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도 정책이 될 수 있나요? - 영국 웨일즈의 사례
현안과이슈 / by 윤일 / 작성일 : 2022.04.07 / 수정일 : 2022.04.11

 

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라기 위해 놀이는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많은 부모들이 감염이 걱정이 되어서, 공부하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이유로 자녀가 충분히 노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아이들 스스로도 더 놀고 싶음에도 불구하고 안전하고 재밌게 놀 장소가 없거나 같이 놀 사람이 없어서, 스마트폰이나 TV라는 쉬운 대체제를 선택할 수 있어서 충분히 놀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동이 충분히 놀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식 개선 뿐만 아니라 기관, 사회, 국가의 책무를 정책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놀이 친화적 정부를 표방한 영국 웨일즈의 사례와 구체적 정책들을 소개합니다. ​ 



출처  : https://www.bps.org.uk/time-to-play

 

영국에서는 ‘놀 시간을 만들자 Make time to play’라는 캠페인을 2011년부터 정책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동에게 높은 질의 놀이 기회를 제공해야 할 책무를 기관, 사회, 국가가 가지고 있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영국 웨일즈는 놀이 친화적 정부(Play Friendly Country)정책을 표방하며 2002년 UN 아동권리협약 31조를 법으로 도입한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되었습니다. 

UN 아동권리협약 31조(여가, 놀이, 문화) : 어린이는 쉬고 놀 권리를 가지며, 다양한 문화적, 예술적, 기타 여가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다. 이는 휴식, 여가, 놀이, 레크리에이션, 문화생활, 예술에 대한 어린이의 권리에 대한 일반규정 제 17조와 함께 적용해야 한다. 



출처 : 아동권리협약 공식 포스터


놀이 친화적 정부 정책을 표방한 이후 웨일즈는 2006년에 놀이정책(Play Policy)을 정부가 앞장서서 구체적으로 수행할 책무를 구체화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놀이 정책 이행 계획 Play Policy Implementation Plan(2006)」을 통해 추가적인 놀이 비전을 발표 했습니다. 

 

2010년에는 ‘아동 및 가족 법 2010’(Children and Families Measure 2010) 제 2조에 ‘아동의 놀이와 참여’에 관한 사항을 법적으로 명시하였습니다. 이 법적 근거로 인해 2012년 부터는 지자체가 아동의 놀이 기회가 실제 충분히 일어나고 있는가를 평가하도록 하면서 ‘놀이 충분성 평가서(Play Sufficiency Assessment Toolkit)’를 만들고 의무적으로 놀이가 충분한지 파악하여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곧, 웨일즈는 놀이 기회를 충분히 주어야 한다는 지역사회의 의무를 법적으로 고시한 최초의 주정부입니다. 


 

이후 웨일즈 정부는 양적, 질적으로 놀이를 충분히 제공해야 하는 지자체의 의무 (the Play Sufficiency Duty)를 명시해놓은 「Creating a Play Friendly Wales(2010)」 지침서를 발간하여 놀 시간, 놀 공간,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성인의 인식과 놀이 수행 수립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놀이 인력(Play Workforce) 활용에 대한 고민을 이어가며 놀이 활동가(Play worker)자격 과정을 만들고 시행하여 실제 직업으로 운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Q. 놀이 활동가(Play worker)는 어떤 일을 하나요?

A. 놀이 활동가는 아이들이 스스로 놀 공간과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사람입니다. 놀이 환경을 세팅 하거나 게임을 주도하고 부상과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처하기도 합니다. 

출처 : https://nationalcareers.service.gov.uk/job-profiles/playworker



 

출처 : 영국 웨일즈 놀이 충분성 평가 도구집의 몇가지 평가 항목들의 내용 

위의 표는 영국 웨일즈에서 실행하고 있는, 각 지역사회에서 얼마나 아동 놀이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가를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놀이충분성 평가서(Play Sufficiency Assessment Toolkit)의 항목 중 몇 가지를 제시한 것입니다. 각 평가항목들은 RAG(빨간, 황, 녹색 Red, Amber, Green)로 표시하며, 각 항목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아서 미달인지(R), 부분적으로 충족 시켰는지(A), 완전히 충족하였는지(G) 여부를 나타냅니다. 

 

항목들은 표지판부터 도로 폐쇄와 같은 도시 계획에 대한 내용부터 놀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확산에 대한 노력, 놀이 관련 전문가 양성까지의 내용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실제 놀이충분성 평가서 툴킷과 사용 설명서는 아래 사진 출처의 링크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놀이 충분성 평가서(Play Sufficiency Assessment Toolkit) 


1925년 유일 웨일스 출신 영국 수상이었던 데이빗 로이드 조지(David Lloyd George)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놀 권리는 어린이가 공동체에서 처음으로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놀이는 자연에서 삶을 배우는 방법이며, 어떤 공동체도 이 권리를 침해할 수 없습니다. 이 권리를 침해하면 시민의 몸과 마음에 치유할 수 없는 해를 가하게 됩니다,’  

 

그의 말에서 놀이가 단순 아이들, 아동기만을 위한 것이 아닌, 건강한 사회를 위해 모든 시민들이 보장받아야 하는 시민권으로 인식하는 관점을 엿볼 수 있습니다. 웨일즈의 사례는 말뿐만 아니라 정부가 직접 나서서 놀이권을 보장하는 수준의 사회적 합의와 구체적인 실행에 대한 영감을 제공합니다. 아동들에게 놀 기회가 충분히 있는지를 확인하고, 지역 사회에서 놀이 참여 및 촉진을 위한 적절한 공간을 적극 제공하고, 성인들이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필요한 사회 제도를 마련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참고 자료 다운로드 링크
놀이 정책 이행 계획 Play Policy Implementation Plan (2006)  
놀이 충분성 평가서(Play Sufficiency Assessment Toolkit) 

유엔아동권리협약 공식 문서






작성자 : 윤일 / 작성일 : 2022.04.07 / 수정일 : 2022.04.11 / 조회수 : 9889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