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향연] 2020 연구보고서 04~06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0.12.17 / 수정일 : 2020.12.18

[2020 활동가연구지원사업] 활동가 역량향상을 위한 연구, 활력향연 

<활력향연>은 공익활동가들이 스스로 연구주제를 탐색하고 개발하여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연구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04. 김지현/나랑_그림자 속에서 길을 찾다 : 여성인권운동 단체 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소진과 회복 경험 연구


​ 김지현/나랑 / meljh1917@action.or.kr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 열림터에서 성폭력 피해자들을 지원했고,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에서 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운동센터 '다짐'에서 요가를 안내하고 있다. 폭력 피해자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활동가들이 자신의 몸과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몸 치유사'를 꿈꾸고 있다. 
 

공저 <우리들의 삶은 동사다 - 친족성폭력생존자와 열림터, 함께 말하다> (2014, 이매진)

 프롤로그

 1부. 종합분석 
 1. 소진의 원인
 2. 소진의 징후와 양상
 3. 소진에서 회복할 수 있게 또는 소진된 상태에서도 활동을 지속하게 한 요인 
 4. 상담활동가들이 제시하는 소진 예방 방안
 5. 제언 


 2부. 여성인권운동 단체 상담활동가 이야기 
 1.
㉮ 조직
 A 활동가의 이야기
 B 활동가의 이야기 
 C 활동가의 이야기 
 
 2.  
㉯ 조직
 D 활동가의 이야기
 E 활동가의 이야기 
 F 활동가의 이야기


3. ㉰ 조직
G 활동가의 이야기 
H 활동가의 이야기

<부록> 상담활동가들에게 건네는 메시지

<참고문헌>


05. 김문경 : artivist의 출현, 작은 것들의 도시와 만드는 사람들

​ 김문경 / artivist@naver.com

A.3355의 디렉터이자 개별자로서 artivist. 문학을 중심으로 영상설치, 다원예술 퍼포먼스와 다큐멘터리 연극 등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작품을 꾸준히 만들어 왔습니다. 젠더 담론과 소수자성을 가지고 도시를 해석하는 여러 가지 실험을 합니다. 내가 생각하는 연대의 상상력과 예술의 작업 방식은 동일합니다. "나는 너를 연민하고 너는 나를 감당하고 우리는 드러난다" 

 
 1. 일러두기

 2. 아티비스트artivist 인터뷰
 나희경, 내가 보고 싶은 연극을 기획하고 싶어서 페미니즘 연극제 
 예람, 연대도 기획도 음악도 내가 말할 수 있는 진심의 크기만큼 
 지성은, 여성. 일상. 퍼포먼스.
 신승은, 음악도 하고 영화도 하고 운동도 하고
 이길보라, 영화가 지나간 자리에 남는 건 커뮤니티 
 이충열, 여성주의 미술사를 쓴 이유 

 3. 닫는 글
 "나는 왜 아티비스트 연구를 하게 되었을까?"









06. 국개협UP : 국제개발협력, 계속해보겠습니다 :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2030 활동가의 활동 실태와 지속가능성 연구

 

​  우승훈, 차홍선, 김나리, 박은정, 이인애 / idc.uppp@gmail.com

국제개발협력 분야 전·현직 활동가 5명으로 구성된 팀입니다. 5명 모두 각자의 동기도, 활동도, 좋아하는 음식도 다르지만 '개발협력 활동가'라는 공통점으로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더 나은 분야 생태계를 위해 우리와 동료 활동가를 연구하고 실천적인 대안을 만들고자 합니다. 

 0. 질문해보겠습니다

 Ⅰ. 연구개요 
 
 Ⅱ. 응답자 분석: 우리를 소개합니다 
 1. 성별: 7대 3 혹은 0대 10
 2. 거주지: 서울, 경기, 그리고 해외 
 3. 출생연도: 1981년생부터 1998년생까지
 4. 활동 시작 연도와 경력
   : 2003년 '라떼'부터 2019년 '새싹'까지
 5. 직위(직급): 한창 실무 할 나이
 6. 활동 시작의 유형과 동기
  : 사회변화에 기여하고 싶어 NGO 봉사단에 지원하다
 7. 학력: '학력인플레'의 실태와 그 뿌리를 찾아서 

 Ⅲ. 활동실태: 우리의 활동은 안녕한가요?
 1. 활동 만족도
  : 임금은 아쉽지만, 가치실현은 괜찮아 
 2. 생계와 일: 낮은 임금과 높은 피로도 
 3. 조직문화: 조직이 생각하고 움직이는 법 
 4. 해외활동: 여권을 자주 씁니다
 


Ⅳ. 활동지속가능성: 아무튼, 계속
1. 직업의 호칭: 참 설명하기 어려운 일
2.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전망: 보통이다
3. 활동 지속 의사: 계속해보겠습니다
4. 활동 지속가능성을 해치는 요인
  : 계약 기간, 문화, 급여
5. 활동 지속의 동력과 조건
  : 사회적 가치 생산과 적절한 임금
6. 지속가능한 활동: 각자의 정의를 찾아서

Ⅴ. 시민사회 활동가의 연대 방안 모색: 함께 만드는 활동 생태계
1. 활동가 교류 현황과 선호하는 연대체
  : 공적으로 자주 만나며 네트워크를 선호하다 
2. 시민사회 활동가 연대 활동 사례조사: 계속OO하겠습니다


Ⅵ . 계속해보겠습니다.
1. 연구의 한계 
2. 맺음말: 작당, 계속해보겠습니다.
>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20.12.17 / 수정일 : 2020.12.18 / 조회수 : 20288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