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O 지속가능성보고서] #6. 이해관계자 분석 적용사례
현안과이슈 / by HyoJ / 작성일 : 2016.11.02 / 수정일 : 2016.11.02

 

[#5. 이해관계자 분석 이해하기]를 통해 이해관계자 리스트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이해관계자 지도를 그리는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해관계자 분석의 각 과정이 보고서에서는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적용사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파악된 이해관계자 설명하기 |


조직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는 다양합니다. 조직 내에서도 다양하지만 조직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이해관계자가 파악됩니다. 이에 파악된 이해관계자가 누구인지 그 범위를 정의해주어야 내
ž외부적으로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5. 이해관계자 분석 이해하기]에서 설명된 이해관계자 분석과정을 통해 이해관계자가 파악되었다면, 그 결과를 정리하여 조직의 이해관계자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보고서에 담습니다.

 

아래 [사례1 - 한국컴패션]에서는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내부-외부 축과 후원/협력-활동 축으로 구분하여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분류된 각 이해관계자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컴패션을 둘러싼 이해관계자에 어떤 개인 혹은 집단이 있으며, 그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도 첫 번째 지속가능성보고서인 함께하는 시민행동 10년의 이야기(1999-2008)’에서 파악된 이해관계자에 대해 각각 구체적인 설명(14p)을 보고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줄글 형식의 설명 대신에 이해관계자 지도 상에서 이해관계자 그룹에 속하는 세부리스트, 주고 받는 영향력, 관련 이슈 등을 표현함으로써 각 이해관계자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바뀌어가는 추세입니다. 이에 대한 사례는 본 글의 마지막 부분(이해관계자 지도)에서 소개하겠습니다.

 

[사례1] 이해관계자 정의 한국컴패션 2010 지속가능성보고서(8~9p) | 보고서 바로가기


 

 

이해관계자 분석, 표로 보고하기 |


[#5.
이해관계자 분석 이해하기]에서 이해관계자 분석 시 고려하는 다양한 요소가 있었습니다. 분석한 요소 중에서 조직에 의미가 있는 항목, 이해관계자에 소통이 필요한 항목, 또는 이해관계자 지도 상에 표현하기 어려운 항목 등은 분석된 내용을 표의 형태로 보고서에 담기도 합니다.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진행하면서 디자인 요소를 많이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단체들의 경우에도 표로 표현해보는 것을 적용해보길 바랍니다.

 

아래 [사례2 – 한국장애인재단]에서 보고하고 있는 이해관계자 분석표의 일부를 소개합니다. 한국장애인재단은 아래 표의 앞 부분에 이해관계자 관계를 나타내는 이해관계자 지도를 간략하게 표현하고, 이어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이해관계자 세부리스트, 관심이슈, 대응방안/소통채널, 소통빈도와 같이 각 이해관계자 별로 파악한 내용들을 상세하게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미디액트에서는 이해관계자 지도 상에 표현하지 못했던 이해관계자 그룹에 속하는 세부 리스트를 별도 표로 상세하게 보고하고 있으며(미디액트 지속가능성보고서, 18~19p), 한국여성재단에서도 이해관계자 지도 하단에 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별도로 보고하고 있습니다(한국여성재단 2014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연차보고서, 9p).

 

[사례2] 이해관계자 분석표(일부) – 한국장애인재단 2015 지속가능성보고서(20~21p) | 보고서 바로가기

 

 

이해관계자 지도로 그림 |


과거에는 파악된 이해관계자에 대해 줄글이나 표 형식으로 보고되었던 것에서 점차 조직과 이해관계자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해관계자 지도 상에서 파악된 내용들을 표현하는 형식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조직의 특성에 맞춰 다양한 표현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조직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디자인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조직을 가운데 두고 파악된 이해관계자를 주변에 배치하여 주고 받는 영향력을 화살표 선상에서 표현하거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지도 상에 표현하기도 합니다.

 

아래 [사례3 – 한국여성재단]에서는 한국여성재단과 파악된 이해관계자들과의 주고 받는 영향력을 화살표 선 상에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례3] 이해관계자 지도 한국여성재단 2014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연차보고서(9p)

 

 

[사례4 – 환경재단]에서는 파악된 이해관계자 세부 리스트에는 누가 있으며 각각 어떤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있는지 설명하며, 각 이해관계자에 환경의식을 전파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 가로축 선 상에 구분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사례4] 이해관계자 지도 환경재단 2008 지속가능보고서(9p)

 

 

[사례5 – 미디액트]는 이해관계자 지도 상에 파악된 이해관계자 세부 리스트에는 누가 있으며 각각 어떤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있는지, 각 이해관계자와 주고 받는 영향력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 지도의 각 위치가 의미하는 바를 상단에 추가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사례5] 이해관계자 지도 미디액트 지속가능성보고서, ///(19p) | 보고서 바로가기

 

 

각 조직의 상황이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어떻게 이해관계자 분석 및 지도를 표현하는 게 가장 좋은지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위의 사례들을 참고하여 우리 단체에 적합한 표현 방식을 찾아 이해관계자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최근 발간한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7. 서울시NPO지원센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5. 이해관계자 분석 이해하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4. 미디액트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3. 유엔인권정책센터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2. 여성환경연대 (바로가기)

이전 글 > [NPO 지속가능성보고서] #1. 지속가능성 보고 (바로가기)



작성자 : HyoJ / 작성일 : 2016.11.02 / 수정일 : 2016.11.02 / 조회수 : 4089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