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06 동아시아 연대운동단체 백서 /서남포럼, 2006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이 책은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시민단체가 추진해온 동아시아연대운동의 성과를 정리하고 평가한 자료집입니다. 동아시아연대운동, 활동가와 연구자간의 소통과 연대에 관심이 있는 분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전평화단체, 문화학술단체, 인권단체, 국제개발협력단체, 노동단체, 재외동포단체, 여성ㆍ소수자 단체, 환경단체 분야별로 다루고 있어 각 분야의 활동가가 참조하기에 용이합니다.

활동분야, 단체명, 연락처, 대표자 연락처, 설립일, 설립목적, 단체의 주요사업, 연대 실무책임자 연락처, 연대 대상국가 및 연대 형태, 연대운동 현황 등을 정리한 동아시아연대운동단체 현황표를 싣고 있어 연대를 고민하는 활동가에게 실무 차원의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연대운동과 관련 동아시아연대운동 활동가 설문조사 결과를 싣고 있어 연대를 고민하는 활동가가 참조할 수 있습니다.

서남포럼. 2006. 『2006 동아시아 연대운동단체 백서』 아르케.


서남포럼 소개

[사명 선언문]
동아시아 학지(學知)의 확장과 심화 과정 속에서 세계형성의 새로운 원리를 탐구하는 동아시아학의 산실로서, 뜻을 같이하는 동아시아 시민들이 참여하여 소통과 연대의 호혜적 그물망을 지향하는 서남포럼은 남북분단의 슬기로운 해소를 통해 21세기 동아시아를 여는 세계평화기획의 겸허한 주춧돌이 될 것을 다짐한다.

[운영위원회]
위원장 최원식(인하대 한국어문학과 교수)
백영서(연세대 사학과 교수)
신윤환(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권혁태(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

[집필진]
백영서(연세대 사학과 교수)
신윤환(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경석(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전제성(전북대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백지운(연세대 중문학과 강사)
박명희(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


목차

서언(백영서)

동아시아연대운동의 분야별 현황

Ⅰ. 반전평화
  1. 반전평화 단체(박경석)
  2, <현장 인터뷰> 동아시아 활동연대 체험기(이기호)
Ⅱ. 인권
  1. 한국 인권운동의 동아시아 연대활동 현황과 평가(전제성)
  2. <태국신문 칼럼>
  3. 아시아에 천천히 문을 여는 한국(프라빗 로자나프룩)
Ⅲ 노동
  1. 한국 노동운동의 동아시아연대활동 현황과 평가(전제성)
  2. <현장 인터뷰> 아시아 활동가 교환연수 경험당(장창완)
Ⅳ 여성, 소수자
  1. 여성,소수자 분야의 동아시아연대운동(백지운)
  2. <현장 칼럼> 평등, 평화, 생명을 이주 여성과 함께하는 아시아 연대를 꿈꾸며!(한국염)
Ⅴ 환경
  1. 한국 환경단체의 동아시아연대운동(박명희)
  2. <현장 칼럼> 동아시아에서의 환경연대운동(히로세 토시야)
Ⅵ 문화,학술단체
  1. 문화,학술 분야의 동아시아연대운동(백지운)
  2. <현장 칼럼> 지속가능한 ‘내면교류’를 위하여(고영직)
Ⅶ 국제개발협력
  1. 한국 국제개발협력 민간단체의 동아시아연대운동(박명희)
  2. <현장 칼럼> 동아시아에서의 국제개발협력(김혜경)
Ⅷ 재외동포
  1. 재외동포 단체(박경석)
  2. <현장 칼럼> 한반도의 평화공존과 동북아의 평화정착은 동전의 양면이다!(신상문)
부록 1
  1. 동아시아연대운동단체 현황표
    1) 반정평화단체
    2) 인권단체
    3) 노동단체
    4) 여성ㆍ소수자 단체
    5) 환경단체
    6) 문화ㆍ학술단체
    7) 국제개발협력단체
    8) 재외동포단체
부록 2
  1. 동아시아연대운동 활동가 설문조사 결과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1.27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4733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