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사례] 공정무역으로 연대하기, 공정무역 학교만들기(2)
활동사례 / by 민들레 / 작성일 : 2021.08.29 / 수정일 : 2023.03.31

[활동사례] 공정무역으로 연대하기, 공정무역 마을만들기

공정무역으로 연대하는 방법에는 공정무역 마을, 학교 만들기도 있는데요. 이전에는 공정무역 마을만들기에 대한 소식을 들려드렸었습니다. 오늘은 공정무역 학교 만들기에 대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자료집의 내용을 일부 발췌한 것이니, 전문이 필요하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공정무역으로 연대하기, 공정무역 마을만들기 ▶ 바로가기

 


공정무역 대학 만들기
공정무역 대학 운동은 2003년 Oxford Brooks University가 최초의 공정무역 대학교가 되었을 떄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곧 Birmingham University가 가입하였고, People & Planet groups 이 영국 전역에서 공정무역 대학 운동을 제도적으로 활성화시켰습니다. 현재 영국 전역에는 160여 개가 넘는 공정무역 대학이 있으며 그 외 다른 대학들도 공정무역 대학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공정무역 대학이란?
영국 전역에서 학생들과 대학 관계자들은 캠퍼스를 더 윤리적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공정무역 상표가 붙은 상품의 이용 및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는 활동입니다. 공정무역 대학은 공정무역을 지원하고 이에 헌신합니다. 가능한 한 많은 장소에서 공정무역 제품을 사용하고 학생들과 관계자들에게 공정무역이 저개발국 생산자들에게 주는 혜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정무역 대학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주변에 공정무역을 알리는 잠재적인 운동가 역할을 해낼 것입니다.

공정무역 대학 운동의 5대 목표
공정무역 정책 수립 학생회(또는 등가 단체)와 대학 당국이 함께 5대 목표를 아우르는 공정무역 정책을 만들고, 이를 매년 개정해야 합니다.
캠퍼스 매장 내 공정무역 제품 판매 캠퍼스 내 모든 매장/카페/식당/바 등이 공정무역 제품을 사용하거나, 이곳에서 식품, 면을 포함한 공정무역 제품 판매가 가능해야 합니다. 매년 학교 내 공정무역 제품의 이용률과 구매의 편리성이 증대되어야 하며, 대학과 학생회는 공정무역 면으로 만든 제품(예: 조직원 유니폼, 상품 등) 구매를 추진해야 합니다.

회의 시 공정무역 제품 사용 대학과 학생회(또는 등가 단체)가 개최하는 모든 회의/행사 및 내부 회의에서 공정무역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차, 커피, 설탕 등을 시작으로 가능하다면 다른 공정무역 제품(예: 비스킷, 주스, 과일)도 사용해야 합니다. 공정무역 캠페인 캠퍼스 내에서 공정무역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공정무역 제품 소비를 촉진하는 캠페인을 진행해야 합니다. 공정무역을 적합한 강의 안에 포함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 주관의 행사에 공정무역 실천, 무역정의 인식 증대의 내용을 담는 것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정무역 운영 위원회 구성 학생회, 대학 관계자, 식품 공급 및 조달업체의 각 대표들을 포함하는 공정무역 운영위원회를 설립해야 합니다.
반드시 학생 대표도 운영위원회에서 대표권을 가져야 합니다

왜 공정무역 대학이 되어야 하나요?
저개발국 농민과 생산자의 삶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재미있고, 보람찬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공정무역 대학 운동을 통해 무역정의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대학이 세계 무역시장에서 더 공정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커피, 초콜릿, 면, 화장품 등 교내에 공정무역 제품이 사용될 수 있는 곳이 많습니다. 공정무역 제품의 사용과 판매를 확대하면 생산자와 지역사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공정무역은 다양한 주제와 연결되어 있어서 더 풍성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공정무역 대학은 공정무역 확산에 핵심적인 공정무역 마을, 도시, 학교, 종교단체 운동 등 더 큰 공정무역 운동의 한 부분입니다.

공정무역 대학을 위한 여정 시작하기
공정무역 대학이 되려면 정책 수립, 캠퍼스 내 공정무역 제품 판매, 회의 시 공정무역 제품 사용, 캠페인 활동, 운영위원회 설립의 5가지 목표를 달성해야 합니다. 아래 사례와 같이 공정무역 캠페인을 위한 '생각 지도'를 만들어볼 수도 있습니다.



