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집] EduNEXT10. 지금 왜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 인가?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5.16 / 수정일 : 2019.05.16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모습과 삶의 방식 속에 새로운 시민성에 대한 논의의 장이 마련되었습니다디지털 세상에서 태어나 본 디지털 (Born Digital) 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인 청소년이 우리 사회의 미래라는 점을 생각해볼 때, 앞으로의 시민사회 모습과 방향을 고민하는데 있어 새로운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은 꼭 짚어보고 생각해볼 주제라고 생각됩니다.

<EduNEXT10. 지금 왜 디지털 시민성인가?>는 빠른 기술 변화와 정보의 범람 속에서 청소년들이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교육의 역할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 주어진 과제를 짚어보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민성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이해, ‘디지털 시민성의 활용 및 교육 방안에 대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주제발표를 살펴봄으로써 시민사회 영역에서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서 고민하고 새로운 활동에 영감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자료집 다운로드 바로가기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에 대해서,

“‘공동체의 구성원이면서 양식 있는 소비자로서 인공지능 기술의 향유에 필요한 올바른 지식을 충분히 알고다양한 윤리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식과 태도

자신의 문제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연대를 통해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합리성과 도덕적 책문성 및 능동적 실행성을 두루 갖춘 시민의 역량을 내포하는 의미

출처: 4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 논의 및 과제/한국교육학술정원 박선아 책임연구원/2018.4/

 

목차

● 인사말

  - 더불어 민주당 국회의원 박경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한석수
 

● 축사

  - 더불어 민주당 원내대표 우원식

  -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유성엽

 - 국회교육희망포럼 공동대표 안민석
 

● 주제발표

  - 4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 논의 및 과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책임연구원 박선아)

  -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사례 (유네스코·태평양 프로젝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한유경)

  - 디지털 시민역량을 위한 학교교육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임상수)
 

● 토론

  -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 함영기 (서울시교육청 정책안전기획관 장학관)

  - 김형태 (경기 군자초등학교 교사)

  - 김미향 (한겨레신문 교육담당 기자)

  - 이상돈 (교육부 학교생활문화과 과장)

  

EduNEXT 토론회/세미나 소개 

주최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박경미, 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관 - 국회교육희망포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5.16 / 수정일 : 2019.05.16 / 조회수 : 2391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