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CSI를 통해 살펴본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 /차명제, 200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이 글은 시민사회지표(Civil Society Index)를 통해 한국 시민사회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정량적 조사를 해보고자 하는 글입니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태국의 시민사회가 연구 분석의 대상으로써 총 35명의 시민사회와 관련한 활동가, 전문가, 공무원, 회사원, 종교인들을 설문조사하고 있습니다. 설문지는 직접 인터뷰, 전자메일, 집단워크숍 등의 형식으로 작성되었다고 합니다. 설문지의 문항은 시민사회의 구조, 시민사회의 환경, 시민사회의 가치, 시민사회의 영향력이라는 네 가지 기본 영역을 중심으로 67개의 하위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활동가는 시민사회의 가치와 영향력을 높게 평가한 반면 환경과 구조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했으며, 전문가는 네 가지 영역을 고루 보통 이하의 평가를 했습니다. 공무원은 시민사회의 구조와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가운데 영향력은 과도하게 높게 평가하는 반면 가치는 지나치게 평가 절하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한국에서 시민사회의 가치와 영향력은 높게 평가되고 환경과 구조는 낮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차명제. 2005. 「CSI를 통해 살펴본 한국 시민사회의 현황」 『아시아의 시민사회(Ⅱ)-현재와 전망』 아르케.

저자 소개

성 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용인환경정의 대표, 녹색미래 정책위원장, 사회운동학회 회장, 서울 녹색시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공저), <아시아의 시민사회>(공저), <시민사회와 시민운동>(공저) 등이 있습니다.

목차

1. CSI란 무엇인가
2. CSI의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3. 분석결과1: 시민사회 지표를 중심으로
4. 조사결과2: 주요 분석 집단간 쟁점별 차이를 중심으로
5. 집단별 차이
6. 맺음말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 조회수 : 2660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