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활동의 사회적 가치측정 두 번째 강의 “사회적 가치측정 방법의 이해”
강효정 (사단법인 청소년인권복지센터 내일 활동가)

(사진: 강효정)
지난 첫 번째 강의에서는 1) 사회문제의 정의 2) 우리 조직의 이해관계자 맵 그리기 3) 사회적 가치 측정의 목적과 측정 방법론에 대해서 배웠다면, 오늘 두 번째 강의에서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측정 방법 사례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활동 모형과 변화 지점의 조합’을 통해 우리 조직의 활동 모형은 무엇이고, 어떤 변화 지점을 만드는지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우리 조직의 프로그램이 많은 연계 자원이 있음에도 참여자의 직접적 변화만을 강조하고 환경, 시민, 정부, 기관, 사회적 자본(신뢰, 협력 등등)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우리 조직이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목적과 계획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측면이라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알게 된 다양한 측정 방법을 들었을 때는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측정 방법에 대해서도 고전적이고 딱딱한 설문 방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조직이 만들고자 하는 ‘사회적 가치’에 따라 재미있는 방식의 측정 방법을 팀원들과 함께 만들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사진: 강효정)
두 시간을 꽉 채운 강연에 오늘은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정리해서 구체적인 측정 방식을 구성해 오기”가 과제로 제출되어서 부담도 되지만, 설레기도 합니다. 오늘 과제를 일주일 동안 잘 준비해서 마지막 세 번째 강연 때 우리 조직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피드백을 많이 받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