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일본의 시민운동은 시민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인권ㆍ평화 관련 NGO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권혁태, 2005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이 글은 시민사회지표 조사방법을 통해 일본 시민사회 내부에서 일본 시민사회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일본 시민사회가 직면한 문제점을 도출해내고자 하는 글입니다. 조사는 다수의 인권ㆍ평화 관련 단체를 조사대상에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영세형 법인격미취득 시민단체를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사 대상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의 구조, 공간(환경), 가치, 영향력을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일본의 시민사회는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구조, 영향력, 공간에 대해 낮게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일본의 시민사회가 시민사회의 취약성을 우려하며 비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시민사회의 자기인식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에게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권혁태. 2005. 「일본의 시민운동은 시민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인권ㆍ평화 관련 NGO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아시아의 시민사회(Ⅱ)-현재와 전망』 아르케.

저자 소개

1959 년 대전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히토쓰 바시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야마구치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성공회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릿쿄대학 초빙 연구원, 규슈대학 대학원 초빙 교수를 지냈고, 계간 『황해문화』의 편집위원입니다. 「재일조선인과 한국 사회」, 「1960년대 단카이 세대의 반란과 미디어로서의 만화」 등의 논문과 『일본의 불안을 읽는다』, 『아시아의 시민사회』(공저), 『동아시아 인권의 새로운 탐색』(공저), 『반일과 동아시아』(공저), 『한·중·일 3국의 8·15 기억』(공저) 등의 책을 썼으며, 『히로히토와 맥아더』를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와 분석방법
2. 일본 시민사회 분석: 항목별 분석
3. 결론을 대신하여: 전체 평가

작성자 : 김연수 / 작성일 : 2014.12.04 / 수정일 : 2020.06.16 / 조회수 : 3052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