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
[종합본] NPO정보지식포럼 기록집 '읽는, 포럼' <우리는 누구를 믿고 무엇을 신뢰하는가>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2.05.31 / 수정일 : 2022.08.26
NPO정보지식포럼 기록집 '읽는, 포럼' 우리는 누구를 믿고 무엇을 신뢰하는가

사회를 둘러싼 갈등과 불안, 분노는 왜 해소되지 않을까요?

2018년, 우리나라 개인 소득 최상위 0.1%는 중간 소득자의 61배를 벌었다고 합니다. 
노동 시간, 노동의 질, 임금의 양극화 문제로 인한 갈등과 대립은 매일 크고 작은 사건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사람이 떠난 빈집과 하루가 다르게 가격이 높게 치솟는 집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우리는 누구를 믿고 무엇을 신뢰하는 것일까요?
기후위기가 가져온 불평등은 이미 일상을 침범하고 있는데, 왜 여전히 위기에 대한 실감은 낮을까요?
모두가 좋은 학교, 좋은 직장에 가기 위해, 좋은 동네에 살기 위해 노력하지만
불평등으로 가득한 구조 속에서 개인의 노력으로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얼마나 될까요?
차별과 혐오에 반대한다고 하지만 과연 우리 안의 차별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나요?
그래서 우리는 지금, 내외부 환경 변화로 인한 운동의 방향을 어떻게 찾아야 할까요?

NPO 정보지식포럼 '멈추지 말아야 할 질문들'을 계속했습니다. 
우리 사회의 충돌과 적대감의 현상을 살펴보면서,

시민사회가 이 문제를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무엇을 바꾸어야 할 지 함께 고민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총 5차로 기획했습니다.

'양극화', '기후위기', '불평등', '차별과 혐오', 총 4가지 요인을 각 포럼(1~4차)의 주제로 선정하여 NPO의 시선으로 분석하고,
마지막 5차에서 전환을 위한 사회 재구성에 필요한 NPO의 역할과 방향을 제안 하고자 했습니다.

다양한 시각의 강연들은 사회를 둘러싼 갈등과 불안, 분노의 요소를 살펴보고,
함께 살아가는 사회의 미래를 그려보며 NPO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우리는 누구를 믿고 무엇을 신뢰해야 하는지 들여다보게 합니다.

그렇게 우리는 '세상을 사랑하는 존재들'로서 함께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만들어갑니다. 

기획의도
서문. '빌런'이 업그레이드 되었다 : NPO 정보지식포럼을 돌아보며 I 민경배

첫 번째 포럼 - NPO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회 양극화'
극단에 선 사람들, 우리 사회에서 공존할 수 있을까? 
발제 1. 한국 사회 다중격차, 어떻게 풀 것인가? I 신진욱
발제 2. 문제는 위가 아니라 아래, 최저선이 없다 I  황세원
발제 3. 불평등의 시대를 건너가는 다리 I 이원재
발제 4. 일극중심 사회에서 지역공생 사회로 I 하승수
[패널talk] 사회 양극화를 좁히기 위한 핵심 쟁점을 논하다 : 노동, 경제, 지역 3가지 분야


두 번째 포럼 - NPO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후위기'
기후위기, 우리는 이제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발제 1. 기후위기와 기후정의 : 과학적 윤리적 이해 I 한재각
발제 2. 기후위기 시대 주거권의 긴급한 요구 I 김윤영
발제 3. 폭풍의 맨 앞에 서 있는 사람들 : 농업과 먹거리, 그리고 농민 I 김정열
발제 4. 기후위기를 대처하는 시민사회의 자세 I 정규석

세 번째 포럼 - NPO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불평등'
불평등, 우리가 애써 외면하는 것들
발제 1. 불공정이 아니라 불평등을 말해야 하는 이유 I 박권일
발제 2. 학력 학벌 차별 반대운동과 시민사회 연대하기 : 학력 칸을 넘어 자유와 무지의 세계로 I 윤서
발제 3. 교육은 학생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가? : 운명과 능력을 거스르는 교육에 대하여 정용주
발제 4. 자본과 국가는 노동의 불평등을 어떻게 정당화하는가? I 윤지영

