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2019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조사/(재)예술경영지원센터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SinMás / 작성일 : 2020.05.07 / 수정일 : 2020.06.02
<2019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보고서는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최초 시행되었습니다. 본 조사는 일반현황, 고용현황, 재무현황, 인식 및 만족도, 지원사업 참여 현황 등의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국내 및 해외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사례 연구 조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회적경제 조직 22,580개에서 추려진 조사모집단 1,350개 중 기본현황 응답 수는 949개(70.3%)이며 주요현황 조사에 응답한 745개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 사례: Ÿ 히든북, ㈜보노보씨, 청년협동조합더블유42, 협동조합꿈꾸는문화놀이터뜻, 서울오케스트라, 백제에서놀자, 광명심포니오케스트라, 사단법인 하늘에, 사회적협동조합 자바르떼, 사단법인 전북예술문화원, (사)색동회 대구지회, (사)타악연희원 아퀴, Ÿ ㈜어반플레이, 주식회사하비풀, 안산팝스오케스트라, 주식회사좋은한그루, 애프터스쿨사회적협동조합, 사단법인 정가악회, 꿈꾸는씨어터(주), 사단법인인디053, 사단법인문화프로덕션도모, 루트머지주식회사, 파주타이포그라피교육협동조합,다빈생활문화공동체협동조합, 주식회사에이드런, 아이랑스쿨, 주식회사공공공간, 주식회사더플레이, 문화인력양성소협동조합판, (유)뮤지컬수컴퍼니​

▶해외 연구 사례프랑스 꽁빠뇽나쥬 극단 연합, 영국 콕핏 아츠(Cockpit Arts), 벨기에 스마트 협동조합 (SMart), 미국 스노우시티아트 (Snow City Arts), 캐나다 아트스케이프 (Artscape), 호주 스튜디오 에이 (Studio A)

요약 보고서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국내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2.2. 국내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사례분석
 2.3. 해외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사례분석 

Ⅱ.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 조직 정량조사 결과 분석 13
 1. 조사 개요 
 2. 종합분석 
 2.1. 주요 조사결과 요약 
 2.1.1. 일반현황 
 2.1.2. 고용현황 
 2.1.3. 재무현황 
 2.1.4. 사회적경제 조직 운영 관련 인식 및 만족도 
 2.1.5. 사회적경제 조직 지원사업 참여 현황 
 2.1.6. 제품·서비스 및 조직 운영 경쟁력 자가 진단 
 2.1.7. 문화예술콘텐츠·콘텐츠비즈니스 운영상의 필요 사항(정성조사 결과 반영) 

ii |2019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요약 보고서
 2.1.8.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지원 관련 방향성(정성조사 결과 반영) 
 2.2. 인증사회적기업 통계와의 연계 분석 
 2.3. 심층 통계 분석 
 2.3.1. TLBMC(Triple Layered Business Model Canvas) 분석 개요 
 2.3.2. TLBMC(Triple Layered Business Model Canvas) 구성 요소 
 2.3.3. TLBMC(Triple Layered Business Model Canvas) 결과 분석 
 2.3.4. 정책 방향성 설정을 위한 주요 주제 분석 

Ⅲ. 국내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지원 현황 및 사례연구 조사 
 1.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장사례 분석 개요 
 1.1. 분석 개요 
 1.2. 인터뷰 질의 내용 및 진행 
 2. 국내사례연구 종합분석 
 2.1.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을 분류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준 
 2.2.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장 모델과 경쟁 역량 
 2.2.1. 지역솔루션형 성장 모델 
 2.2.2. 프랜차이즈형 성장 모델 
 2.2.3. 블루오션형 성장 모델 
 2.2.4. 플랫폼형 성장 모델 

Ⅳ. 해외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지원 현황 및 사례연구 조사 
1. 연구개요
2. 주요 시사점 
 2.1. 프랑스 사례연구 기관개요 및 시사점 
 2.2. 영국 사례연구 기관개요 및 시사점 
 2.3. 벨기에 사례연구 기관개요 및 시사점 
 2.4. 미국 사례연구 기관개요 및 시사점 
 2.5. 캐나다 사례연구 기관개요 및 시사점 
 2.6. 호주 사례연구 기관개요 및 시사점
3. 해외사례연구 종합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및 정책제언 
 1.1.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의 개념 및 특징
 1.2.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조직 지원 사업의 배경 및 현황 
 1.3.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지원 전략에 대한 제언 


<2019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실태조사> 요약본 및 전체 보고서 다운로드







작성자 : SinMás / 작성일 : 2020.05.07 / 수정일 : 2020.06.02 / 조회수 : 1823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