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측정] 프로젝트 설계 단계별 <변화이론>의 역할과 기능
실무도구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9.23 / 수정일 : 2023.03.30

직면한 문제와 원인,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활동의 인과적 관계와 논리적 조건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우리가 세운 계획이 기획한 사회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변화이론>은 가장 많이 사용되며, 기능적으로 뛰어난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럼 <변화이론>을 프로그램을 위한 문제발굴-기획-운영-평가의 전 과정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무슨 기능을 할까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변화이론> 활용을 위해서 실무적 이해를 돕기위해서 프로그램 전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변화이론 센터(The Center for Theory of Change)>의 홈페이지에서 소개된 아스펜 연구소의 <변화이론>에 대한 설명을 일부 번역, 편집하였습니다. 각 항목에 해당하는 원문은 바로가기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자료 인용 및 배포 시 원문의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원문 바로가기



 

순서

프로그램

기획/운영/평가 단계

프로그램 단계와 <변화이론>의 관계 및 <변화이론> 활용 방법

1

문제 발굴/규명
(Problem Identification)

- <변화이론> 시작 전 단계

2

발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 관계자 소집
(Key People)

- <변화이론> 시작 전 단계

3

문제를 충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해당 지역사회에서 연구를 수행
(Conduct Research)

- 명확한 <변화이론> 완성 전에 발생할 수 있는 단계
 

- <변화이론>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질문이 발생할 경우 본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도 있음

4

초기 목표 설정
(Initial Goals)

- <변화이론>이 실질적으로 시작되는 단계
 

- 장기적 목표(‘사회성과(Impact)’)에 대한 합의를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5

이해관계자확장
(Enlage Stakeholders)

- 초기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진행
 

- <변화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는 주체가 밝혀집니다.

6

추진 팀 구성 및 협력 관계 구축
(Team Building and Collaboration)

- <변화이론>은 구체화과정에서 이해관계자에게 자신들의 신념, 목표, 가정 등에 대해서 명확하고 분명하게 밝힐 것을 요구함.
 

- 이 단계를 논의하는 과정은 관련자 모두가 현 상황을 이해하고 서로 간에 신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합니다.

7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착수
(Planning the Initiative)

- <변화이론>를 구체화하면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야 하는지와 그 변화들 간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개념적으로 엄밀하고, 매우 구체적인 설명을 만들어 갑니다.

8

재원 확보 (모금 등)

(Funds)

- <변화이론>을 통해서 나타는 변화도출 논리과정과 설명을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변화이론>은 기부자들에게 당신의 프로그램 계획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고안되었고, 실제적이며, 측정가능한지를 보여줄 뿐아니라, 변화에 이르는 과정에 해당하는 각각 어떤 내용에 책임을 질 것인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9

실행계획 구체화

(Action Plan)

- 초기 기획단계에서 개발된 <변화이론>1) 의도하는 변화를 위한 개입활동(interventions)’전략(strategies)’2) 기대되는 변화의 정도를 보여줍니다.

- 1)2)에 대한 내용이 활동의 어떤 부분을 구체화하는 것이 변화의 기대되는 정도를 향상시킬지를 결정하는데 바탕이 됩니다.

10

평가계획 구체화

(Evaluation Plan)

- <변화이론>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내용과 과정을 알려주는 청사진 역할을 합니다.
 

- <변화이론>에는 1) 어떤 내용이 프로그램의 성공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2) 누가 변화할 것으로 기대되는지, 3) 어느 정도 변화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사항이 나타나 있습니다.

- <변화이론>에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관련 지표를 측정할 방법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11

실행

(Implementation)

- 실제 활동의 실행 과정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현재 프로그램이 계획 상 맞는 상태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점검틀로써 기능한다는 점에서, <변화이론>은 역동적이고 살아있는 계획입니다.

12

계획 수정/보완 (중간 검토)
(Plan Modification)

- <변화이론>은 확정된 계획이 아닙니다. 따라서 실제 활동 과정에서 얻은 경험에서 얻어진 정보와 변화를 목표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당신의 계획에 반영해야 합니다.

- <변화이론>활동결과’, ‘활동성과’, ‘사회성과의 논리적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운영상 얻은 새로운 정보를 계획상에 어디에, 어느 정도, 어떻게 반영해서 변경을 해야 할 지를 알려주는 기능을 합니다.

13

평가
(Evaluation)

- <변화이론>은 프로그램의 달성 성과와 장애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틀로써 기능합니다.

- <변화이론>에는 기획한 사회성과’(즉 장기적 목표)를 이끌어 내기 위한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1) 필요조건, 2) 논리적 타당성, 3) 맥락적 상황/조건 등이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변화이론>에는 1), 2), 3)에 해당하는 내용이 얼마나 바뀌었는지, 늘었는지, 타당하다고 증명되었는지가 명백하게 들어납니다.

14

보고 (자금 지원자, 운영위원회, 지역사회 등)
(Report)

- <변화이론>을 활용하여, 당초 기획한 성과의 달성 여부 또는 정도, 실제 발생한 차질 사항, 활동중 획득한 교훈, 평가 결과 등을 보고하기 위한 정보와 내용을 제공합니다.

15

프로그램 성과 확산 (홍보 등) 단계
(Dissemination)

- <변화이론>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원인, 해결방안, 논리적 관계/조건 등을 구체화하기 때문에, 프로그램과 관련된 내용을 제3자에게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화이론>은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한 영향력 있는 강력한 의사소통 도구입니다.

16

정책입안자에게 영향
(Influencing)

- <변화이론>의 논리적/내용적 구체성 및 명확성 실행한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성과 달성 정도, 어떤 조건과 환경, 상황에서 성공했는지 등을 정책입안자에게 절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따라서 정책입안자가 유사한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입안의 참고자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한 정책 입안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공동체 변화를 위한 원탁 아스펜 연구소(The Aspen institute Roundtable on Community Change), 

1992년에 설립된 미국의 아스펜 연구소는 종합적 지역공동체 활동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포럼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스펜 연구소가 주최하는 원탁회의는 미국 전역의 재단 관계자, 프로그램 운영기관, 관련 기술 공급자, 평가자, 공공분야 행정기관이 모여 사례를 공유하고 토론하고, 이들이 종사하는 분야가 직면한 문제를 연구하는 자리입니다

▶연구소 바로가기​

<변화이론 센터(the Center for Theory of Change)> 바로가기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9.23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1584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