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가 교육수요 및 현황조사 연구 보고서(2014, 서울시NPO지원센터)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1.27 / 수정일 : 2020.06.25
서울시NPO지원센터는 NPO 활동가 역량강화사업을 위한 기초 조사로서 2014년에 <활동가 교육수요 및 현황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분야별/활동 경력별 등 현장 활동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및 기존 선행 연구 자료들을 통해 활동가 교육에 대한 현황 조사와 제안에 대한 의견을 함께 담았습니다.

개인의 역량과 조직의 역량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구조와 환경을 위해 연구 내용이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합니다.

[연구결과 중 발췌] 

활동가 교육수요 파악을 위해 활동가 역량 요소에 대해 정리한 Folwer의 "Participatory Self Assessment of NGO Capacity” INTRAC Occasional Papers Series(No : 10)"(본 연구소 p. 25-26)를 토대로 조직내부/대외관계/활동수행/기본역량 등 4개 영역 29개 역량 요소를 제시하여 선호도를 조사하였습니다.

비전/가치관이 압도적인 빈도를 보였고, 중요도에 있어서도 많은 활동가들이 최우선 순위를 부여하였습니다.
'비전'은 주로 조직적 차원, '가치관'은 개인적인 차원과 관련이 있지만, 이 둘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활동가들이 말하는 비전과 가치관은 어떤 당위적, 추상적이며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닌, 활동가들의 소통을 통해 구성되며, 활동하는 자신이 누구인지, 활동을 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왜 활동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내면화되고 재해석된 의미체계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전과 가치관은 개인과 조직의 지속적인 활동과 결속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요소지만, 이에 관해 이야기하고 소화하는 것에는 많은 시간과 역량을 할애하지 못하고 있으며, 비전과 가치관에 대한 교육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입니다.

비전과 가치관에 이어 많은 활동가들이 선정한 역량요소는 자기관리와 관계입니다. 모두 조직적 차원이라기 보다는 개인적, 관계적 차원이며, 공익활동 그 자체라기 보다는 그것의 보이지 않는 저변이 되는 요소입니다. 즉 활동가들은 비가시적, 활동외적에서 많은 고민들이 있다고 풀이되며, 이 두 요소에 관한 논의나 교육들이 시도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나 아직은 미흡한 상황입니다.

더불어 구체적인 공익활동의 실천과 직접 관련되는 기획, 연대/참여/역량강화/담론형성/지식/기술 등의 요소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이 표명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요소들에 대한 활동가 교육은 상대적으로 많이 시도되어 온 것으로 보이지만, 기존의 관련 교육들에 대해 활동가들은 많은 경우 만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활동가들은 활동현장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는 체계적인 내용을 필요로 합니다. 

    

     

/목차/

. 서언

1. 조사개요 _3

2. 활동가 교육현황에 관한 선행논의들 _4

3. 활동가 역량도출에 관한 선행논의들 _5

 

. 활동가 교육현황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1. 개요 _11

2. 소속조직의 활동가 교육현황 _12

3. 활동가 교육에 관한 개인적인 경험 _18

4. 기본적인 사항 _24

 

. 역량요소 선정 워크숍 결과

1. 개요 _25

2. NPO 활동가 역량요소 선정결과 _26

 

. 활동가 교육수요에 관한 심층집단면접

1. 개요 _29

2. 교육내용에 관한 견해들

1) 조직내부(To be) 영역 _30

2) 대외관계(To relate) 영역 _38

3) 활동수행(To do) 영역 _43

4) 기본역량 영역 _49

3. 활동가 교육에 관한 견해들 _58

4. 서울시NPO지원센터를 위한 제안들 _65

 

. 결언

1. 갈무리 _68

2. 몇 가지 제언 _69

 

붙임: 1. 활동가 교육 현황에 관한 설문지 _73

2. 활동가 역량요소 예시표 _76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6.01.27 / 수정일 : 2020.06.25 / 조회수 : 2276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