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사례 그림책] 너를 위해서 3 "미안해 지구야"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2.01.27 / 수정일 : 2022.02.16
변화사례 그림책 매거진 형식으로 보러가기(클릭)


변화의 씨앗 그림책
너를 위해서 3
미안해 지구야

기획 변화사례 아카이브 기획위원회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시민단체가 만들어온 변화사례를 
발굴하고 수집하여 기록하고 확산하는 일을 하고 있어요. 2020년 12월 현재 180건의 변화사례를 아카이빙 하여 
그림책, 모션그래픽, 그래픽서머리, 웹툰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로 만들어 시민참여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답니다.

여러분이 일상에서 경험하고 있는 변화사례를 누가 왜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한가요?


* 
변화사례 아카이브 자세히 알아보기

* 변화사례 그림책 1권 <버스를 타고> 보러가기

* 변화사례 그림책 2권 <재봉틀 할머니> 보러가기

* 변화사례 그림책 2권 <재봉틀 할머니> 보러가

그림 김유강
홍익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했고 
<따개비 루>, <냉장고 나라 코코몽>, <용감한 소방차 레이>등 다수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그림책 <소소캣이 친구가 되어 줄게>와 <까만양 이야기>, <조그만 양 이야기등을 출간했습니다
현재 애니메이션 감독일러스트레이터그림책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콘텐츠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변화사례 그림책 <버스를 타고(2020)>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렇게 읽어주세요

<
미안해 지구야>는 기후위기 시대, 우리가 사는 지구 환경을 위한 시민사회 활동과 우리가 무엇을 함께 실천할 수 있을 지 4~7세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하였습니다. 이 그림책을 보면서 아이와 대화를 하고 함께 실천을 고민해주세요. 어떻게 대화하면 좋을지 모르시겠다고요? 걱정 마세요. 지금부터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이 책은요.
 

변화의 씨앗 그림책 소개
 

[변화의 씨앗 그림책]시민사회 활동으로 만들어진 우리 사회와 일상의 의미 있는 변화인 변화사례4~7세용 그림책으로 구성하여 어린이는 물론 이 책을 함께 읽을 성인에게도 다양한 변화사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시기 어린이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시민사회 활동이 아이들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시민사회가 우리 사회를 위해 만든 거시적인 성과 안에는 우리의 구체적인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작은 변화의 씨앗이 숨겨져 있습니다. 이 변화의 씨앗을 누가, , 무엇 때문에 심었는지 [변화의 씨앗 그림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에게 알려주세요.
 

우리(시민사회 활동)는 너(어린이)를 위해 존재한다.”
 

미안해 지구야 소개

<
미안해 지구야>[변화의 씨앗 그림책 : 너를 위해서]의 세 번째 이야기예요. 1,2와 달리 시민사회의 구체적인 활동이 드러나지는 않지만, 줄곧 지구의 아픔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요. 지구는 굳이 친구라는 사실을 떠올리지 않아도 될 만큼 늘 곁에 있었던 친구잖아요. 그런데 그런 친구가 아프다는 사실을 알아버렸어요. 그리고 그 아픔이 생긴 것이 우리 때문이라는 것도요. 우리는 아파보았기에 아픔을 알고, 그 아픔이 얼마나 아픈지 아는데, 지구는 우리가 아팠던 것보다 더 아프대요. 그것을 알게 된 우리는 속상해하며 다짐해요. 다시는 지구를 아프게 하지 않겠다고. 그리고 책은 다시 알려주죠. 다짐에서 끝나지 않고 실천해야 한다는 사실을. 어떤 실천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는 것은 정보 전달보다는 이야기로 남고 싶어서예요. 정보 전달보다 오래 기억되고, 머리보다는 가슴에 남는 이야기의 힘을 믿거든요. 그리고 믿는 구석이 또 하나 있지요. 함께 실천을 고민하고 행동으로 옮겨줄 시민의 힘, 너와 나 바로 우리의 힘, 말이에요.

이렇게 대화해보면 어떨까요
?

1.
지구가 왜 아픈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주세요.

그림책을 같이 읽으며 지구가 아프다는 사실은 아이도 알게 되었을 거예요
. 그럼 자연스럽게 지구가 아픈 이유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주세요.