목표1) 학생회(혹은 등가 단체)와 대학 관계자들은 5대 목표와 관련된 공정무역 정책을 수립하고 매년 검토합니다.
OO대학 학생회는 공정무역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저개발국의 소외된 농민들을 돕고, 무역정의 문제에 관한 인식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 공정무역 식품, 공정무역 면 등 교내에서 취급 가능한 공정무역 제품 범위를 넓히고 이를 교내 상 점과 식당 등에서 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대학과 학생회는 조달 계약을 통해 교내 공정무역 면 제품 판매를 독려하겠습니다.
* 공정무역 제품은 대학이 주최하는 모든 회의와 행사 및 식당에서 사용될 것입니다.
* 대학은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 증진과 공정무역 제품 소비 활성화를 위해 학생회와 다음 활동을 함 께 할 것입니다:

- 직원과 학생들에게 공정무역 정책과 공정무역 대학 운동 근거 알리기
- 공정무역 인증 및 공정무역 대학에 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는 행사 개최하기
- 매년 공정무역의 날 행사 참가하기
- 공정무역 관련 이론 및 사례 연구를 적절한 교과목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교수진과 협의하기 다양한 단체와 학생들이 포함된 공정무역 운영위원회 연합은 최소 학기당 한번 정책 실행을 위한 회 의를 개최하고, 정책을 매년 검토 및 개정해나갈 것입니다.

목표2) 공정무역 식품 & 면 등의 공정무역 제품을 전 캠퍼스 상점에서 구매 가능하도록 추진합니다.
모든 카페/레스토랑/바에서 공정무역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지 대학 내 공정무역 제품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대학 학생회는 공정무역 면 제품 (직원복, 교과목에 필요한 의복, 상품 등) 구매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합니다
판매 중인 공정무역 제품 범위는 HTTP://KFTO.ORG/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많은 제품의 사용을 위해 모든 상점, 카페, 레스토랑과 협력해보세요.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제품을 판매할 필요는 없지만 사용 가능한 제품 범위를 확대할수록 더 많은 혜택이 공정무역 생산자들에게 돌아갑니다.

목표3) 대학, 학생회 등에서 주최하는 모든 회의/행사에서 공정무역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정무역 차, 커피, 설탕을 시작으로 다른 공정무역 제품(과자, 주스 등)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은 '일상적 실천'을 통해 생산자들에게 더 좋은 거래를 보장하고, 직원들에게 공정무역에 직접 참여하고 있음을 느끼게 할 기회입니다. 공정무역에 친화적인 일터에서 직원들이 공정무역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직원과 방문자, 학생들 사이에 공정무역 의식과 목표를 최대한 많이 확산할 수 있도록 실천해보세요.

목표4) 교내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은 공정무역과 공정무역 제품 소비에 대한 이해를 높여줍니다.
공정무역 교육과 함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 실천, 무역정의 인식 증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목표에는 창의성을 발휘하고 여러분만의 독창적인 캠페인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담겨 있습니다. 와인 시음회부터 온라인 캠페인, 미디어 홍보, 공정무역 사례 교과과정에 넣기 등등. 무역정의와 지속가능한 소비 등 공정무역 주제와 관련된 것들에 학생들의 참여를 촉구합니다.

목표5) 교내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은 공정무역과 공정무역 제품 소비에 대한 이해를 높여줍니다.
공정무역 교육과 함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 실천, 무역정의 인식 증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목표에는 창의성을 발휘하고 여러분만의 독창적인 캠페인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담겨 있습니다. 와인 시음회부터 온라인 캠페인, 미디어 홍보, 공정무역 사례 교과과정에 넣기 등등. 무역정의와 지속가능한 소비 등 공정무역 주제와 관련된 것들에 학생들의 참여를 촉구합니다.

