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향연] 2021 활력향연 연구보고서(04~06)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1.12.13 / 수정일 : 2023.03.29

[2021 활동가연구지원사업] 활동가 역량향상을 위한 연구, 활력향연 

<활력향연>은 공익활동가들이 스스로 연구주제를 탐색하고 개발하여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연구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04. 이상화_서울지역대안교육운동의 형성과 전개 : 서울도시형대안학교협의회와 대안교육연대를 중심으로


☞ 이상화_praxislab2019@gmail.com 

목숨이 붙어있는한 공부하고, 데모하고, 사랑하며 살고 싶은, 대안교육운동을 하는 활동가입니다.  지금보다 더 평등하고 존엄하게 살수 있는 세상을 위하여, 학습자의  삶이 중심이 되는 교육을 기획하고 실천합니다.  대안교육을 자유롭게 연구하고 싶어서 쪼그만 독립연구소 ‘모두의 삶 교육실천연구소(praxislab)를 운영하고 있고, 사는 곳에서 학교밖청소년, 비진학청소년과 청년들과 함께 공부하고 삶의 전망을 모색하기위해  의정부전환사회교육네트워크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Ⅰ​ 연구를 시작하며


Ⅱ 대안교육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 대안교육운동의 등장 배경

1) 공고육이 가지는 한계와 문제점
2) 공교육 개혁을 위한 교육운동과 그 한계

2. 대안교육 운동의 싹을 틔운 밑거름
1) 제도 밖에서의 교육 운동
2) 공동육아어린이집
3) 생활세계 운동

Ⅲ​서울지역 대안 교육운동의 형성과 발전
1. 형성기(1998-2000년) : 학교를 나와 갈 수 있는 곳
1) 야학 청소년교실
2) 도시형대안학교의 시작
3) 탈학교 운동
4) 청소년 문제에서 청소년 존재로 

2. 대안교육운동 발전기
1) 탈학교 아이들을 위한 도시형 대안학교의 등장
2) 마을공동체 지향 대안학교의 등장과 운동의 전개 

 

(3) 대안교육연구와 보급
(4) 조직적 대응을 위한 연합단체의 출현
 
Ⅳ서울지역 대안교육운동의 변화와 새로운 모색

1. 변화와 성장, 성찰의 시기
(1) 새로운 교육의 시도
(2) 교육 기본권 운동과 정명운동
(3) 대안교육지원센터가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로
(4) 서울도시형대안학교협의회(2013) 결성과 정책제안의 시작

2. 새로운 모색과 제도화
(1) 두개의 학교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함께
(2) 위탁학교를 넘어 공교육의 대안적 모색
(3) 온 마을이 키우는 지역사회네트워크
(4) 대안교육운동의 성과 - 서울시 대안교육기관 지원례와 서울형 대안학교
(5) 대안교육기관법, 제도화의 과제

​Ⅴ결론과 제언
​- 제도화 이후 운동성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부록> 2021 서울형 대안교육기관 목록





05. 이진선_페미니즘으로 민주시민교육 톺아보기


☞ 이진선_zizibejs2@gmail.com 

징이라는 닉네임으로 불리는 것을 더 좋아한다. 악기 ‘징’처럼 울림을 주는, 각박한 세상 속에서 ‘징하게’ 살겠다는 의미 등을 부여했다. 페미니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호기심과 재미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누군가에게 ‘의미있는 타인’,  ‘곁’이 되고 싶다.

 

 


 

 

프롤로그: 시민활동 여정... 페미니즘, 손을 내밀다

1. 민주시민교육이 페미니즘을 만나면
1) '일상의 민주주의'가 화두가 된 민주시민교육
2) 페미니즘 인식론 장착하기

​2. 교육 준비 과정 톺아보기
​1) 어떤 사람들이 참가하나?
2) 교육장은 어떤가?
3) 교육 도구는 어떻게 활용하나

​3. 교육 내용 톺아보기
​1) 정상성: 무엇을 '정상'이라고 상정하는가?
① 가족
② 몸, 질병
③ 이성애

2) 정체성: 왜 '차이'를 '차별'하는가?
① 젠더
② 국적
③ 인종​ 

3) 감수성: 어떻게 젠더 감수성을 키워 나갈까?

① 언어
② 외모
③ 입장 
 
​4. 민주시민교육, 함께 만들어나가는 장

​1) 인터뷰
① 에코페미니즘이 시나브로 스며들도록:
    여성환경연대 김민지 에코젠더팀장 인터뷰
② 인권과 나를 이어주는 연결고리:
    인권교육센터 '들' 정주연(루트), 박지연(연잎) 상임활동가 인터뷰
③ "모두가 모두로부터 배운다" 서로에게 배움을 실천:
    '피스모모' 김영철 두어스랩 실장 인터뷰
④ 울타리를 넘어, 관계 맺는 교육:
    '장애여성공감' 여름 활동가 인터뷰
⑤ 이주여성이 삶의 주체가 되는 교육:
     '이주여성인권센터' 김혜정 팀장 인터뷰

​<부록> 2021 서울형 대안교육기관 목록

  



06. 조경미_코로나19 온라인 개학 현장의 기록: 코로나 이전부터 미미한 존재들로 인식되어온 우리들의 이야기


☞ 조경미_ s-education2020@naver.com

전국장애인부모연대 활동가이자, 세 아이를 둔 엄마이다. 아이셋 키우기도 힘든 세상에서 그중 쌍둥이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받았다. 우리 사회에서 남들과 다른 장애자녀를 키운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일상 속에서 경험하며 동시에 그런 사회를 바꾸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동시에 나는 여전히 하고 싶은 것 많고, 자유롭고 싶은  꿈 많은 사람이다. 현재 가장 큰 관심사는 통합교육이며, 어떻게 해야 우리 사회에서 ‘통합교육’이 가능할까?를 주요하게 고민하며 관련 활동을 하고 있다.  경쟁교육, 비장애중심교육이 아닌 모두가 존중받는 교육,  지금과는 다른  대안교육에 관심이 많다.

 

 

 

 

​들어가며 
이전부터 미미한 존재로 인식되어 온 나와 아이들의 온라인 개학 경험


1부 코로나19 시기, 학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2020년의 코로나19 상황과 학교, 왜 온라인 개학일까?
。코로나19 감염 우려에서도 온라인 개학에 반대하는 부모들, 왜 그랬을까?

2부 특수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만남
​​。​특수교육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교육이란 무엇인가?
​。​특수교육과 온라인 교육에 관한 연구​

 

 


​   3부 학령기 자녀를 둔 엄마를 만나다.
​   ​。내가 만난 아이와 엄마
​   。​온라인 교육 경험을 말하다
​   。​통합학급 수업을 말하다
​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을 말하다
​   。​적합한 교육지원 방법을 말하다

   4부 온라인교육, 그 이면에 가려진 문제
   。맺음말_온라인 교육 그 이면에 가려진 문제
​   。​미미한 존재에서 중요한 존재로

   ◆ 에필로그
   ◆​참고문헌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1.12.13 / 수정일 : 2023.03.29 / 조회수 : 1311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