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나눔 통계조사 연구 보고서(기업/개인 기부현황)/아르코/2013,14
현안과이슈 / by 아지 / 작성일 : 2016.08.10 / 수정일 : 2016.08.10
2014년 문화예술나눔 통계조사 연구 보고서_개인 기부현황.hwp 2014년 문화예술나눔 통계조사 연구 보고서_개인 기부현황.hwp

주  관  기  관 :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연 구 책 임 자 : 남기범 시립대학교 교수
연    구    원 : 한동우 강남대학교 교수, 김상현 시립대학교 박사과정

목차
제 1절 조사목적과 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 개요
3. 조사방법
4. 응답 표본의 특성

제 2절 문화예술분야 기부의 기술적 분석
1. 문화예술기부의 현황과 특성
2. 문화예술기부의 경로와 동인

제 3절 2013년도 문화예술분야 기부인식, 만족도와 신뢰
1. 기부인식
2. 만족도와 신뢰

제 4절 문화예술분야 자원봉사의 특성
1. 자원봉사 영역
2. 자원봉사 경험 및 인지와 동기
제 5절 문화예술향수와 예술나무운동 인지의 영향
1. 문화예술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2. 예술나무 운동 인지와 문화예술 기부의 특성

제 6절 지역에 따른 문화예술기부 특성

제 7절 소득, 연령에 따른 문화예술기부 특성

제 8절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 문화예술기부의 주요 특성
2. 자원봉사와 예술나무운동
3. 지역과 소득에 따른 문화예술기부의 차이와 정책적 시사점
4. 문화예술기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2013년 문화예술나눔 통계조사 연구 보고서_기업 기부현황.hwp 2013년 문화예술나눔 통계조사 연구 보고서_기업 기부현황.hwp

주 관 기 관
: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연 구 책 임 자: 한동우 강남대학교 교수
연 구 원: 이선철 용인대학교 교수, 정현정 유한대학교 교수


목차
제 1 장  조사 개요
1. 조사설계
2. 조사내용
3. 응답자 구성

제 2 장 조사 결과 요약  
1. 2012년도 문화예술분야 사회공헌 실적  
2. 문화예술분야 사회공헌활동 방법 및 추진 요인  
3. 사회공헌활동 성과  
4.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정책에 관한 인식  

제 3 장 조사 결과
Ⅰ. 2012년 문화예술분야 사회공헌 실적
1. 2012년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 현황
2. 2012년 문화예술 사회공헌을 하지 않은 이유
3. 2012년 문화예술 사회공헌을 하게 된 계기
4. 2012년 문화예술 사회공헌활동의 대상, 분야, 방식
Ⅱ. 문화예술분야 사회공헌활동 방법 및 추진 요인
1.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 활동 주기
2. 향후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활동 규모 계획
3. 선호하는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 활동
4. 문화예술분야 사회공헌활동 재원
5.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활동 단체 및 기관 선정 시 고려 사항
6.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이유
7.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 활동 추진 시 결정적 요소와 장애 요인
8. 사회공헌 활동 파트너로서 문화예술 단체에 대한 평가

Ⅲ. 사회공헌활동 성과
1.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활동 평가 방식
2.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활동 성과 평가
3.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사회공헌활동 성과 판단 지표
Ⅳ.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정책 인식
1.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세제혜택에 대한 인

제 4 장 함의
1. 문화예술분야 기업 사회공헌 활동 방식의 다양화 필요
2. 문화예술 분야 기업사회공헌활동 관련 정보자료 공유 시스템 구축
3. 문화예술 단체의 사업수행 역량 강화
4. 문화예술 분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
5. 문화예술 분야 민간자원 총량 추계 연구 필요


출처: 아르코(바로가기>>)

작성자 : 아지 / 작성일 : 2016.08.10 / 수정일 : 2016.08.10 / 조회수 : 1781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