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측정]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안내서 – 1부: 준비사항, 세션1(‘장기성과’ 설정)
실무도구 / by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0.30 / 수정일 : 2023.03.30

비영리활동이 우리 사회에 일으킨 긍정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의도하는 변화, 즉 사회성과가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해서 명확하게 상을 그려야 합니다. 또한 그 성과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하위 성과와 활동 결과, 활동 간의 관계가 논리적으로 타당해야 합니다. <변화이론>은 변화의 구체성, 인과성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성과측정을 위해 기획단계, 성과관리 단계, 평가 단계에서 <변화이론> 또는 그와 유사한 논리관계틀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변화이론>은 변화와 변화에 이르는 다각적 측면을 보여주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간주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변화이론> 설계 과정에서 참여자의 활동을 촉진을 돕기 위해서 퍼실리테이터가 어떤 역할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변화이론> 퍼실리테이터 안내서를 소개합니다.* 

*가능한 자세한 내용을 전달 드리기 위해서, 해당 글은 총 3회에 걸쳐 소개됩니다.

**이 글은 <변화이론>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회적 기업인 액트놀리지(ActKnowledge)2012년에 배포한 <변화이론> 설계 퍼실리테이터 활동 지침서인 <Facilitator’s Source Book Source Book for Facilitators Leading Theory of Change Development Sessions>의 일부를 번역·편집하였습니다. 인용 및 배포 시 원문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원문 다운로드 받기

 

퍼실리테이터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변화이론> 주요 개념 

 

항목

설명

장기목표/사회성과’*

(Impact)

지역사회 또는 사회에 프로그램/활동이 미치는 영향

성과/활동성과/단기성과’**

(Outcome)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달성해야 할 하위 성과

활동으로 발생한 산출결과가 일으킨 변화

사전 조건

(Precondition)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 다음 단계의 성과가 실현되기 위해서 달성할 필요가 있는 하위 성과

경로

Pathway

성과, 또는 산출물성과간의 (인과적) 관계

 

경로파악을 위한 질문

- 왜 주어진 사전조건또는 단기 성과/활동 성과가 그 윗 단계의 성과를 도출한다고 생각하는가? ‘단기 성과/활동 성과가 상위 단계의 성과에 도달하는데 사전 조건으로서 왜 필요한가? (성과 간의 인과관계 고찰)

- 기획 과정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는 성과()을 방해하는 장애요소가 있는가?

 

*Long-term Outcomes = Social Impact, Impact (장기성과, 사회성과, 사회적 영향)

**Short-term Outcomes = Outcomes (단기성과, 활동성과, 성과)

 

퍼실리테이터 사전 준비사항

1. 당신이 이끌 <변화이론> 과정이 준비된 목적을 이해한다.

- 기획 단계인가?, 수행 단계인가? 평가 단계인가? 조정 단계인가?

- 당신이 반드시 다뤄야할 요소가 이미 있는가? 아니면 백지 상태인가?

 

2. 필요한 사전 작업이 완료 되었는가?

- 해결할 문제를 알 수 있는 사실 정보를 확인, 준비 등

 

3. 핵심 행위자와 존재하는 의제를 미리 인지한다.

- 핵심 의사결정자가 누구인가? 핵심 의사결정자가 <변화이론> 진행과정에 참여하도록 확실히 합니다.

- 핵심 의사결정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어떤 이슈들이 있는지 사전에 이해합니다.

- 핵심 의사결정자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동일 내용)를 사전에 준비합니다.

 

4. 적절한 참여자의 수는 얼마인가?

- 다양한 관점이 <변화이론>에 담길수록 효과적이기 때문에 참여자 수는 많을수록 좋습니다.

- 세션 당 6~8명 정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5. 첫 번째 미팅은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진행해야 하는가?

- 첫 번째 미팅은 3~4시간이 이상적입니다. (최소 2시간 이상)

- 보통 첫 번째 미팅에서 <변화이론>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고, <변화이론> 설계 회의의 규칙을 정합니다.
 