교내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은 공정무역과 공정무역 제품 소비에 대한 이해를 높여줍니다. 공정무역 교육과 함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 실천, 무역정의 인식 증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목표에는 창의성을 발휘하고 여러분만의 독창적인 캠페인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담겨 있습니다. 와인 시음회부터 온라인 캠페인, 미디어 홍보, 공정무역 사례 교과과정에 넣기 등등. 무역정의와 지속가능한 소비 등 공정무역 주제와 관련된 것들에 학생들의 참여를 촉구합니다.


사례 연구

 

Nioka는 카리브해 화산섬에 서 30년 넘게 바나나를 재배해오고 있습니다. 그녀는 1주일에 바나나 25상자를 생산하며 이를 통해 소득의 90%를 얻습니다. 또한 지역시장에 팔 작물도 재배합 니다. 윈즈워드 섬의 총 수출액은 전통적 으로 바나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 섬의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00년 Nioka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는 WINFA(Windward Islands Fairtrade Association) 의 공정무역 인증을 통해 영국에 공 정무역 바나나를 판매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핵심 사업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 니다. 생산자들은 안정적이고 공정한 바 나나 가격을 받을 뿐 아니라 공동체 발전 기금을 투자하여 학교, 교육, 대학/의료 무역정의운동(TJM: Trade Justice Movement)은 80개 조직 연합체(Fairtrade Foundation 포함)가 함께하는 캠페인으로 자유무역을 지지하는 부유한 나라와 사업체보다는 빈민과 환경에의 혜택에 중점을 둔 규제를 통한 무역정의를 알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설 건설, 지역 도로 재건, 환경 청소 캠 페인 진행, 농촌 아이들을 위한 스쿨버스 도입 등의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우리는 자선을 바라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아이들을 먹이고, 지원금 없이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돈을 벌 수 있는 기본적인 인권을 원합니다. 공정무역은 그 시작이며, 소득을 올리기 위해 우리의 생산물을 살 소비자가 있어야 합니다. 쇼핑할 때 내리는 간단한 결정만으로도 수천만 농민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사람들이 알았으면 합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원하는 것 전부입니다. - WINFA 전(前) 대표 Marcella

 

* Agrocel Pure와 공정면생산자연합(Fair Cotton Growers Association)의 회원 Sinathan는 남부의 면 생산자들과 협력 하여 이들이 연합을 결성하고, 생산방법을 개선하며 공정무역 원칙을 준수하고 고부가가치 시장에 접근해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공정무역을 통해 이들은 공동체 발전기 금을 농업 개선을 위한 지원금 단기대출제도, 의료비, 여성 소 등 증진을 위한 가내 자수 제도, 마을 거리의 태양열 램프 설치 등의 프로젝트에 사용하였습니다

저는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아이들은 교육을 받았으면 합니다. 공정무역으로 보장받는 가격 덕에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습니다.’ - Agrocel의 지원을 받는 면 생산자 Sainathan


* 쿠아파코쿠(Kuapa Kokoo)는 디바인초콜릿(Divine Chocolate)의 지분 45%를 소유하는 4만 5천명 이상의 농민 들과 함께합니다. Kumeah씨는 사람들에게 식품의 산지에 대 해서, 그리고 카카오 재배에 많은 정성과 노력이 투여됨을 알리 는 데 앞장서시고 있습니다. 가나에서 카카오는 고급제품으로 많은 사람들이 먹진 못합니다. Kumeah씨는 카카오를 재배한 지 25년이 지난 2002년에서야 초콜릿을 맛보았다고 합니다. 우리가 영국 소비자들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여쭈어보자 “공정 무역 초콜릿을 구매해주세요. 그것은 농민들에게 papapa가 됩 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초록색 상자) Papapaa는 Twi어로 ‘최고 중의 최고’를 의미합니다. Kumeah씨의 열정, 에너지, 노력을 느끼고 온 우리들은 슈퍼마켓에서 공정무역 상표가 찍혀 있는 제품을 찾게 되었고, 무역 정의를 위한 운동에도 참여하게 되었 습니다. 현재 우리의 국제 무역 체계는 약자보다 강자를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 다. 하지만 우리가 Comfort Kumeah 씨와 같은 생산자와 함께하고, 생산자가 빈곤에서 헤어나올 수 없는 시스템의 변화 를 요구한다면 이는 바뀔 수 있습니다.


 

 


작성자 : 민들레 / 작성일 : 2021.08.29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483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