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의 제도화 (3)] 한국 시민사회의 정치과정과 성격변화-1990년대 이후 시민사회의 갈등적 제도화/홍성태, 신종화/2007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6.08.03 / 수정일 : 2016.08.03


*저자명: 홍성태, 신종화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민주주의와 인권 제7권 제1호 (2007년 4월) pp.321-345 1598-2114 KCI 권호별 논문보기
*발행정보: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2007년 | 한국 | 한국어
*주제분야: 사회과학 > 사회학


이 글은 시민사회의 국가에 대한 정치과정과 시민사회 내부의 정치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사회가 제도화 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운동과 이익의 정치가 분화, 공존하게 됨으로써 갈등적 제도화의 구조적 긴장을 낳는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시민사회의 갈등적 제도화라는 분석은 시민사회가 운동정치를 넘어 제도정치의 관점에서, 그리고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관계 설정의 차원에서 새로운 실천 전략들을 고민해야 한다는 함의를 가질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1. 문제제기
2. 시민사회의 중범위적 구성: 이익집단과 사회운동의 동학 비교
3. '국가-시민사회'의 정치과정: 정치과정의 역사, 구조, 동학
4. 시민사회 제도화의 구조적 긴장: 운동정치와 이익정치의 갈등적 분화
5. 결론을 대신하여: 사회적 갈등의 유익함에 관하여


링크: http://goo.gl/hT90bH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6.08.03 / 수정일 : 2016.08.03 / 조회수 : 2340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