<변화이론> 회의 규칙 시 고려사항

- 회의 시작 시간

- 다른 의견에 대한 존중과 타인 발언 끊지 않는다는 약속 명시

- 주어진 과제는 주어진 시간 또는 마감기한 내 완료한다는 약속

- 개인적 의제는 보류하되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으로 고려 및 토의

- 의사결정 방법에 대한 합의

1) 전원 일치제 (모두가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토의 지속)

2) ‘전원 일치제 (합의가 되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경우, 다수결)

3) 다수결제 


<변화이론> 설계, 세션 별 퍼실리테이팅 활동 내용 


세션1: 장기 성과/사회적 영향 Long-term Outcome*

*장기적 성과 = 사회적 영향 (Long-term Outcome = Impact/Social Impact)

 

1-1 ‘장기 성과찾아내기

- <변화이론>에 도달할 장기적 목표‘/’장기적 성과를 명확하게 정의

 

진행 방식 - 집단 브레인스토밍

 

장기 목표도출을 위한 주요 질문

- 당신의 프로젝트가 성공적이었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당신의 프로젝트의 성공에 대한 신문기사의 헤드라인을 뽑는다면, 무엇이 될 수 있는가?

- 당신의 재정지원자는 어떤 것을 목격하기를 기대하는가?

 

준비물*

- 포스트잇(), 전지()**

*가능한 충분하게 준비

**[일단 보관]이라고 명명한 전지 1장과 [개입]으로 명명된 전지 1장을 별도로 준비 (브레인스토밍에서 필요함)

 

퍼실리테이터 역할 

- (브레인스토밍 단계) 포스트잇에 생각 적어서 화이트보드에 붙이기

- 유사성에 따른 생각 묶기

- 생각 묶기 과정에서 집단 토의하기

-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아이디어에 대한 합의 도출하기

-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해당 프로젝트의 기간을 분명히 하기* 

*프로젝트 기간에 대해서 집단 내 합의 도출 중요!

 

1-2 ‘장기성과구체화하기 Crafting the Long-term Outcome 

퍼실리테이터 역할

<1단계> 

- 모든 회의구성원이 장기성과를 적도록 유도합니다.

- 포스트잇 1장에 아이디어(정의 포함) 1개 작성하도록 안내합니다. 


<2단계> 

- 포스트잇을 전지에 붙이고, 유사성에 따라 묶기(그룹핑)

- 제시한 아이디어와 그룹핑에 대해서 다른 구성원에게 설명하도록 유도합니다.

- 서로 다른 설명 간의 비교를 하며 토론 진행합니다.

- “반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는 내용에 대한 합의가 되도록 진행합니다.* ** 

*합의가 이뤄진 것은 별도로 기록 및 분류합니다.
**유사한 아이디어로 그룹핑 되지 못한 아웃라이어를 배제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아웃라이어라도 적절해 보인다면 [일단 보관] 전지에 따로 보관)

<3단계> 

- 2단계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장기성과를 위한 사전 조건의 기능을 하는 단기성과를 찾아내도록 유도합니다.

- 만약 사전 조건에 해당하는 단기 성과를 찾아냈을 경우, ‘사전 조건이 해당할 수 있는지 토론을 하고 합의를 도출합니다.

- 합의 도출 후 해당 단기 성과[일단 보관] 전지에 보관합니다. (분류된 단기 성과는 세션2 ‘거꾸로 거슬러가기 맵핑에 활용) 

주의 사항
<3단계>를 거듭해서 반복하는 과정에 새로운 아이디어 또는 수정의견이 나올 수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장기성과/사회성과는 프로젝트가 최종 완료되는 직전까지 잠정 합의” 상태입니다.

(계속)

액트놀리지(ActKnowledge),

비영리 활동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작동하는가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사회 변화를 위한 실제 활동과 연결짓는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의 사회적 기업입니다. 지역사회 조직/기관, 비영리단체/기관, 비영리재단, 정부 등과 함께 환경, 제도, 공공영역의 바람직한 전환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관바로가기
 


작성자 : NPO지원센터 / 작성일 : 2019.10.30 / 수정일 : 2023.03.30 / 조회수 : 2095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