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내 일에 도움주는 책 큐레이션 정보 모음
실무도구 / by 알책 / 작성일 : 2022.05.09 / 수정일 : 2022.05.10

안녕하세요, 정보 큐레이터 알책입니다 :)


한 권의 책을 읽고 완독하고 나면 왠지 모를 뿌듯함과 함께 지적 호기심이 채워지고, 하나의 세상을 알아가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 권의 책을 읽는 것이 하나의 세상을 만나는 것과 같다고 하는 것 같아요. 당장 내가 하는 일과 관련된 분야의 책이 아니라도 어떤 책을 읽다 보면 의외로 지금 내가 하는 일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하지만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에서 한 권의 책을 진득하게 읽기란 그야말로 일정을 따로 잡아야 겨우 읽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도서관,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에 가서 보면 엄청난 책의 수를 보며 마치 우리나라에 책을 읽는 사람이 이렇게 많나 착각(!)하게 되기도 합니다. ^^; 출판 시장 마케팅도 점점 세분화되고 신간이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니 막상 무엇을 읽어야 할 지 막막해질 때도 있고요. 


그래서 준비한 정보예요. 혹시 책을 읽고 싶은데 무엇을 읽어야 할지 몰라 의도치 않게(?) 독서를 미루고 있다면 여기를 꼭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공공도서관에서, 동네서점에서, 비영리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책을 고르는 데 도움이 되는 큐레이션을 하고 있더라고요. 큐레이션 정보를 통해 내 취향을 찬찬히 알아보고 한 권을 정해 독서를 시작해보시길 바랍니다. 


 
1. 서울도서관의 사서 추천 도서  

 

<이미지 출처 : 서울도서관 2022년 5월 큐레이션 홍보 포스터> 
 

서울시청광장에 옛 시청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만든 도서관이자 서울시의 대표 랜드마크기도 한 서울도서관에서는 2017년부터 사서 추천 도서를 매월 소개하고 있습니다. 시의성 있는 주제로 매월 책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2022년 5월달은 엔데믹을 준비할 수 있는 분야별 책을 추천하고 있어요. 전시도 병행하고 있으니 시간내어 가보시길 바랍니다~  

 

아래 게시판 링크에서 2017년부터 소개된 책 리스트를 볼 수 있어요 

https://lib.seoul.go.kr/intro/groupList


*참고로 아래 링크는 서울도서관에서 대출이 많은 도서 리스트를 알려주니 요즘 서울시민들은 어떤 책을 많이 빌려 읽는지 아는 것도 재밌을 것 같아요. 

https://lib.seoul.go.kr/statistics/favorLoan


2. 은평구립 구산동도서관마을 '사서의 서재'


<이미지 출처 : 구산동도서관마을 메인 페이지>

 

제가 좋아하는 도서관 중 하나인 구산동 마을 도서관은 탄생부터 주민들과 함께 만들어진 도서관이라고 해요. 은평구민이라면 들을 수 있는 좋은 교육 프로그램도 매월 열리고 있고요. (은평구 주민분들 부러워요~) 이곳에서도 사서들의 서재라는 코너를 통해 책을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그림책, 소설 등 각 책마다 추천하는 사서들의 코멘트도 있고, 이 책들과 함께 보면 좋을 책들도 소개해줍니다. 그리고 도서관 곳곳에도 다양한 책을 추천하는 작은 전시들이 병행하고 있어요. 사서분들이 이 도서관을 얼마나 애정을 갖고 가꾸고 있는지 알 수 있는 풍경들을 마주할 수 있어서 이 분위기 속에서 책을 안 읽을 수가 없을 거예요 ^^ 꼭 가서 확인해보시길!  

