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 사회혁신 교육 설계 및 협업 방안 연구/서울시NPO지원센터/2017.07
NPO센터발간자료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0.07 / 수정일 : 2019.10.17

보고서 요약 

다양한 사회혁신 정책을 시도하고 시민의 사회혁신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자원, 보다 많은 시민 참여, 제도 개선 등 이를 포괄하는 중장기 사회혁신 비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사회혁신이 도시서울 구성원 모두의 새로운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사회혁신을 위한 탐구와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실험에서 체제전환까지 사회혁신의 각 단계, 성장주기별 단계에 적합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혁신 통합인프라스트럭처의 구성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그중 [연구-교육-실험] 분야의 통합 인프라스트럭처의 우선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보고서는 포용적 성장, 자유와 평등, 지속가능한 대안 체제에 대한 중장기적 교육체계를 설계하기 위한 모색단계의 연구로서, 도시서울의 사회혁신교육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 1) 도시서울의 사회혁신 교육에 필요한 기본 내용과 방법 탐구, 2) 실제 교육을 위한 추진체계 구성, 3) 대학의 역할 강화 및 후속 연구자·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기관(공공대학원) 차원의 교과과정 개설을 위한 기본 연구, 4) NPO와 사회혁신 교육의 결합 방향 5) 지원을 위한 사회혁신리서치랩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서론 5

  1. 연구의 배경: 사회혁신 의미와 동향 5

  2. 연구의 필요성 14

  3. 연구내용 17

  4. 연구방법 18

 

2. 국내외 사회혁신교육 현황 및 사례 20

  1. 사회혁신교육 대학·대학원 과정 20

  2. 사회혁신교육 비대학 과정 30

 

3. 사회혁신교육 모델 및 방법론 39

  1. 동향 및 환경 변화 39

  2. 사회혁신교육 설계를 위한 4대 핵심요소 42

  3. 사회혁신교육 방법 8대 주요요소 47

 

4. 사회혁신교육 핵심 주제 및 교과목 54

  1. 사회혁신교육 핵심 주제: 지속가능성 54

  2. 사회혁신교육 목적 55

  3. 사회혁신교육 기본 교육주제 및 교과목 57

 

5. 사회혁신교육 수요조사 63

  1. 수요조사 개요 63

  2. 응답자 인구학적 특성 63

  3. 분석 결과 요약 및 함의 64

 

6. 사회혁신교육 구상 및 제안 68

  1. 서울혁신파크 거점 <사회혁신 교육네트워크> 구상 68

  2. 교육협업 프로젝트: <사회혁신 아카데미> 74

 

7. 결론: <사회혁신 아카데미> 3개 기관 협업제안 79

  1. 사회혁신리서치랩 79

  2. 경희대 공공대학원 83

  3. 서울시NPO지원센터 96

  4. 3자 협업 요약 115

 

참고문헌

 

부 록 1 사회혁신 특성화 교육과정 수요조사 결과 118 



주요 내용 (일부)

사회혁신교육 설계를 위한 4대 핵심 요소 및 사회혁신 교육방법 8대 주요 요소

 

사회혁신교육 설계를 위한 4대 핵심 요소

사회혁신 교육방법 8대 주요 요소

1. 전환적 사회혁신 패러다임

2. 시스템 싱킹 (System Thinking)

3. 공동 창조 (공동 생산)

4. 실천을 통한 학습 (Learning by practice)

1. 지역공동체와 결함

2. 교육의 개인화에 기반을 둔 장기학습

3. 기술과 사회의 결합

4. 훈련체계 : 자질교육과 기술(skill) 교육의 융합

5. 현장과 경험에 기반한 학습

6. 빠른 원형 제작(Rapid Prototyping, RP)

7. 창의적 교육방법의 설계

8. 비구조화된 학습체계

 

 

사회혁신교육의 목적 및 주요 교과목
 

핵심 주제

지속가능성

목적

1) 참여민주주의의 심화

2) 새로운 공공성의 창안: 공공혁신과 사회혁신의 융합

3) 좋은 삶을 위한 거대한 전환

4) 민주적 실험주의의 확산

주요 교과목

1) 사회혁신 개론: 일반적 이해

2) 공동체 기반 사회혁신

3) 사회혁신 공동생산 방법론

4) 전환과 사회혁신

5) 기술과 사회혁신

6) 변화의 서사 (Narratives of Change)

7) 사회혁신과 권한부여

8) 사회혁신과 성찰적 평가

9) 워크숍1: Action Research

10) 워크숍2: Action Workshop

 


사회혁신교육 제안

<사회혁신교육 네트워크>  교육협업 프로젝트<사회혁신 아카데미>

 

1. 서울혁신파크 거점 <사회혁신 교육네트워크> 구상

[연구-교육-실험]의 그라운드(Ground) 필요성

  - 도시서울의 새로운 전망구축(Visioning)을 위한 연구 역량 필요

  - 현실과 전망 사이의 간극과 균열, 불일치, 모순을 파악하는 동시에,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과제 수립 및 실현 전략과 방법 모색

  - 동료시민의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일상생활에 혁신의 하부구조 구축

  - 사회혁신 컨비너 (연구자, 정책입안자, 관련 활동가, 기업가 등), 퍼실리테이터, 카탈리스트 등에 필요한 필수 요소 교육 및 공통지식 구축을 통해 협업역량 강화

  - 교육과 연구를 매개로 도시서울의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협업 프로젝트 발굴 및 지원

  - 교육과 연구, 협업프로젝트(도시서울 전환 랩)의 유기적인 선순환 구조 구성을 통해 아래로부터 도시서울을 전환시켜나가는 전략적 근거지 확보.

 

교육체계 구성

대상

예비 사회혁신가

동료 시민

사회혁신촉진집단

전문연구자 육성

프로젝트

IMRP-School

거의, 모든 것의 학교

사회혁신 아카데미

사회혁신 전문대학원

담당주체

협력기관

서울혁신센터자치위원회

서울혁신센터 협력기관

협력 전문대학원

핵심 내용

자신의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

일상생활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 교육

사회혁신 문제 발굴 및 관리, 확장, 확산, 체제전환을 위한 교육

사회혁신 현장과 이론을 연결하여, 사회혁신 지식과 정보를 생산. 사회혁신 교육 내용 생산

 

 

2. <사회혁신 아카데미> 3개 기관 사회혁신 교육협업 프로젝트

사회혁신 아카데미목적

- 직면한 도전과 위기에 대한 공통의 인식/지식 확인

- 문제 해결을 위한 전망의 공유

- 협업혁신의 잠재적 역량 강화

 


 

[출처: p.77]

 

 

기본 교육코스 및 유형

 

연수 과정

전문가 교육 과정

개별 심화 강좌/선택 강좌

공무원, 교사, 기업가, 동료시민 등 다양한 집단의 필요에 맞는 연수 과정 제공

정책입안자, 전문연구자, 사회혁신가를 위한 사회혁신 전문교육 과정

주제별로 더욱 심화된 교육 강좌 제공/선택 강좌

 

운영구조


[
출처: p79]

 

사회혁신 아카데미 공통과목


[
출처: p.80]

 

첨부파일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0.07 / 수정일 : 2019.10.17 / 조회수 : 1792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