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과 시민사이 / 한국 시민사회의 사회적 경제활동 톺아보기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루비캣 / 작성일 : 2017.06.02 / 수정일 : 2020.07.30


도 서 명 : 주민과 시민 사이-한국 시민사회의 사회적 경제활동 톺아보기


발간기관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출 판 사 : 진인진


저    자 : 공석기, 임현진


발 행 일 : 2017228일 


목 차


기획의 글

주민과 시민사이를 넘어


. 왜 지역을 주목하는가
1.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활동의 중요성
2. 사회적경제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질문

. 어떻게 지역에 접근하는가
1. 기존연구 살펴보기
2. 참여를 통한 접근하기: 지역을 보고 듣다
3. 지역사례 미리보기: 무엇이 같고 다른가

. 시민사회의 사회적 경제 활동
1. 서울: 자립, 기획, 운동의 결합
2. 경기: 민관-민민 거버넌스의 균형 과제
3. 강원: 협동연결망의 생태계 추구
4. 충청: 배움을 통한 마을공동체 형성
5. 영남: 지역공동체 실험과 지속가능성의 과제
6. 호남: 주민과 리더의 협력을 통한 추격
7. 제주: 협동문화의 부활 및 적용 과제
8. 사례별 특징과 함의

사회적경제 활동의 주요 이슈
1. 지역 기반 사회적경제 활동의 장애물 및 시사점
2. 사회적경제 활동의 과제 및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책 소개


지난 10여년간 한국사회 발전의 대안으로 진행되어 온 시민사회의 사회적 경제활동을 탐구한 책이다.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 경제활동을 연구하게 된 배경을 제시하고, 연구 방법론으로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간략하게 소개한 이후 참여를 통해 지역에 접근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또한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별로 특징적인 성격을 부여하여 개별적인 사례를 각각 소개하고 있다.


 <
홈페이지>  

http://snuacnews.snu.ac.kr/?p=6998

 

글쓴이_루비켓 / 서울시NPO지원센터 아카이브 큐레이터
보석같은 시민들의 이야기를 엮어가는 지역 팟캐스터이자, 소셜 스토리텔러
크고 작은 마을 안 공동체와 소모임, 커뮤너티 커넥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시민 민주주의, 지방자치, 지방 분권에 관심을 갖고 있는 건강한 마을지기입니다



작성자 : 루비캣 / 작성일 : 2017.06.02 / 수정일 : 2020.07.30 / 조회수 : 2224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