 해당 문제와 관련된 대표성 있는 이해관계자를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프로젝트 전략은 소외 집단이 가진 사회적 권한과 권력에 변화를 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즉 이러한 리더십과 전략을 바탕으로 공식적으로 권한과 권력을 가진 집단 등 주체가 지역사회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지역사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더 나아가 의사결정 등의 권한을 함께 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수행해야 합니다. 즉 콜렉티브 임팩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주체는 사회적으로 간과되어 오는 과정과 불공평함, 부당함을 바로 잡는 과정에서 특정 소수가 의사결정과 실천의 책임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이해관계자 모두가 자신의 개별적 역할과 책임을 인지하고 수행하는 과정이 상호 책무적이어야 합니다.

 

 

사회적 형평에 중점을 둔 콜렉티브 임팩트 전략의 5가지 필수 요소

Five Strategies for Centering Equity

 

사회적 형평을 중점에 둔 콜렉티브 임팩트에 필요한 5가지 필수 전략을 소개합니다.
 

1. 정보와 근거, 사회적 맥락, 현장의 맥락에 기초하며, 해결 중심의 프로젝트를 실행하라 Ground the work in data and context, and target solutions.

2. 시스템 차원의 변화에 중점에 두어라 Focus on systems change, in addition to programs and services.

3. 협력 관계 안에서의 권력을 나누어라 Shift power within the collaborative.

4. 지역사회로부터 듣고, 지역사회와 함께 실천하라 Listen to and act with community.

5. 사회적 형평을 고려한 프로젝트 리더십 구성과 리더십 구성원 간의 책무성 Build equity leadership and accountability.



전략 #1: 정보와 근거, 사회적 맥락, 현장의 맥락에 기초하며, 해결 중심의 프로젝트를 실행하라

Ground the work in data and context, and target solutions.

 

정보와 근거, 맥락에 기초하고 해결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하라는 의미는 다른 의미로 기존의 개념과 방법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지 말라는 충고와 같습니다. 즉 해당 지역사회의 환경, 조건, 역사, 혹은 개별적 서사 등을 새롭게 발굴하고 개념화 하며 지역에 대한 이해가 담긴 용어와 접근을 고안해야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지역적 특성을 통해 형성하는 개념과 접근 전략은 참여자, 이해관계자, 대상와 함께 반드시 공유함으로써 공동의 토대를 형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동의 학교 밖 청소년 문제와 △△동의 학교 밖 청소년 문제는 현상적으로 동일 할 수 있으나, 5whys, 문제나무 등의 문제 구체화 기법을 통해 문제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치다 보면 전혀 다른 인과적 맥락을 보일 수 있습니다. 문제의 지역적 맥락 파악과 이해, 이에 맞는 전략 수립을 위해 지역의 밀착 정보를 수집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전략 #2: 시스템 차원의 변화에 중점에 두어라

Focus on systems change, in addition to programs and services.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사회적 성과와 해결은 하나의 개별 프로그램으로는 달성 할 수 없습니다. 공공과 민간의 시스템과 환경, 문화적, 정책적 차원에서의 변화를 끌어내는 것을 중점에 두어야 합니다. 변화 이론, 성과 사슬에 따라 세부 활동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과 사회 서비스가 고안되거나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세부 활동에 해당하는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논리적 타당성을 가지고 시스템 차원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프로그램과 개별 활동에 만족하거나 그쳐서는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전략 #3: 협력 관계 안에서의 권력을 나누어라

Shift power within the collaborative.

 

공공정책, 규칙, 자원의 흐름 등이 우리가 타겟으로 하는 집단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대표하지 못하는 관계자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콜렉티브 임팩트의 최종적 성과로 시스템 차원의 변화와 근본적 해결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추진 과정에서의 사회적 형평이 실현되어야 합니다. ,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의 권한, 실행 과정의 권한, 평가와 학습의 권한을 기존의 권한 및 권력 관계에서 벗어나,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대상 집단을 대표하는 관계자 등 간에 권한과 권력이 공유되고 협의에 따라 추진되어야, 이러한 과정의 경험과 과정의 결과가 근본적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상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략 #4: 지역사회로부터 듣고 지역사회와 함께 실천하라

Listen to and act with community.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대할 때, 반드시 지역사회 안에서 활동해야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해야 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의 활동을 지지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지역사회 내의 자원을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은 실패를 줄이고, 자원을 효율적이고 의도에 부합하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소외 집단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들을 파악하고 접근하려고 할 때, 외부자인 우리보다 지역사회의 도움을 받아 접근하고, 이들과 함께 수행한다면 훨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활동을 전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지역 맥락을 고려한 문제의 이해를 통해서 지역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꼭 맞는 전략과 방법을 고안할 수 있습니다.

 

전략 #5: 리더십 구성에 사회적 형평을 반영하고, 리더십 구성원 간의 책무성을 공유한다.

Build equity leadership and accountability.

 

콜렉티브 임팩트를 추진하는 리더 그룹과 그룹의 책무는 소수의 리더그룹에게 중앙 집중되어서는 안 됩니다. 프로젝트가 달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 과정과 설계에 따라 구성된 각 역할과 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 모두가 리더십과 함께 책무성을 가지도록 합니다. 의사결정 협의체, 실행 그룹, 예산 조달자, 협력 기관, 지역사회 관계자가 프로젝트에 따라 주어진 역할과 그에 따른 수행 책임, 결과에 대한 책임이 주어지고 다하도록 리더십을 구성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작성자 :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1.12.10 / 수정일 : 2021.12.10 / 조회수 : 1257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