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금효율측정도구] 우리 단체 모금, 잘 하고 있을까요?
실무도구 / by 나물밥상 / 작성일 : 2018.10.25 / 수정일 : 2023.03.31

우리 단체의 모금 활동,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걸까? 
모금효율을 측정해볼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합니다. 이 도구는 비영리 단체의 모금 활동에 있어, 모금(money raised)-위험(risk)-비용(expenses)간의 적절한 균형을 지키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수식을 제공하고 잇습니다. 모금도 투자할 수록 확대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한정된 자원을 쪼개써야 하는 비영리기관에서 모금에 계속해서 투자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효율관리를 통한 적정한 투자는 필수적입니다. 
*이 도구는 BoardSource, the Association of Fundraising Professionals, GuideStar, BBB Wise Giving Alliance에서 개발하였습니다.
 

모금활동이 효율적인지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일 것입니다. BoardSource, the Association of Fundraising Professionals, GuideStar, BBB Wise Giving Alliance에서 이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였는데요. 이 도구는 비영리 단체가 모금-위험-비용간의 적절한 균형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수식을 제공합니다. 
BoardSource의 최고 경영자인 Anne Wallestad는 많은 사람들이 기금조성 효과를 측정할 때 중요한 사항과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정말 잘못 생각하고 있다며, “이 새로운 도구가 사람들에게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라고 덧붙였습니다. 모금 효과에 대해 토론할 때, 모금에 지출하는 비용이 적을수록 좋다는 쪽과 모금에 지출하는 비용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쪽, 이렇게 두개의 지배적인 주장들이 있지만 그녀는 이 주장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소개하는 도구는, 모금액, 최대 기부자에 대해 의존하는 정도, 모금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 이렇게 세가지 기준을 측정하여 비영리단체들이 보다 정확한 평가를 내릴수 있도록 돕습니다.


 

  

  

“당신의 단체는 사명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돈을 충분히 모금하고 있습니까?”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 경영진은 총모금액에서 모금하기 위해 지출한 비용을 뺀 순모금액을 먼저 산정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총모금액에서 상위 5명의 기부자들이 지원한 비율을 확인하여 그 취약점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 도구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단체의 “의존성지수”를 결정하려면, 비영리 단체는 상위 5명의 기부자의 총기부금을 조직 지출로 나눠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경영진들은 모금 프로그램과 관련된 인력 및 기타경비를 더한 다음, 그 총액을 순모금총액으로 나누어, 1달러를 조달하는 데 들어간 비용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 세 가지 기준을 사용하면, 비영리단체들은 모금 비용을 균형있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위 5명의 기부자들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 일부 비영리 단체는 다양한 수입원을 가질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모금 비용이 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체들은 자신들의 모금을 위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인지 여부를 검토하고 싶을 것입니다. 가장 큰 소수의 기부자들에게 너무 의존하지 않고, 모금 비용 또한 적은 단체라면 그 단체는 가장 건강한 모금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이 도구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BoardSource 사이트를 참조해주십시오.

▷모금효율 측정도구 다운로드하기


 


작성자 : 나물밥상 / 작성일 : 2018.10.25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241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