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팁] 창의적인 나를 만드는 9가지 습관
실무도구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6.12 / 수정일 : 2019.06.13

영리영역에서 수많은 스타트업이 나타나고또 이들이 성장하는 이야기 속에서 창의성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태도이자능력이고덕목입니다창의성이 이전과는 다른 바람직한 차이를 만드는 능력이자 요소라 한다면창의성은 비단 기업활동영리활동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공익활동비영리활동에서 또한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문제의 발견과 접근해결의 과정교훈의 도출 등공익활동가들이 우리 사회에서의 공공가치 창출이라는 성과를 성취하는데 창의성은 계속 요구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스타트업인 JotForm 창업자이자 CEO 에이테킨 탱크가 자신이 겪으면서 도움이 되었던 창의성을 유지하고 강화해가는 자신 만의 방법을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원문 바로가기

 

1. 작은 것부터 시작하기

I stared small.

 

과업의 규모를 너무 거창하거나, 크게 접근하면 일을 미루게 됩니다. 어디서부터 접근해야할지 모르게 될 것은 물론이고, 실패의 두려움이 더 크게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일을 가장 단순하고, 간단한, 그리고 다루기 쉬운 크리고 구체화하고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실질적으로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작게 쪼겐 후 지속적으로 하면 어느사이 극적인 결과가 이뤄져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2. 제약/한계를 두고 생각하기

I applied constraints.

 

제약을 둔다는 것이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제약과 한계를 인지하고 이것을 생각과 계획, 실행에 적용해야 오히려 실현 가능한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습니다. 한계를 인식하고 발현된 창의성은 현실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의외로 한계를 뛰어넘는 결과를 도출하기도 합니다.

 

3. 잠깐이라도 딴 생각하는 시간을 갖기

I let myself daydream.

 

여러분도 분명 샤워하다가, 또는 집으로 걸어가는 중에 생각이 번뜩이는 경우를 경험한 적이 있을 겁니다. 많은 연구는 뇌가 몰입상태가 아닌 느슨한 상태일 때 더 예상 밖의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보여줍니다. 산책하고 멍하게 있는 시간을 소중히 여겨보세요.

 

4. 체계적인 룰 만들기

I implemented systems and automation.

 

반복되는 과정, 단계 들을 추려내고 이것들을 체계화시키거나, 매뉴얼화 시키는 것은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말은 곧 체계화를 통해서 아낀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를 생각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바쁘게 일하지 마세요. 편하게 일하세요.

 

5. 영감을 얻기 위해서 내 분야 외 다른 곳을 유심히 살펴보기

I wasn’t afraid to look elsewhere for inspiration.

 

비유, 은유, 심지어 동화는 우리의 뇌가 생각하는 영역을 넓히는데 정말 많은 도움을 줍니다. 겉보기에 관련이 없어 보이는 것들을 서로 연관 지으려는 노력은 창의성을 촉발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당신이 지금 생각이 꽉 막혀있는 것 같다고 느끼면, 지금 당장 당신의 일과 관련없는 장소로 가세요.

 

6. 목표는 높게 잡기

I aimed high.

 

일을 시작할 때는 작은 것부터 시작하지만, 생각을 하고, 목표를 잡고, 비전을 구상할 때는 크게 해야합니다. 구글은 직원들에게 자신이 실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의 10배를 더 키워서 생각하라고 강조합니다.

 

7. 나의 반복적인 루틴을 일부러 바꾸기

I was deliberate about changing my routine.

 

변화는 창의성을 이끌어 냅니다. 작은 변화일지라도 말이죠. 항상 먹는 식사 메뉴를 바꾸는 것부터 출퇴근 길을 바꾸는 것 등 이런 작은 변화라도 당신이 생각하는 방법을 바꿉니다. 나를 둘러싼 환경, 조건이 바뀐다는 것은 곧 생각의 전제, 가정이 바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토양이 달라지면 같은 씨앗이라도 다른 모습으로 성장하듯이, 일부러 생각의 환경을 바꿔보세요. 이전과 다른 창의적 결과가 나옵니다.

 

8. 내 주변 사람 외의 사람들에 주목하기

I looked beyond my inner circle.

 

다섯 번째 습관과 비슷합니다. 내 주변에서만 관계를 갖지 마세요. 주로 만나는 사람들 외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주의깊게 들으세요. 그 대화와 이야기 속에 당신을 번뜩이게 하는 요소들이 숨어 있습니다.

 

9. 내 능력은 물론 내 팀원이 가진 능력을 신뢰하기

I cultivated trust in my ability (as well as my team’s)

 

자기 최면을 해야 합니다. “나는 창의적일 수 있다이렇게 말이죠. 신기하게도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생각이 계속 되면, 정말 창의적인 해결책이 나옵니다. 팀도 그렇습니다. 자신의 팀 구성원이 창의적이라고 믿으며, 팀 전체가 스스로 우리는 창의적이다라고 믿을수록 결과물은 정말 창의적이 됩니다.

  

JotForm은 2006년 창업한 미국 샌프란시코에 있는 온라인 문서양식 제공 서비스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입니다. 2015년 기준 약 2백만 명의 정기 서비스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유망한 스타트업입니다. 2016년에는 사회적활동가들도 협업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슬랙 Slack과 공유가 가능하도록 개선되면서 “2016 가장 생산성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선정되었습니다.

JotForm 바로가기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6.12 / 수정일 : 2019.06.13 / 조회수 : 1403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