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도구] 디자인씽킹으로 아이디어 구체화하기
실무도구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7.17 / 수정일 : 2019.10.08

우리 사회가 직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해결책을 고안하고 시도하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체성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문제의 원인에 맞추던 해결책의 초점을 수혜대상자에게로 옮겨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인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디자인씽킹, 또는 디자인 사고방식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문제를 접근하고, 해결책을 고안하는 방식으로 주로 기업의 제품 설계에서 활용되던 접근법입니다. 복잡한 사회문제를 사용자, 즉 비영리활동의 대상자 중심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디자인씽킹을 소개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자인씽킹 과정 중 아이디어 구체화 단계(Ideation)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중점적으로 소개합니다.

원문 바로가기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계자가 사용자를 중심에 두고 사고하고 설계하는 방법론으로서,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방법을 찾고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디자인씽킹의 아이디어 구체화 단계 (Ideation)

아이디어 구체화 단계는 영감을 얻어 획득한 지식과 추상적 가치를 실질적 원형모델로 구현하는 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입니다. 아이디어 구체화 단계는 디자인씽킹의 첫단계인 <영감(Inspiration)>단계에서 획득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검토하고, 평가하고, 창의적으로 묶어내는 과정으 통해서 현실가능성을 명확히 해나가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가능한 많은 생각들로 채워진 넓은 생각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심할 것은 누군가가 제시한 의견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현해서는 안 됩니다. 퍼실리테이터는 생산되는 생각들이 한 쪽으로 치워쳐지지 않도록 과정을 이끌어야 합니다. 가급적 넓은 벽, 넓은 화이트보드와 포스트잇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designorate.com

브레인스토밍 뒤집기 Reversed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더 이상 생각이 나오지 않는 상황, 특정 성격의 개념에 집중되는 등의 정체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브레인스토밍 뒤집기>가 도움이 됩니다.

 

1단계) 회의 마지막까지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직면 문제를 명확하게 드러낸다.

2단계) 예상되는 과정을 뒤집는다. (. “어떻게 하면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3단계) 뒤집어진 질문에 대한 답변들을 모은다. 모든 제안 답변들에 비판을 해서는 안된다.

4단계) 문제를 더 악화시키는 상황에 도달했다면, 그 상황을 뒤집어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경우로 만든다.

5단계) 뒤집어서 정리된 상황을 평가한다.

 

출처: designorate.com
 

만다라트 다이어그램 Lotus Blossom Diagram

만다라트 다이어그램은 각 아이디어와 관련된 부속 아이디어를 그룹핑하는 생각정리법입니다.

 

1단계) 주요 문제를 다이어그램의 중심에 작성한다.

2단계) 나머지 8개 칸에 중심에 적은 주요 문제와 관련된 주제를 작성한다.

3단계) 나머지 8개 칸에 적은 관련 내용을 중심 문제로 해서 다른

4단계) 모든 생각들이 시각적으로 나타나고 상호 연결될 수 있을 때까지 위의 작업을 계속한다.



출처: designorate.com​


평가하기 Evaluation

평가하기는 원형제작(Prototyping)작업으로 이어갈 아이디어를 고르는 작업입니다. 브레인스토밍에서는 평가와 비판을 삼갔다면, 평가하기에서는 비판이 매우 중요합니다.

 

SWOT 분석 SWOT Analysis

SWOT는 아이디어를 강점(Strength, S)/약점(Weakness, W)/기회(Opportunities, O)/위험(Threats, T)이라는 4가지 차원에서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강점(Strength, S) - 새로운 해결책이 가지는 이점

약점(Weakness, W) - 새로운 해결책의 확산을 감소시키는 요인

기회(Opportunities, O) - 새로운 해결책이 주목받을 기회요소

위험(Threats, T) - 새로운 해결책과 충돌하는 기존의 방법

 

출처: designorate.com​


스캠퍼 SCAMPER

스캠퍼 기법은 도출된 아이디어를 대체성, 융합성, 적응성, 변형성, 다른 용도 활용성, 제거, 재배치의 7가지 요소를 통해서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스캠퍼 기법은 아이디어를 실현가능성에 있어서 질적으로 강화하고 향상시키데 효과적인 생각구체화 방법입니다.

 

대체성 (Substitute) - 제안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을 대체될 수 있는가를 점검

융합성 (Combine) -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아이디어가 한가지로 융합도리 수 있는가를 점검

적응성 (Adapt) - 프로그램의 실제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내용 비틀기 작업

변형성(최소화/최대화) (Modify, minfy or magnify) - 혁신성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해서 상황을 극단적으로 변형하여 과정을 변화시키는 작업

다른 용도 활용성 (Put to another use) - 기존 프로그램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



출처: designorate.com​

 

원형제작 Prototyping

이해관계자로부터 피드백을 얻기 위한 초기 프로그램 모델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제품 형태에는 <빠른 원형제작>기법이, 프로그램/서비스 형태는 <여정지도 만들기>가 적합합니다.

 

빠른 원형제작 Rapid prototyping

<빠른 원형제작>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샘플을 충분하게 시범사용하고 평가한 후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단순하지만 핵심요소를 갖춘 형태로 간단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반드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형태여야 하며, 피드백을 반영해서 빠르게 다음 단계의 원형으로 발전시켜야합니다. <원형제작-피드백-원형수정제작> 이 과정을 최종 결과물 전까지 계속 반복해야합니다.

 

여정 지도 만들기 Journey Maps

<여정지도>는 사용자가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시각화 하는 작업니다. 사용자가 기능적으로 겪는 경험 뿐만아니라 감정적 경험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designorate.com​


과업 분석 격자판 Task Analysis Grids

<과업 분석 격자판>은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사항을 운영자, 이해관계자 등이 추적할 수 있도록 가장 작은 단위로 나누어 기록한 문서입니다.

 

1단계) 가상인물과 가상문제를 정의한다.

2단계) 하부 과제를 정의한다.

3단계) 각각의 하부과제에 행동시나리오를 기입한다.

4단계)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위한 고려사항을 기입한다.

5단계) 사용자의 불편한 지점을 정의한다.

6단계)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에 대한 해결책이 기능적으로 개선 반영할 수 있도록 기입한다.

 

출처: designorate.com​

 ​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07.17 / 수정일 : 2019.10.08 / 조회수 : 2456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