네 번째 포럼 - NPO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차별과 혐오'
멈추지 말아야 할 질문들
발제 1. 우리 안의 차별 : '나'라는 차별의 공간, 충돌하는 현장으로서의 '나' I 홍은전
발제 2. 혐오 조장과 전파의 결절점, 유튜브 I 정수경
발제 3. 차별과 민주주의 : 정치제도는 어떻게 혐오를 자극하는가 I 하승우
발제 4. 현장에서 길을 찾다 : 웃으면서, 혐오에 끝까지 대항하기 I 한채윤

다섯 번째 포럼 - NPO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회 재구성과 시민사회'

활동의 자리, 세상을 사랑하는 존재들
발제 1. 젠더링 뉴노멀 : '닭고기의 평등'을 넘어서 I 손희정
발제 2. 탈인간중심주의 : 직접행동으로 우리의 경계 넘기 I 은영
발제 3. 신호와 감지 : 활동의 변곡점을 찾아서 - 2021 NPO 트렌드 리포트를 중심으로 I 박아영, 안연정

발행처_서울시NPO지원센터

발행일_2022년 5월 31일

#NPO정보지식포럼
 #NPO의시선 #아카이빙북 #센터발간자료

* 자료를 인용하실 때는 출처를 꼭 표기해주세요.

- 이 기록집은 'NPO 정보지식포럼(총 5회차)' 현장을 기록 및 재구성하여 각 포럼 주제를 밀도 깊은 텍스트로 아카이빙하고 확산시키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 각 포럼 발제의 '현장에서 풀지 못한 질문들'은 온라인 참가자의 사전, 현장 질문을 토대로 진행된 사후 인터뷰 내용을 수록했습니다.

---------------------------------------------------------------------------------------

<출처추가표기 안내> * 기록집 본문에 작성된 출처를 보다 구체적으로 표기하였습니다.
p.53 <그림13> 원문 출처 : AFP연합뉴스 / 서울신문, “세상 끝나는 줄사막에나 있는 거대 먼지폭풍 브라질 강타, 2021.10.01.

p.61 <그림 14> 연합뉴스, 소득분위별 가계 월평균 소득·소비지출, 2021.08.19. / 연합뉴스, 2020년 소득 분위별 소비지출 증감률, 2021.05.11.
p.72 <그림 16> 연합뉴스, 전국적 폭염에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18최근 3년간 최다, 2021.08.09.
p.76 <그림 18> 동아일보, [수도권] 뉴타운 속도조절 나선다, 2009.01.16.
p.77 <그림 19> 중앙일보, 정부 강남만 볼 때···컨테이너 거주, 금융위기 때보다 7배 늘었다, 2020.07.12.
p.119 <그림 32> 부산일보, [나는 대학민국 고졸이다 ] 저임금 고졸은 노오오오력하지 않은 개인 탓?, 2020.11.17.
p.137 <그림 36> 오마이뉴스 권우성, 서울시 12구의역 사고시민대토론회 연다, 2016.06.09.
p.138 <그림 37> 뉴스1코리아, 서울교통공사 청년모임, ‘준비 없는 전면 정규직화는 총체적 난국 초래할 것’, 2017.09.13
p.149 <그림 39> 한국일보, “저상버스 도입 하겠다” 20년째 반복되는 지키지 않을약속들, 2021.04.24.
p.172 <그림 45> MBC뉴스, 한국은 어쩌다 갈등공화국이 되었나, 2022.03.20.
p.173. <그림 46> 노컷뉴스, 의석 97% 점유한 거대 양당정치 효율성 낙제점’, 2015.01.14
p.174. <그림 47> KBS, 연동제 결과 거꾸로거대 양당체제 심화, 2020.04.16
p.177. <그림 48> 원문 출처 : AFP연합뉴스 / 서울신문, ‘트럼프 딸이방카, 의회 난입 시위대에 애국자들”(종합), 2021.01.07
p.183. <그림 49> 뉴스앤조이, 이승규, 동성애차별금지법 일부 교계 반발, 2007.10.22.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2.05.31 / 수정일 : 2022.08.26 / 조회수 : 998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