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킷] 사람 중심 문제해결 방법론 모음 4/5 (The 18F Methods) – 타당성 검증(Validate)
실무도구 / by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0.11.06 / 수정일 : 2021.12.01

상품 개발, IT개발 과정에서 이미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해묵은 이야기 같지만 다시 한 번 소개하는 이유는 바로, 디자이씽킹의 본질이 1) 공감과 문제 정의, 2) 빠른 원형 개발과 적용, 3) 반복을 통한 인사이트 도출과 4) 빠른 개선이기 때문이며, 사회문제를 해결하여 공익을 증진하려는 비영리 활동에도 충분히 적용할 여지가 충분해서 입니다. 꼭 디자인씽킹이라는 말을 모르더라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방법론은 자주 소개되면 좋다는 생각에 미국 정부에서 단순화해서 정리한 디자인씽킹 방법론 툴킷과 사용법이 있어 소개합니다. 이 소개글은 the 18F Methods에 나온 내용을 각 단계별 활동을 순차적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5편으로 소개될 예정입니다

*편집자 주: 어플리케이션, 웹사이트 등 IT프로젝트를 기준으로 디자인씽킹이 기법을 소개하고 있어, 비기술적인 활동 프로그램 설계와 맞지 않는 내용과 표현이 포함되어 있는 점을 유의해주세요.

 

The 18F Methods 원문 바로가기

 


사람 중심 디자인
(human-centered design)이란

사람 중심 디자인”(사용자 중심 디자인)이란, 설계하려는 해결책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설계 전 과정에 참여시켜 이들로부터의 피드백을 설계 발달 과정에 반영하는 방법론

 

사람 중심 디자인의 지향점

사람 중심 디자인은 자원과 노력의 낭비를 막고, 최종 결과물의 실패 위험을 줄이면서 사람들(사용자, 대상자)의 필요와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을 지향한다.

 

 

 

18F 방법론 구성
 

18F 방법론 전체 구성 관련 이전 글 확인하기*

*아래의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글로 바로 연결됩니다

단계 1 발견(Discover)

단계 2 결정(Decide)

단계 3 제작(Make)

 

단계

목적

내용

툴킷

타당성 검증

Validate 

설계(디자인) 가설을 테스트​

- 사용자(이해당사자)와 함께 솔루션 설계를 시험 또는 재시험하면서 가장 최적의 가능한 최종 솔루션을 수립​

개념별 분류 활동 (Card sorting)

개선요소 인과적 효과성 검증 (Mulivariate testing)

사용자/대상자 행태 관찰 검증 (Usability testing)

사용자/대상자 피드백을 통한 시각적 요소 검증 (Visual preference testing) 



단계 4 타당성 검증 Validate

가능한 가장 최적의 죄종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설계 내용을 사용자와 함께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받아 다시 테스트하는 단계.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와 다양한 잠재적 사용자 집단을 고려할 수 있는 툴킷을 소개

원문 바로가기*

 

 

개념별 분류 활동 Card sorting

활용방법 바로가기

  

툴킷 개요​

​각각 다른 집단이 각 컨셉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 정도를 바탕으로 각 집단에 따라 각각의 컨셉을 분류하는 작업 활동 

특징​

직관적으로 쉬운 방식으로 프로그램 요소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음

소요 시간​

사용자 당 15~30분​

개념별 분류 활동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개념별 카드 분류로 하는 탐구 계획> 바로가기



(사진 출처: 
Photo by UX Indonesia on Unsplash)

 

 

개선요소 인과적 효과성 검증 Mulivariate testing

활용방법 바로가기
 

툴킷 개요​

가장 효과적인 설계 요소 조합을 찾기 위해 개선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을 테스트하는 과정. 복수의 조합에 대한 안을 비교하면서 최적의 조합을 찾는 작업.

특징​

- 대상자/사용자의 필요와 욕구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프로그램 요소들을 통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업

- 프로그램 내 각각의 하부 파트가 프로그램의 목표 성과에 가장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 

소요 시간​

2~5일 소요 또는 1~4주 소요 

개선요소의 인과적 효과성 검증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실행중 개선요소 테스트하기: 사용자와의 피드백을 향상시키는 5가지 방법> 바로가기

<디자인 최적화를 위한 과학적 방법: 개선요소 테스트 101> 바로가기



사용자/대상자 행태 관찰 검증 Usability testing

활용방법 바로가기


툴킷 개요​

사용자가 서비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작업​

특징​

- 서비스 프로그램 설계가 얼마나 직관직인가와 프로그램 설계가 사용자/대상자의 필요를 얼마나 잘 충족시키는가에 대해서 좀 더 면밀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사용.

소요 시간​

테스트 당 30~1시간 소요​

사용자/대상자 행태 관찰 검증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인터뷰 체크리스트> 바로가기

<사용자/대상자 행태 관찰 검증 시나리오 스크립트> 바로가기

<이슈 롤링페이퍼> 바로가기



(사진 출처: 
Photo by UX Indonesia on Unsplash)



사용자/대상자 피드백을 통한 시각적 요소 검증 Visual preference testing

활용방법 바로가기

 

툴킷 개요​

잠재적 사용자가 서비스 프로그램의 시각적 요소를 검토하고 이들이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며 프로그램의 시각적 부분을 검증하는 작업 과정​

특징​

- 사용자/대상자가 프로그램 경험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감정을 느끼는 방식에 따라 서비스의 주요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

소요 시간​

한 작업당 4~12시간 소요 / 참가자당 30분 소요​

사용자/대상자 피드백을 통한 시각적 요소 검증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서비스 적절성 신속 검사 방법: 사례 중심> 바로가기

<사용자 선호도 및 서비스 적절성 검사 방법: 설계 반영을 위한 사용자 감정 반응 측정하기> 바로가기

 

 

단계 1 발견 Discover 바로가기

단계 2 결정 Decide 바로가기

단계 3 제작 Make 바로가기

단계 4 - 타당성 검증 Validate (현재 글) 

단계 5 기초 토대 마련 Fundamentals (업로드 예정)





 



 


작성자 :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0.11.06 / 수정일 : 2021.12.01 / 조회수 : 1739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