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용어를 바꾸자! 성민복지용어사전 2020개정판!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얼대왈 / 작성일 : 2020.12.06 / 수정일 : 2020.12.08

사회복지 현장은 물론 비영리 영역에서 자연스럽게 혹은 당연히 사용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관리, 사례관리, 수혜자, 중간관리자, 주민조직화 등입니다. 내가 보았던 보고서와 기획서, 내가 만들던 제안서에도 항상 있었던 단어이기에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이 계속해서 사용되는 단어들이자 대체/대안 단어도 생각나지 않는 단어들입니다그런데 한 복지관에서 워크숍을 통해 사회복지의 본질(本質)적인 의미와 가치라는 철학적이고도 근본적인 고민을 시작하였고, 그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지 용어에서 전혀 인격적이지 않은 부분들을 발견되면서, 단어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새로운 대체어를 제안하는 프로젝트에 돌입하게 됩니다.

 
 

 
< 책 표지>

 

가치와 철학에 부합하는 정확한 단어 사용은 본질에 접근하기 위한 첫 번째 노력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언어는 존재의 집이자, ‘인권그 자체이며, ‘생각을 형성하고 지배하는 가장 큰 힘일 뿐만 아니라, 그 안에 권력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성민복지 용어사전 초판 서문 -

 

그렇게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성민종합사회복지관은 시대 변화와 높아진 인권의식에 부응하는 새로운 복지 용어를 제안하기 위해 20184성민복지 용어사전을 첫 발간하였고, 올해 20208월 개정판이 나왔습니다문제제기된 용어 16(개입, 관리, 독거노인/홀몸노인, 발굴, 사례관리, 서비스, 성인 기능교실, 수혜자/대상자, 이용자, 자원봉사/자원봉사자, 주민조직화, 중간관리자, 지원/제공, 취약계층/저소득층, 프로그램, 후원/기부)를 통해 제기된 단어의 문제를 확인해보고, 제안된 대체 단어를 사용해보는 건 어떨까요?

 

기본적인 구성은 각 단어의 정의(사전적정의 포함)와 의미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 단어를 현실에서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여러 적용 사례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발굴'이라는 용어에 대한 예시입니다.
 

사례 발굴

의미 – 주로 취약계층 발굴’, ‘복지사각지대 발굴등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있거나 질병이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현재의 상황을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주민을 찾는다는 의미로 사용해왔다.

사전적 의미 :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거나 뛰어난 것을 찾아 밝혀냄

문제제기 : ‘발굴은 주로 사물 및 체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자칫 주민을 취약계층, 복지사각지대 등으로 대상화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사람에게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제안 : ‘발굴용어는 취약계층 등의 용어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주민을 도움이 필요한 객체로 대상화할 위험이 있어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 맞게 다른 말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실천적 적용 : 주민을 대상화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주민 만나기 캠페인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례관리 부분 발췌 1>



<사례관리 부분 발췌 2>

 

- 출처 : http://www.smw.or.kr/

- 자료링크 :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작성자 : 얼대왈 / 작성일 : 2020.12.06 / 수정일 : 2020.12.08 / 조회수 : 1631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