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김성국, 2001)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1
김성국, 2001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필자는 시민사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민중ㆍ계급론자들이 비판적 진보적 시민사회론의 의의와 역할을 부정함으로 인해 반지배연합의 힘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필자에 따르면 이글의 목표는 손호철의 시민사회론 비판(「국가-시민사회론: 한국정치의 새 대안인가?」)을 재비판하며 고전적 국가-시민사회 이분법을 옹호하는 시민사회론을 정립하고,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취약성을 논의하고 과제를 제기하며, 시민사회의 실천전략으로서 신사회운동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필자는 신사회운동의 물결 속에서 시민사회가 자기 변혁의 역사적 과제를 부여받고 있는 것으로 보며 자율적이고 다양한 공동체들의 연합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시민사회가 신사회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민사회 자체가 자유연합의 공동체로 변모하며 종국에는 기존의 강압적 국가를 변형시켜 공동체들을 공동권리하는 또 하나의 공동체로 다시 태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 소개

김성국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 사회학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2013년 현재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아나키.환경.공동체>(공저), <21세기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 등이 있다. 


*목차

1. 한국의 시민사회론의 정립을 위하여
2. 시민사회론 비판에 대한 재비판
3.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취약성
4. 신사회운동과 한국 시민사회의 성숙
5. 결어: 국가와 시민사회로부터 공동체로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3.29 / 수정일 : 2021.06.21 / 조회수 : 2196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