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퇴비화 국내 움직임
활동사례 / by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21.11.29 / 수정일 : 2023.03.31

‘쓰레기’라는 말은 ‘문제’라는 단어와 연결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해양쓰레기, 플라스틱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등 쓰레기는 현대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꼭 처리해야만 하는 문제인데요. 지난 10월 음식물쓰레기 관련 국제동향을 조사하며 국제적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무척이나 중요한 문제로 인지되고 있으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음을 대략 살펴보았습니다. 그 아카이브를 만들면서 한국에서는 실제로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관련하여 어떠한 시민사회 움직임이 있는지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쓰레기 문제를 단순히 문제로만 여기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순환의 고리를 만들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만들어내고, 이웃과 함께 그 고리를 만들어내는 움직임이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음식물쓰레기를 쓰레기로만 바라보는 것, 혼자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 이것은 우리 자신이 만들어내는 한계가 아닐까요? 하나하나는 작은 움직임일 수 있지만 여러 사람에게 알려지면 더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공동체와 환경문제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좋은 자료가 되길 바라며 준비해보았습니다. ​


*음식물쓰레기 연속물 
2.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국내 움직임


지역 공동체 활동

1. 귤현동 분해정원
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 주민자치회 마을환경분과 회원들의 공동체 가드닝 모임으로, 회원들의 유기질 쓰레기를 모아 퇴비화하는 공동체 정원을 운영중이다.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만들어 정원으로 순환시키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분해자로 사는 법  / 유기농펑크 2021.5.23
분해로운 정원활동, 분해정원  / 마인드풀가드너스 2021.5.17
귤현동 분해 정원을 아시나요?  / 계양구 공식블로그 2021.07.12.


2. 양천구 생쓰레기퇴비화운동
1996년부터 시작되어 서울남서여성민우회에서 주변의 아파트 주민들을 교육하여 조직화하면 구청에서 생쓰레기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생쓰레기와 낙엽은 신정주말농장에서 퇴비화하여 농장주민들에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한해 450톤의 생쓰레기를 수거하여 퇴비화하였지만 2019년 주말농장의 사정으로 중단되었다. 



3. 부평도시농업네트워크 공동체퇴비만들기

[활동소식] 공동퇴비 만들던 날! 부영텃밭!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2018.06.25.


기타 캠페인 및 자료

1. 마르쉐 everyday earthday 캠페인
채소 '생쓰레기'를 모아서 살짝 건조해서 농부시장으로 가져오면 출점팀의 농장에서 퇴비화 한다. 생산되는 음식의 1/3이 버려지는 현실을 환기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캠페인이다.  (※생쓰레기 : 무나 배추 뿌리, 파줄기, 과일 껍질 등 조리전의 음식물쓰레기)
everyday earthday 캠페인​ / 농부시장 마르쉐 2021.04.02

2. 배민 안먹는반찬 빼는 캠페인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먹지 않는 기본반찬은 주문시 빼달라고 요청하자는 캠페인이다.

3. 퇴비화 워크숍
비전화제작자 꼬리의 안내에 따라 가정용 퇴비함을 만들어 볼 수 있다. 
[How to] 음식물 쓰레기를 흙으로! / 
매거진 쓸(SSSSL) 2020.06.23
4. 서울시 발간 자료 
퇴비에 대한 기본 이론 및 음식물쓰레기 퇴비만들기 과정과 이용, 간단한 텃밭작물 기르기 까지의 정보가 담겨있다.
‘음식물쓰레기 퇴비만들기’ 자원순환 도시농업의 첫걸음!  / 서울특별시 2017.08.22





작성자 :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21.11.29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7009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