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 당신은 어떤 메시지로 설득하시나요?
활동사례 / by joaview / 작성일 : 2014.04.28 / 수정일 : 2020.06.18
일반 시민들은 공익활동에 대한 공감을 어떻게 표현할까요?

사회변화를 위한 수많은 활동 중에 제도개선 서명에 동참하기도 하고, 직접 환경보호활동을 위한 모니터링에 참석하기도 합니다. 벼룩시장에 직접 가족과 함께 집에 있는 헌옷을 기증하여 판매에 나서는 일도 공익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직접 참여하는 방법도 있지만 대부분의 일반 시민들은 공익활동을 하고 있는 비영리기관의 가치에 동참하고, 소외된 이웃들의 삶을 지원하기 위해 돈을 기부합니다. 돈을 기부하는 것은 가장 쉬울 수도 있지만 가장 어려운 사회참여 방법입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 따르면 2011년 한국인의 기부 참여율은 57.5%, 연평균 기부금액은 219,000원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이 기부참여를 하고 있지만 나머지 42.5%의 국민은 아직도 기부참여 경험이 없거나 참여에 대한 필요성과 의지가 부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시민들의 기부참여를 이끌어내는데에는 비영리조직의 가치와 슬로건, 활동 그리고 바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조직의 설득메시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메시지는 웹페이지나 리플렛을 통해서 일반시민이 접하게 되고 직접 참여를 이끌어내게 됩니다. 

영국의 자선기관인 옥스팜은 기부자가 50만명이 넘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옥스팜은 어떤 메시지로 그들을 설득하고 있을까요? 그들은 “당신의 삶을 바꾸는 기부를 여기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란 메시지를 통해 기부참여가 소외이웃을 도우면서 기부자의 삶도 바꿀 수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영국 옥스팜의 기부페이지>

미국 뉴욕지역의 빈곤을 해결하기위한 활동을 하고 있는 로빈후드재단은 여느 비영리기관과는 조금 다른 차별성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바로 재단 운영과 관리를 위한 운영비를 별도로 모금한다는 것인데요, 기부자들의 기부금이 자신이 원하는 프로젝트에 100%지원된다는 것을 차별성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국 로빈후드재단 기부페이지>

우리 단체는 어떤메시지로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을까요. 단체의 활동에 따라 사회변화에 포커스를 두기도 하고, 실제 도움이 필요한 영역이나 수혜자를 부각하여 설득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단체의 지금의 설득메시지가 조직의 미션을 가장 잘 반영하는지, 핵심사업을 제대로 부각하고 있는지, 대중에게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고 있는지 지금 바로 구성원들과 리뷰해보는 건 어떨까요?

작성자 : joaview / 작성일 : 2014.04.28 / 수정일 : 2020.06.18 / 조회수 : 3835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