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평가도구] 시민 참여 활동 측정 모형 (Civic Engagement Scale, CES) 활용하기
실무도구 / by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2.09.27 / 수정일 : 2022.11.09

 

행정이 도맡던 영역에 대한 시민이 참여할 기회가 지난 10여년의 시간 동안 상당히 증가했습니다. 규모는 물론, 형식 또한 다양해져 주민자치회, 자원봉사센터, 시민 참여 예산, 시민 참여형 중장기계획 수립, 도시 재생, 마을 공동체, 공론장, 지역 협치 등 시민이 행정과 함께 지역사회를 기획하고, 관리하고, 운영해갈 기회가 생겼습니다. 이런 시민 참여활동은 시민의 참여로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정책적 기대와 효용에서 시작합니다. 동시에 시민 참여 활동 자체가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으로서 사회 구성원의 시민다움을 향상시켜 더욱 활발하고, 건강한 민주주의의 토대를 다진다는 정치적 효용을 목적으로 하기도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외형적 결과물로 드러나는 첫번째 효용과 다르게 두번째 효용의 경우는 확인하기 쉽지 않습니다. 시민 참여 활동이 향상시키려는 이른바 “시민력”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시민 참여 활동과 관련성이 높은 세부적인 가치 항목들은 어떤 것이 있으면,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요? 더 나아가 이른바 “시민력”을 측정하는데 어느정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여줄까요? 이런 궁금증 해결과 시민 참여를 측정해야하는 실무자의 답답함에 단서가 되어줄 <시민 참여 활동 측정 모형 (Civic Engagement Sacle, CES)>에 관한 연구를 소개합니다.

*이 글은 Amy Doolittle (미국 테네시대)와 Anna C. Faul(미국 루이스빌대)가 2013년에 발표한 연구 논문인 ⎾시민 참여 평가 모형 타당성 연구 (원제: Civic Engagement Scale - A Validation Study⏌의  일부 번역·편집하였습니다.

**인용 및 배포 시 원문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시민 참여 활동 평가에 활용할 평가 모형을 소개할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연구 논문에서 평가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과정 또는 입증 결과의 자세한 사항까지 옮기지 않았습니다. 타당성 입증 과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확인을 원하실 경우, 원문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원문 바로가기

연구 개요

소개하는 연구는 시민 활동 평가 모형(Civic Engagement Scale, CES, 이하 “CES모형”)에 대한 개발과 타당성을 검토한 연구입니다.  CES 모형이 개발된 목적은 사회적 활동 학습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교육자들이 좀 더 쉽고 함의점을 도출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CES 모형의 개발 목적에 실제 부합하는지에 대해서 (타당성)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는 3개 대학교의 사회학, 사회교육학 전공 학생(모집단 513명)을 표본 집단(표본 집단 354명)해 진행했습니다. 


변수인 태도 부분 (크롬바흐 알파 수준 0.91), 행동 부분 (크롬바흐 알파 수준 0.85)이  각각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원 분석 적용시 두 요소 모두 높은 수준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태도 부분 0.79, 행동 부분 0.77) 이러한 변수의 설명력 분석 결과는 CES가 시민 참여 활동이 갖는 교육적 부분을 파악하는데 사용하기 매우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책 학습 환경에서 시민 참여가 참여자의 태도와 행동과 보이는 관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결과이기도 합니다. 단,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도 분명합니다. 우선 본 연구의 주 참여자가 백인(312명, 88.1%)과 여성(294명, 83.1%)이 대다수라는 표본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표본 구성을 보정하는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남겼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시민 참여(Civic engagement)’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민 참여에 대한 개념적 정의는 토마스 에리히 (1997)가 처음 정의한 시민 참여의 정의를 활용해 확장 적용해 활용했습니다.)
 

시민 참여란,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또는 공동체의 삶을 향상시키고 공동체성이 강하고 활발해지도록 하는데 있어 공동체 구성원 (또는 시민)이 긍정적 변화를 만들 수 있으며, 만드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하는 일련의 활동들의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지역사회 (또는 공동체)의 공동체성을 강하고 활발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각 구성원(또는 시민)은 긍정적 변화를 만드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를 습득해야만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습득한 지식, 기술, 가치는 실제적으로 증명되어야 하는데, 이는 각 구성원(또는 시민)이 자신의 태도와 행동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표현이 시민 참여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CES 시민 참여 측정 개요

CES는 시민 참여를 구체적으로 두 측면 (태도와 행동)으로 측정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먼저, 측정의 첫번째 부분은 태도 측면인데, 여기서 ‘‘시민적 태도’란, 자신이 속한 공동체(또는 지역사회)에 자신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스스로가 가지는 개인적 확신과 감정, 자신이 공동체(또는 지역사회)에 변화를 만들어 낼 역량을 가지고 있다는 스스로의 자각을 말합니다.
 

다음으로, 시민적 행동은 “시민이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고 노력하고 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행동(실천)”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시민 참여 측정 모형 초안은 태도와 행동 두 부분에 대해서 각각 1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 모형 초안은 시민 참여 행위에 대한 정신/심리적 측면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응답 결과는 시민 참여 활동 측정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 및 설계되어 있어 시민 참여 활동 분석에 활용됩니다. (Faul & van Zyl, 2004; Spector, 1992).
 

