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로고

공익활동 소식

  • 마감
  • 행사

[디지털시민광장 빠띠] 장애 재난 대응 접근성 뉴스 에디터톤에 초대합니다📃(7/24)

작성자 김연주 등록일 2025-07-17 조회수 32
모집기간 2025-07-14 ~ 2025-07-23

“장애인이 재난을 마주할 때, 정말 안전할 수 있을까?”
“이 이슈... 정말 중요하니까 힘을 모아 함께 정보를 모으면 좋겠어!”

이런 생각하신 적 있나요?

7월 24일 목요일 

#장애재난대응접근성 🗞️뉴스 에디터톤에 함께해요!

빠띠 월간이슈 뉴스 에디터톤. 장애 재난 대응.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장애 재난 대응 뉴스...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뉴스는 뭘까요? 2025.0724.(금) 19:30~21:30 헤이그라운드 브릭스 성수점 room

🗞️장애 재난 대응 접근성 뉴스 에디터톤, 뭔가요?

장애 재난 대응 접근성 뉴스 에디터톤에서는 함께 뉴스를 찾고 시민들이 알아야 할 이슈 타임라인을 만듭니다.

✔️장애 재난 대응 접근성과 관한 주요한 소식과 정보.
✔️정말 중요한데 TV뉴스에서는 잘 다루지 않아 답답한 내 관심사.
✔️이슈와 관련해서 시민들이 꼭 주목해야 할 사안들.

우리에게 중요한 뉴스를 모아 타임라인을 만들고, 함께 이야기 나눠요.

 뉴스 에디터톤 이후 만들어진 ‘시민들이 알아야 할 장애재난대응 타임라인’을 자랑스럽게 주변에 알립니다.

💬 ‘에디터톤’은 편집을 뜻하는 ‘에디트’와 ‘해커톤’의 합성어입니다. 짧은 시간 내에 함께 프로젝트를 하여 결과를 만들어내는 ‘해커톤’처럼, 이슈 타임라인을 뚝딱뚝딱 만들어 봐요!

 2시간 남짓한 짧은 시간 안에 이슈의 맥락, 다양한 생각을 알게되고, 동료들과 이야기 나눌 수 있어서 정말 뿌듯하고 재미있어요.
참고: 보통 사람들이 모여 왁자지껄 개헌을 이야기한다면 - #개헌 뉴스 에디터톤 후기

😀장애 재난 대응 접근성? 왜 다루나요? 

  • 재난은 모두에게 일어나지만, 누구나 똑같이 정보를 얻고 대피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 재난 문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내용과 형식일 수 있고, 대피소까지의 경로에 계단만 있고, 훈련에서 배제되며,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재난 상황에서 곁에 없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현실을 '재난 대응 접근성'이라고 설명합니다.
  • 여태까지 어떤 논의나 시도가 있었을까요? 어떻게 하면 답답하게 꼬인 실타래를 풀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시민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을까요? 함께 찾아보고 이야기 나눠요.

🙌 누가 참석하나요? 

  • 장애 재난 대응 접근성이라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를 발전시키는데에 기여를 하고 싶은 사람
  • 내 관심 주제에 대해 동료시민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고 싶은 사람
  • 평소 뉴스나 언론, 뉴스 스크랩/활용에 관심 있는 사람
  • 혐오 차별 없이 서로 존중하며 시사 이슈의 맥락과 다양한 생각거리를 알아가고 싶은 누구나 환영합니다😆
  • 선착순 30명

🙋언제 어디로, 무엇을 준비해 가면 되나요?

  • 일시: 2025년 7월 24일 목요일 저녁 7:30
  • 장소: 헤이그라운드 브릭스 성수점(서울, 뚝섬역 인근)에서 만나요.
  • 준비물: 노트북, 스마트폰 등 기사를 검색하고 빠띠에 업로드 할 기기가 필요합니다.
  • *저녁 식사와 다과가 제공됩니다. 신청시 알러지, 채식 등의 정보를 알려주세요.

💡궁금해요

Q1: 저도 가도 되나요
A1: 네! 환영합니다!😆

Q2: 빠띠, 이슈 타임라인 기능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A2: 빠띠에 가입한 누구나 활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에 원하는 이슈를 적어넣으면 타임라인으로 모아 볼 수 있습니다.

Q3: 뉴스 에디터톤을 다른 주제로도 열 수 있나요?
A3: 네, 뉴스 에디터톤은 계속해서 다양한 주제로 열립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단체와 파트너십으로 개최할 수도 있습니다. 문의 주세요. 

Q4: 이슈에 대해 자세히 아는게 없는데 참여하고 싶어요. 도움 될만한게 있을까요?
A4: 순서 중 염전골햇빛발전 협동조합에서 경험 공유를 해주실 예정입니다.

 

문의: contact@campaigns.do
*본 사업은 4.16재단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