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그게 뭔데 (3)
현안과이슈 / by 아지 / 작성일 : 2016.04.12 / 수정일 : 2023.03.31
'베네핏(Benefit,http://www.benefit.is)'에서 공유한 글입니다. 
앞서 작성한 두 개의 글을 통해 MDGs와 SDGs에 대한 간단한 개념과, SDGs를 지지하는 기업들에 대한 이야기를 살펴 보았다. 지난 15년과 앞으로의 15년에 대한 전 세계적 목표,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들과 민간단체에 대한 이야기는 그 거대한 움직임을 상상하는 것만으로 거대한 물결이 이는듯하다.

 

(많은 유명인이 SDGs를 응원하는 영상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어쩌면 이 글을 읽게 될 당신은, 특정 기업의 의사 결정권자이기보다는 하루를 충실히 보내는 일에 더 관심이 있는, 평범한 사람에 훨씬 가까울 것이다. (물론 나도 그렇다) 해서, 글을 읽고 나서는 ‘아 세계는 그렇구나, 세계 이 녀석 진짜 열심히 사네’라며 내 삶과는 크게 관계가 없다고 생각할 확률도 제법 높을 거라 생각한다. 누군가 이따금 밤하늘을 바라 보며, ‘그래. 내 위에는 우주가 열려있어. 그렇지만 내 인생과는 1도 관계없지.’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그 우주가 집 앞마당으로 내려온다면? 우리나라의 국제사회에서의 위상(..)까지 이야기할 정도는 아니지만, 마침 적절한 컨퍼런스가 있다.

 

‘세계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 이행을 위한 협력 (EDUCATION FOR GALBAL CITIZENSHIP: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ogether)’이라는 이름의 이 컨퍼런스는 다가올 2016년 5월 30일부터 6월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릴 예정이다. 

 

  

컨퍼런스는 UN의 주최로 전 세계 NGO의 대표들이 참석하여 국제 사회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협의하는 자리인데, NGO들이 참여하는 컨퍼런스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치러진다. 본 행사는 올해로 66회째를 맞이한다. 멕시코, 호주, 독일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개최되었고, 아시아에서는 우리나라가 최초로 열리는 셈이다.

 

사실 아시아 최초의 행사라는 건 크게 중요하지 않다. 최초에 엄청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일이라 생각되지도 않고. 하지만 SDGs가 시작되는 올해 열린다는 점과 SDGs 달성을 위한 교육이 주요한 이슈라는 점, 마지막으로 컨퍼런스가 버스를 타고 갈 수 있는 거리에서 열린다는 건 충분한 의의가 있어 보인다. 3일간 진행되는 컨퍼런스의 논의 내용은 ‘선언문’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SDGs 달성을 위한 시민 사회 협력 방안의 지침이 될 것이다. 컨퍼런스 참가 등록은 추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행사의 기획, 홍보를 담당할 인턴도 현재 모집 중인데, 인턴을 하게 되면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것은 물론 숙식도 제공된다고 한다. (다만 급여에 대한 것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물론 우리의 일상에서 SDGs 이슈에 동참한다는 것이 반드시 거대한 국제 컨퍼런스에 참여해야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 당신이 살아가며 하게될 수많은 선택 중에 SDGs를 지지하는 기업을 선호하거나, (그렇다고 페이스북을 더 열심히 하라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SDGs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진 기업의 구성원으로 활동할 수도 있을 테니까. 그리고 그런 선택들이 모여 지속가능발전을 향한 사회의 목소리가 될 것이다.

 

60억 명의 선택이 단 하나의 목표를 향한다. 멋지지 않은가?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2016년부터 시작되는 이 새로운 물결이 성공적으로 우리 삶에 스며들지는 장담할 수 없다. MDGs가 그러했듯, SDGs 또한 2030년 즈음 ‘그런 게 있었어? 15년이나 됐다고? 웬열!’이라는 말을 들을 지도.

 

 

Images courtesy of UN DPI


김재만
컨텐츠사업팀 jm@benefit.is
Respect Existence or Expect Resistance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6.04.12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2238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