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국내·외 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에 관한 연구 (임대호, 2011)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코기토 / 작성일 : 2014.08.02 / 수정일 : 2020.06.16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을 책임있게 운영하는 것에서부터 다양한 사회공헌활동까지 그 폭이 넓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공익을 위해 대립관계에서 협력관계로 진화하는 기업과 NGO의 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국내 사례로는 유한킴벌리와 아름다운재단의 협력관계를 고찰하고 있습니다.


 논문개요

저자 : 임대호
지도교수: 이희선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NGO전공 2011. 2
출판년 : 2011

초록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세계화의 질서에서 NGO의 사회공익 활동이 급증하며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기업과 NGO 관계는 갈등과 대립에서 사회공익을 위한 파트너십으로 발전되는 것이 글로벌 동향이다. 

시민의 권익을 옹호하는 활동과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안, 불편, 불쾌 등 각종 사회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업이 NGO를 지원하거나 NGO와 공조하는 일이 새로운 기업 사회공헌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사회공헌 활동은 기업의 주요 경영활동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기업과 비영리조직의 관계는 전통적인 기부자와 수혜자라는 불평등한 관계 혹은 정치적 적대관계가 존재하는 갈등․대립의 관계를 넘어 상호간의 이익을 추구하는 전략적인 협력관계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기업 중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유한킴벌리와 아름다운 재단의 기업-NGO 협력관계 사례에 대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활동 현황을 고찰해 보았으며, 각각의 사례가 갖고 있는 장점과 과제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외국과 국내의 CSR 사례연구를 통해서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과제를 여섯 가지(①NGO 역할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②기업과 NGO의 목적 동일성, ③전문 인력 육성, ④NGO 재정지원의 다양화, ⑤기업과 NGO의 협력관계의 다양화, ⑥중소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활성화)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활성화, CSR 전문 인력 확보, NGO의 재정지원 경로의 다양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기업과 NGO 단체의 협력관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사례를 분석해 보고 과제를 도출해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 1 장 서 론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2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4
제 1 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4
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개념 및 기본조건4
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분류7
3.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동향10
제 2 절 기업과 NGO의 특성 및 관계이론12
1. 기업과 NGO 조직의 특성12
2. 기업과 NGO의 관계이론16
제 3 절 기업과 NGO의 협력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26
제 3 장 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에 관한 현황29
제 1 절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29
1. 사회공헌활동의 변화양상29
2. 사회공헌활동의 성장 추이30
제 2 절 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의 최근동향33
제 4 장 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 사례분석36
제 1 절 외국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 사례분석37
1. Wal-Mart와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37
2. BAT와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41
3. Wal-Mart 및 BAT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 분석46
4. 선진 외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전략과 특성49
제 2 절 국내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 사례분석52
1. 유한킴벌리와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52
2. 아름다운재단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협력59
3. 유한킴벌리 및 아름다운재단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 분석63
4. 국내 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의 문제점67
제 5 장 기업과 NGO의 사회공헌활동 협력관계를 위한 개선과제 70
제 1 절 NGO 역할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70
제 2 절 기업과 NGO의 목적 동일성71
제 3 절 전문 인력 육성72
제 4 절 NGO 재정지원의 다양화73
제 5 절 기업과 NGO의 협력관계 다양화73
제 6 절 중소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활성화74
제 6 장 결 론76
제 1 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76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77
참고문헌78
ABSTRACT82

작성자 : 코기토 / 작성일 : 2014.08.02 / 수정일 : 2020.06.16 / 조회수 : 35765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