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료] '기후변화를 위한 도시계획' 툴킷
현안과이슈 / by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18.08.31 / 수정일 : 2023.03.28

UN Habitat에서 만든, 기후변화에 대응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시계획자와 지역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만드는 도시계획을 위한 툴킷을 소개합니다.
이상기후가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이 시대에 기후 변화는 사람들의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매우 취약하기도 하지만, 도시의 설계 차원에서 문제해결을 고려한다면 오히려 대응이 쉬울 수 있습니다. 도시의 계획과 개발은 전문가들의 일이기도 하지만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함께 만들어나가는 도시 계획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 방법을 한번 알아보는 것은 앞으로의 도시개발에 대해 시민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도시계획 및 삶터의 계획과 설계에 관심이 있는 시민, 지역 공동체와 마을 주민들에게도 활용을 권합니니다. 



‘PLANNING FOR CLIMATE CHANGE‘ Toolkit : A STRATEGIC, VALUES-BASED APPROACH FOR URBAN PLANNERS
‘기후변화를 위한 계획‘툴킷 : 도시 계획자를 위한 전략적이고 가치에 기반한 접근 



( ※자료 다운로드 : 
http://unhabitat.org/books/planning-for-climate-change-toolkit/#​ )


이 툴킷은 ‘기후변화를 위한 계획‘이라는 문서와 연결된 것으로 이 두 문서는 다음에 나오는 4가지의 전략적인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가?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우리가 그것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답을 함으로써 이 툴킷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된다. 이 툴킷과 연결된 ‘기후변화를 위한 계획‘ 문서를 통해 각각의 도구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 계획의 프로세스가 유동적이고, 직선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 이 툴킷은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현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도시들은 기후변화 계획의 다양한 단계에 있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류의 프로세스와 권한을 가진 계획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자원과 자본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툴킷에 나오는 도구들은 계획자나 다른 프로젝트의 퍼실리테이터를 돕기 위해 디자인되어 있다. 이 도구들은 프레임을 계획하는데 사용되는 게 제일 좋지만 모든 프로세스가 다르니 모든 도구가 다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독립된 단계들이나 작은 프로젝트를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Module A: What’'s happening? 모듈A :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가?
이 모듈에는 다음의 질문과 연계된 3단계가 있다.

1단계 : 우리는 기후변화 계획 프로세스를 감당할 준비가 되어있는가
시작하는 단계로 자원들을 조직하여 ‘계획은 위한 계획’을 만드는 단계이다.

2단계 : 도시나 공동체와 연관될 필요가 있는 사람은 누구이며, 우리는 어떻게 그들을 조직해야 하는가
이해관계자와 참여자에 관한 단계로 이해관계자를 확인하여 조직화하는 과업이 있다. 

3단계 : 기후변화는 도시에 어떤 영향을 주며 이런 변화에 가장 취약한 사람은 누구인가
취약성 접근의 단계로 노출도와 민감도를 확인하고, 적응력을 결정하는 과업을 수행한다. 

*모듈 A의 첫 두 단계는 성공적인 계획 프로세스를 위한 기초이다. 모듈A를 통해 계획자와 이해관계자들은 그들의 도시에서 기후변화를 이야기할 필요성을 확실히 공유하게 되며, 어느 도시, 어느 지역사회와 지역의 이해관계자들이 이와 연관되는지 알고 이해관계자 연결 계획을 통해 어떻게 연결을 하는지도 알게 된다. 또한, 취약성 접근을 통해 도시에서 일어나는 기후변화로 인해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게 된다. 


Module B: What matters most? 모듈 B :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모듈B에는 하나의 계획 단계만이 있다. 이 모듈은 계획자가 다음의 질문에 대답하도록 도와준다.

4단계 : 기후변화 옵션을 선택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때 기존의 도시목표 외에 어떤 지역사회 및 지역 이해관계자의 문제를 고려되어야 하는가? 또 그것은 어떻게 식별될 수 있는가? 
4단계는 문제와 목표에 대한 것으로, ‘문제확인’, ‘문제의 목표화’, ‘목표달성지표설정’등의 주된 과업이 있다. 


Module C: What can we do about it? 모듈C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5단계 : 우리 도시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옵션들이 있는가?
옵션확인 단계인 5단계에서는 옵션을 확인하고 조직하고 골라내어 순위를 정한다. 

6단계 : 자원과 시간, 능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어떤 옵션에 접근하고 걸러내고 선택하는가? 
6단계는 옵션평가로, 중요성을 평가하고 평가와 선택을 하는 단계이다.

7단계 : 우선시되는 기후변화 온셥을 가장 잘 구현하고 기후변화 실행 계획을 수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수행을 의미하는 7단계에서는 실제 행동계획을 만들어낸다. 


Module D: Are we doing it? 모듈 D : 우리가 그것을 하고 있는가?

8단계 : 기후 변화 실행 계획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여 예상된 영향을 받고 있는지 , 이해당사자들이 합의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가지고 있는 8단계는 모니터링과 평가의 단계로 무엇을 모니터할 것인지, 모니터링 계획을 만들고 평가하는 과업을 가지고 있다. 

9단계 :
기후 변화 실행 계획에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거나 기타 필요한 변경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조정과 수정단계로 어디에 필요한지 재검사하고 업데이트하는 과업을 가진 단계다. 

*이런 계획 단계들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들은 지역공동체의 목표를 더 잘 만나고 기후변화 임팩트를 더 잘 설명하도록 ‘기후변화 행동계획’을 세부조정한다.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도구들이 열거되어 있으며, 도구페이지에는 그것을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시간과 이론적인 설명과 안내, 사용되는 질문과 예시 답변 등의 절차도 설명되어 있다.




 


작성자 :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18.08.31 / 수정일 : 2023.03.28 / 조회수 : 2055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