이 측정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태도와 관련한 질문에서 동의와 동의하지 않음 사이에 11개 단계의 정도에서 답변하도록 되어 있으며, 행동과 관련한 질문 역시 “전혀 아니다”와 “항상 참여한다.” 사이에서 11개 단계의 정도를 두어 자신이 해당하는 정도에 대해서 응답하도록 했습니다. 본 연구는 초안 측정 모형의 11개 단계의 척도를 7단계로 수정해 시민 참여 측정 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했습니다. 즉,  응답자가 문장에 동의하는 수준에 대한 측정은 리커드 7점 척도에 기초해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를 1점에서부터 “매우 동의한다”를 7점으로 하는 범위를 활용해 “절대 참여하지 않는다”를 1점, “항상 참여한다”를 7점으로 하는 리커드 7점 척도로 응답자의 시민 참여도를 측정합니다.


타당성 및 신뢰성 평가 결과*

*초기 모형에서 상관도 결과 0.45 미만으로 나타난 항목은 모두 측정 문항 항목에서 기각하였습니다. 나머지 0.45 이상으로 나타난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아래의 항목은 시민 참여 활동을 측정하는데 합리적인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태도 부분 지표 타당성 결과

 

 CES

 1.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또는 지역 공동체)에 대해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0.69

 2.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를 위해 어떤 변화를 만들 사회적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0.73

 3. 나는 빈곤하거나 기초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집단과 계층을 도울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0.67

 4.  내가 사는 지역사회에서 봉사하고 구성원으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0.74

 5. 모든 시민은 자신 사는 지역사회에 대해서 책임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0.76

 6. 지역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

 0.72

 7. 자원봉사, 자원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

 0.73

 8. 비영리/공익 자선 단체에 후원금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0.64


행동 부분 지표 타당성 결과

 

 CES

 1. 나는 지역사회에서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자원봉사 조직 또는 체계에 참여하고 활동한다.

 0.62

 2.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협업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낸다.

 0.66

 3.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웃 주민 등)을 돕는다.

 0.76

 4.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정보를 얻으려고 한다.

 0.68

 5. 사회적 책임과 관련해 사회적 이슈를 불러일으키는 토론해 참가한다.

 0.55

 6. 나는 지역사회에 있는 비영리/공익/자선 단체에 기부한다.

 0.61





※ 편집자주
평가모형을 활용할 때에 아래의 모형을 문서로 옮겨 인쇄 또는 온라인 설문조사 폼에 옮겨 활용해주세요.


평가 모델. <시민 참여 활동 평가 모델 (CES)> *


*본 모델을 사용할 경우, 저작권 보호를 위해 반드시 아래에 나와 있는 Copyright 표시를 기재 후 사용해주세요. 


태도(Attitudes) 부분 


태도 부분은 응답자 개인의 시민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8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측정이 정의하는 ‘시민적 태도’란, 자신이 속한 공동체(또는 지역사회)에 자신이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스스로가 가지는 개인적 확신과 감정, 자신이 공동체(또는 지역사회)에 변화를 만들어 낼 역량을 가지고 있다는 스스로의 자각을 말합니다. 각 문항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다”와 “동의한다” 사이에 자신이 해당하는 정도를 체크하세요. 

 

동의하지 않는다

 

동의한다

 1.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또는 지역 공동체)에 대해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1

2

3

4

5

6

7

 2.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를 위해 어떤 변화를 만들 사회적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6

7

 3. 나는 빈곤하거나 기초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집단과 계층을 도울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1

2

3

4

5

6

7

 4.  내가 사는 지역사회에서 봉사하고 구성원으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1

2

3

4

5

6

7

 5. 모든 시민은 자신이 사는 지역사회에 대해서 책임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1

2

3

4

5

6

7

 6. 지역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

1

2

3

4

5

6

7

 7. 자원봉사, 자원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다.

1

2

3

4

5

6

7

 8. 비영리/공익 자선 단체에 후원금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1

2

3

4

5

6

7



행위(Behaviors) 부분
 

시민 참여의 정도를 가리키는 행동을 측정하도록 설계된 6가지 지표를 문장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민적 행동“시민이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고 노력하고 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행동(실천)”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어느정도로 참여하는지를 “절대 아니다”부터 “매우 적극적으로 한다” 사이의 점수에 체크하세요.  

 

절대 아니다

 

매우 적극적으로 한다

1. 나는 지역사회에서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자원봉사 조직 또는 체계에 참여하고 활동한다.

1

2

3

4

5

6

7

2. 나는 다른 사람과 함께 협업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낸다.

1

2

3

4

5

6

7

3.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웃 주민 등)을 돕는다.

1

2

3

4

5

6

7

4. 나는 내가 속한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정보를 얻으려고 한다.

1

2

3

4

5

6

7

5. 사회적 책임과 관련해 사회적 이슈를 불러일으키는 토론해 참가한다.

1

2

3

4

5

6

7

6. 나는 지역사회에 있는 비영리/공익/자선 단체에 기부한다.

1

2

3

4

5

6

7


Copyright by Amy L. Doolittle, PhD, MSSW, LCSW.



저자 소개

Amy Doolittle 미국 테네시 대학교(차타누가) 사회 운동(Social Work) 전공 부교수

Anna C. Faul 미국 켄터키 루이즈빌 대학교 켄트 사회 운동 대학(Kent School of Social Work) 교수 겸 남아프리카공화국 자유주 대학교 사회 운동 학부(Social Work) 연구 펠로우


 


작성자 : 실버라이닝 / 작성일 : 2022.09.27 / 수정일 : 2022.11.09 / 조회수 : 1121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