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가로수(Tree) 인구조사를 하나요?
현안과이슈 / by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2.06.09 / 수정일 : 2022.06.22

 가로수 인구 조사라는 것을 들어보셨나요? 미국 뉴욕시는 Trees Count! 라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뉴욕시의 가로수들을 파악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마포구와 서울시까지 벤치마킹하는 자원봉사 프로젝트 Trees Count!를 소개합니다.


지도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찾을 때 매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어쩌면 우리가 가장 갖고 싶은 지도는 영화 인디아나 존스에 나오는 보물지도라고 생각합니다. 보물지도만큼 중요한 지도를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가로수 지도(Tree Map)을 만드는 자원봉사자들입니다.

미국 뉴욕에서 시작된 가로수 지도 만들기 자원봉사 활동은 우리나라에서도 진행되고 있는 캠페인입니다. 특히 미국의 가로수 지도 만들기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연구까지 진행되었을 만큼 가로수 지도 만들기 자원봉사가 가지는 환경과 가로수 보호부터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동기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아카이빙은 미국 뉴욕에서 시작된 가로수 지도 만들기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해보겠습니다.

 

Trees Count! 2015

Trees Count! 2015는 뉴욕 공원관리국(NYC Parks)에서 진행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입니다. 그래서 Trees Count! 2015에 참가자들은 모두 일반 시민들이에요. 이 프로그램은 10년에 한 번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써 조사 시작부터 완료까지 약 2년이 소요되는 대형 프로젝트입니다.
 


 

Trees Count! 2015-2016 가로수 인구조사 프로젝트에만 22백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습니다. 이 규모는 미국 역사상 시 단위에서 실시한 공원 관련 프로젝트 중 가장 규모가 크다고 합니다.

트리 카운트 인구조사 프로젝트는 총 3단계로 진행됩니다. 1단계 오리엔테이션, 2단계 맵핑, 3단계 조사완료 및 기념식입니다. 자원봉사자들은 각 단계를 거치면서 트리 카운트에 필요한 도구의 활용 방법, 조사팀 구성, 조사 구역을 배정 받습니다. 그리고 뉴욕시에 있는 나무들을 조사하면서 데이터를 기록하죠.

트리카운트에 참가한 자원봉사자들의 동기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들의 주요 참여 동기는 뉴욕시를 더 많이 알아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살지 않았던 지역 외에도 뉴욕의 새로운 지역을 탐험하는 것이 참여 동기 중 하나라고 설명합니다. 또한 일부 참가자들은 나무의 종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것,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성취감, 참가자들간의 교류 등 다양한 요인들이 트리카운트에 참여하는 동기가 되었다고 분석합니다 (Michelle (2018)).

 
- 트리카운트 자원봉사 활동을 더 알고 싶다면? (바로가기)

트리카운트 활동의 효과

트리카운트 활동의 효과는 다양합니다. 뉴욕시에 심어져 있는 가로수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지역별로 가로수가 얼마나 많이 조성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자료는 NYC OpenData Portal을 통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 되어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은 트리카운트 활동을 통해서 나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
, 오염 문제, 나무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여 우리 동네 주변 나무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가로수지도 프로젝트

우리나라도 미국 뉴욕처럼 가로수 지도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1년 서울 마포구와 환경 시민단체 자연의 벗 연구소, 가로수를 아끼는 사람들 등이 참여해 우리나라 최초의 가로수 지도 만들기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미국의 트리카운트 자원봉사자처럼 가로수 학교 모니터링단은 가로수 지도 만들기에 대한 이론수업 후 성루시 마포구 행정소재 구역(동교동, 서강동, 서교동, 성산동)의 가로수들의 종류, 위치, 높이, 흉고(가슴높이), 건강상태 등을 점검하고 매플로케이(MapplerK)3 어플을 활용해서 가로수 지도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한겨레. 전국 첫 가로수 지도시민이 만든다막 베기, 마음 아파요” (작성일: 2021.9.16.)

 

또한 서울시는 올해부터 서울 가로수 인터넷 지도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서울시는 도로변 가로수의 관리와 정비를 위해서 서울 트리맵(가칭)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서울 트리맵도 뉴욕의 트리카운트에서 영감을 받아서 30만 그루가 넘는 서울시 가로수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도시의 환경과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노컷뉴스. "뉴욕시와 같은 가로수 관리 '서울트리맵' 도입하자" (작성일자: 2022.2.14.)

 

그리고 미국 뉴욕시처럼 서울시 가로수 위치정보를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있어요. 이 데이터를 활용해서 서울시의 가로수가 어디에 위치했는지 파악하고 가로수 학교 모니터링단의 규모가 지금보다 더욱 확대된다면 이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아요.

 

오픈 데이터 포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_가로수 위치정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로의 가로수 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앱과 데이터를 활용해서 나무를 지키면서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트리카운트의 사례를 주목해보면 좋겠습니다.

 

참고한 자료

숲과나눔. [생물과 도시] 뉴욕의 가로수 인구조사, 어떻게 하나? 2022.6.7.(바로가기)

Michelle L. Johnson, Lindsay K. Campbell, Erika S. Svendsen, and Philip Silva. Why Count Trees? Volunteer Motivations and Experiences with Tree Monitoring in New York City. “Agriculture & Urban Forestry” 2018. 44(2). 59-72



작성자 : 세종시 고라니 / 작성일 : 2022.06.09 / 수정일 : 2022.06.22 / 조회수 : 602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