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자연을 꿈꾸는 학교텃밭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박보현 / 작성일 : 2015.01.04 / 수정일 : 2020.06.19
학교텃밭을 최초로 시작한 여성환경연대가 8년의 시간을 모아 발간한 학교텃밭가이드북입니다.

씨앗을 심고, 싹을 틔우고, 때에 맞게 수확하고, 수확한 생산물을 밥상에서 만나는 일, 그를 위한 땀과 노력. 텃밭을 통해 생명이 자라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여 생태적감수성을 회복하는 아이들의 모습과 변화 속에 진한 감동이 있었습니다. 속살처럼 은근히 숨어 있는 자투리 공간을 찾아 텃밭을 만들어 아이들과 함께한 시간을 담았습니다.

자연을 꿈꾸는 학교텃밭
-저자: 여성환경연대
-발간: 2014년
-출판사: 들녘

책소개

풍부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학교텃밭’에 맞춘 텃밭농사 가이드

농사에 필요한 ‘정석’적 지식과 정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학교 바깥의 교육활동가들이 처음 학교에서 텃밭교육을 할 때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으로 기획했고 구성했다. 학교 일정의 흐름에 파종과 수확 시기를 맞추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농사의 때와 딱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담임선생님 및 교내 다른 선생님과의 의견 조율, 방학을 맞이하면서 해야 할 텃밭 관리, 농사 외에 아이들과 즐길 수 있는 각종 놀이나 부대 수업, 텃밭수업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 등을 상세하게 소개했다.

1부에서는 학교 텃밭을 왜 해야 하는지, 어떤 좋은 점이 있는지 소개하고, 2부에는 학교 텃밭을 실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과 방법을, 3부에는 학교에서 학생들과 텃밭을 가꾸고 교육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내용과 자료를 24회차에 맞게 담았다. 후반부에는 여성환경연대가 텃밭을 지속했던 학교들의 실제 사례와 텃밭활동을 하며 자주 들어오는 질문으로 구성한 Q&A를 실었다. 이 책은 학교텃밭을 일구어보려는 교사들, 학교텃밭에 관심이 있는 학부모나 활동가들, 나아가 아이들과 농사 짓는 법이 궁금한 모든 독자들에게 길을 제시해줄 것이다.

목차


1부 왜 학교에서 텃밭을 가꿀까?
-학교에서 텃밭 교육을 하는 이유
-기후변화 시대, 가까운 먹을거리
-건강한 입맛을 찾아가는 밥상 교육의 장
-밥상 부산물, 똥과 오줌이 다시 태어나는 순환, 지속가능한 관점의 교육 제안
-사회 환경 교육의 흐름과 학교텃밭
-텃밭 교육, 굳은 감수성을 부드럽게
-가까운 곳에서 키워가는 생태감수성
-먹을거리 교육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텃밭
-삽질과 놀이로 발산하는 신체활동
-실수를 포용하는 생명력, 누구나 함께 나누는 성취와 보람
-공동 작업을 통해 얻는 공동체의식 함양


2부 무엇을 준비할까?
-머리 맞대고 원칙 정하기
-텃밭농사의 기초, 3無 텃밭농사
-기존에 있는 자원을 활용하자
-교육의 기초
-시행착오 줄이기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
-학교 교육과정과 텃밭 수업의 배치
-학교 교사의 업무 부담과 교원순환전보제도
-학교텃밭 지원 사업 공고 및 추진
-텃밭 교육의 특성
-학교텃밭 준비 요건
-텃밭의 형태 정하기


3부 아이들과 보내는 텃밭에서의 1년

-두근두근 1학기 
3월 초순 - 좋은 땅 만들기
3월 중순 - 밭 디자인하고 씨앗 틔우기
3월 하순 - 씨감자 심기
4월 초순 - 잎채소.당근 씨앗 심기, 상자텃밭 만들기
4월 중순 - 콩.씨토란.해바라기.봉숭아 심기, 감자 북주기
4월 하순 - 옥수수.땅콩.수세미 심기, 잎채소 솎아주기, 볍씨 틔우기
5월 초순 - 가지.토마토.고추.호박 모종.고구마 심기, 작물 팻말 만들기
5월 중순 - 오이 모종 심기, 곁순 따주기, 지주 세우기, 웃거름 주기
5월 하순 - 순지르기, 들깨.목화.허브 모종 심기
6월 초순 - 벌레 잡기, 모기 퇴치제와 자연농약 만들기
6월 중순 - 김매기, 잎채소.열매채소 수확하기
6월 하순 - 하지 감자.강낭콩 수확하기, 풀퇴비 만들기
7월 초순 . 텃밭 정리하기, 퇴비 만들기

-이제는 척척 2학기
8월 하순 - 여름 밭 정리, 가을 밭 만들기
9월 초순 - 무.배추.쪽파.갓 심기
9월 중순 - 토란 수확하기
9월 하순 - 벌레 잡기, 자연농약과 액비 만들기
10월 초순 - 씨앗 받기
10월 중순 - 쪽파 수확하기, 배추 솎아내기
10월 하순 - 땅콩.고구마 수확하기
11월 초순 . 시금치.밀.보리.마늘 심기
11월 중순 - 겉절이.깍두기 담그기, 무청 엮기
11월 하순 - 텃밭 대동제
12월 초순 - 1년 마무리 텃밭 신문 만들기

1년 농사를 마무리하며 - 한 해 돌아보며 평가하기


따라 하고 싶은 학교텃밭 모델 만들기
-작은 학교에서 일구는 감동, 정수초등학교(서울시 성북구)
-지역사회에서 틔우는 돌봄과 살림, 면동초등학교(서울시 중랑구)
-빨간 장화가 가꾸고 만들어가는 오류초등학교(서울시 구로구)


현장에서 뽑은 Q&A


여성환경연대 발간컨텐츠_ 여성환경연대는 여성과 남성, 인간과 자연, 현 세대와 다음세대가 평등하고 조화로운 세상을 꿈꿉니다. 생명을 살리는 여성의 관점에서 생태적 대안을 찾으며 돌봄과 살림의 녹색사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자연의 속도를 따르는 대안생활방식을 제안하고, 환경과 여성의 관점에서 내 몸을 돌보는 환경건강캠페인을 진행하며, 성장과 경쟁담론을 벗어나 돌봄-살림-자급의 가치를 실천하는 다양한 활동을 진행합니다. www.ecofem.or.kr


작성자 : 박보현 / 작성일 : 2015.01.04 / 수정일 : 2020.06.19 / 조회수 : 29203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