 

구산동마을도서관 사서의 서재 링크 (2020년 8월부터~) 

https://www.gsvlib.or.kr/service/collect_librarian.asp?mode=8


3. 책방 비엥의 큐레이션  

<이미지 출처 : 책방 비엥의 5월 전시 이미지>


구산동마을도서관 가까이 책방 비엥이라는 동네 서점이 있습니다. 쿠아레비 빵집 내 샵인샵처럼 한 쪽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그 전에는 책방비엥 공간이 따로 있었는데 정리하고 시즌2를 시작하며 같이 동거(?)하고 있다고 해요. 책과 빵이라니! (은평구 주민분들 부러워요~x2) 

아무튼 이곳에서는 매월 주제를 갖고 책을 전시하는 형식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책방 주인의 사심이 담겨있는 질문들로 매월 꾸려지는데요. 이번달 5월 주제는 그림책 달을 맞이하여 ‘누구에게나 그림책이 주는 울림이 있다’는 이야기로 재밌는 그림책을 소개했더라고요. 많은 책이 있는 곳에서 책을 고르기가 힘들다면 이런 곳에서 빵도 먹고 커피도 마시며 책을 고르는 재미도 알아갈 수 있을 것 같아 소개합니다.  


책방 비엥의 인스타그램에서 큐레이션 소식을 볼 수 있어요.
https://www.instagram.com/bienbooks/


4. 과학책방 갈다가 주목하는 신간 시리즈 

<이미지 출처 : 과학책방 갈다 신간 소개 2022년 4월 포스터 이미지>

 

삼청동에는 과학책방 갈다라는 동네 서점이 있습니다. 과학이 일상이 되는 문화 활동도 병행하면서 독자들에게 친절하게 과학책을 소개하는 책방입니다. 2017년에 오픈 후 2019년부터는 매월 책방 갈다의 선정위원회를 통해 엄선한 좋은 신간 과학책을 소개하고 있어요. 독서를 하기에 과학책은 특히나 다가가기 어려운데요. 의외로 어린이 그림책 등 어른들도, 아이도 읽어볼만한 책이 많더라고요. 몰라서 그렇지, 한번 알고 나면 다가가기 편한 거, 뭔지 아시죠? 과학책 역시 그렇습니다. 이번 기회에 과학책 읽기 도전해보세요~ 

 

과학책방 갈다의 신간 소개 페이지 
https://galdar.kr/%EC%B1%85%EB%B0%A9%EC%86%8C%EC%8B%9D


5. 환경정의 환경책큰잔치 '올해의 환경책'
 

<이미지 출처 : 20번째 환경책큰잔치 포스터 이미지>

 

환경이 시대적 이슈가 되어 관심있는 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그래서인지 환경 분야의 신간도 많아지고 환경분야의 베스터셀러도 생기고 있습니다. 

기후정의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NGO 환경정의에서는 20년째 환경책큰잔치를 통해 책을 소개하며 환경 이슈를 알려오고 있는데요. 역사가 쌓이다 보니 소개하는 책의 양도 어마어마하더라고요. 최근 20년 간 소개한 환경 책들을 정리한 카드뉴스 이미지도 있으니 참고해서 환경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필독하시길 바랍니다~  

 

스무번째 환경큰잔치, 2021년 환경책 

https://www.eco.or.kr/book/?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810382&t=board

*참고 : <카드뉴스> 환경책큰잔치 19년, 684권의 환경책 1탄 2회~5회

https://www.eco.or.kr/book/?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786268&t=board



—--- 


참고 : 지난 책 소개 관련 아카이브 글 보기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3730

[기획아카이브 4] 공익활동가를 위한 추천도서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813&sfl=wr_subject&stx=%EC%B6%94%EC%B2%9C%EB%8F%84%EC%84%9C&sop=and

[4U] 14-15 <국제개발협력 추천도서> 확장판(extended)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829&sfl=wr_subject&stx=%EC%B6%94%EC%B2%9C%EB%8F%84%EC%84%9C&sop=and

'2016 체인지온'의 추천도서 10권 소개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2352&sfl=wr_subject&stx=%EC%B6%94%EC%B2%9C%EB%8F%84%EC%84%9C&sop=and

사회적경제를 소개하는 추천도서 10선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2550&sfl=wr_subject&stx=%EC%B6%94%EC%B2%9C%EB%8F%84%EC%84%9C&sop=and









작성자 : 알책 / 작성일 : 2022.05.09 / 수정일 : 2022.05.10 / 조회수 : 707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