) 보호자: 지구가 많이 아프네. 왜 아플까?
아이: 쓰레기를 버려서?
보호자: 맞아, 쓰레기 중에서도 썩지 않는 쓰레기를 많이 버렸지.

2.
이미 실천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해주세요.

이제 아이가 너무 걱정하지 않게 안심시켜줄까요
?
이미 지구의 아픔을 공감하며 지구가 아프지 않게 노력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해주세요.

) 보호자: 그런데 지구가 아프지 말라고 호오해주는 사람들이 있대.
아이: 정말?
보호자: , 시민사회 활동이라는 게 있어.
아이: 그게 뭔데?
보호자: 우리보다 먼저 지구가 아프지 않게 실천하는 분들이야. 그 분들은 이런 이런 일을 했어. (* 이어지는 뒷 페이지 <지구를 지키기 위한 활동>을 참고하세요) 이 그림책도 그분들이 만드신 거야. 우리도 함께 지구가 아프지 않게 실천하라고.

3.
우리도 함께해야 한다고 알려주세요.

시민 사회 활동은 활동가들만의 영역은 아니에요
. 시민이 함께 참여해야 비로소 완성이 되는 영역이죠. 그 사실을 아이에게 알려주세요.

) 보호자: 우리도 함께 지구가 아프지 않게 실천해볼까?
아이: 좋아.
보호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이: 종이컵은 안 쓸래.
보호자: 시장에 갈 때 장바구니를 들고 가자.

지구를 지키기 위한 활동
,

우리 주변 다양한 변화사례를 찾아볼까요?
 

[1회용 비닐봉투 판매금지] 대형할인마트에서 비닐봉투를 어떻게 없앴을까요? 장을 보러 갈 때는 1회용 비닐봉투가 아닌 다회용 장바구니를 사용해 주세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080391819
 

[쓰레기 종량제 시행운동] 쓰레기 감량을 위한 특단 쓰레기종량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081158004
 

[1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체결 및 1회용컵 보증금제] 커피 한 잔의 여유와 대가, 1회용 컵 감량을 위한 20년간의 노력을 함께 살펴보아요. 1회용품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실천이 필요합니다.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080341615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325796696
 

[성대골에너지전환실험] 에너지 전환을 위해 주민들이 새로운 시도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마을은 어디일까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085630831
 

[재사용나눔가게] 자원재순환과 나눔 문화 누가 이끌어갔을까요? 다시 쓰고 바꿔 쓰는 과정을 통해 환경과 나눔의 인식을 만들어갈 수 있어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085668610
 

[플라스틱 없는 일상 만들기] 즐거운 불편, 플라스틱 없는 일상 만들기, 영원히 썩지 않고 두고두고 우리를 괴롭힐 플라스틱 사용을 멈춰주세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080429026
 

[미세플라스틱프리운동] 화장품 때문에 아픈 바다, 일상 속 미세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노력 어떻게 이어지고 있을까요?

우리는 매일 아침 저녁으로 세수와 양치를 합니다. 우리가 매일 미세플라스틱을 바다에 버리고 있다는 사실, 얼마나 알고 있었을까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381088002
 

[월성1호기 수명연장 허가무효 소송] 수명이 다 한 원자력발전소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켜낸 탈원전 운동, 어떻게 이뤄졌을까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392764299
 

[탈핵운동] 우리가 미래에 남겨 줄 것이 대책 없이 쌓여가는 핵쓰레기라니! 10만 년의 책임이 뒤따르는 핵폐기물, 서로 떠넘기는 대신 함께 책임지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432544232
 

[소비기한표시제] 앵그리푸드 나 아직 먹을 수 있거든!!” 2050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대안을 함께 만들어가요.

변화사례 보기 https://blog.naver.com/snpo2013/222490280971
 

------------------------------------------------------------------------

 

발행일 20211217(SNPO 2021-A-007)
발행처 서울시NPO지원센터
그림 김유강
주 소 (04523)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939 부림빌딩 1, 2
전 화 02-734-1109
전 송 02-734-1118
메 일 contact@snpo.kr
홈페이지 http://snpo.kr
www.facebook.com/seoulnpocenter

이 저작물은 국제라이선스
CC BY-NC-ND(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NPO지원센터는 서울특별시와 사단법인 시민이 협력하여 운영합니다.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2.01.27 / 수정일 : 2022.02.16 / 조회수 : 1029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