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협력NGO책무성 자가진단서/KCOC,2019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SinMás / 작성일 : 2020.07.15 / 수정일 : 2020.07.16

국제개발협력NGO 책무성 자가진단서(이하, 자가진단서)는 국제개발협력NGO(이하, 개발 NGO)가 추구하는 가치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해 얼마나 책임감 있게 활동하고 있는가를 진단할 수 있도록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에서 개발한 양식입니다. 본 양식은 국제개발협력NGO 행동규범(Code of Conduct)과 연계되어 개발되었으며, 행동규범의 이행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자가진단서는 단체의 책무성 이행 수준을 스스로 진단하고 단체가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든 도구로 2013년 12월 처음 발간되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총 233개 단체(누적수)가 자가진단에 참여하는 등 개발NGO가 스스로 책무성 증진을 위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본 자가진단서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협의의 책무성 개념을 확대하여 국제개발협력NGO와 관계된 다양한 이해관계자 – 자원제공자 뿐 아니라 사업 참여 주민, 내부이해관계자 및 협력기관, 일반 시민 등을 포함 – 에 요구되는 책무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즉, 단체가 합법적이고 투명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보고하고 있는지 뿐 아니라, 비전과 사명에 따른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지,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를 갖추고 있는지, 단체의 활동이 현지 지역사회에 실질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루는데 대한 책무를 다하고 있는지, 단체를 후원하거나 관심 있는 사람들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었는지, 단체의 임직원이 기본적으로 지향할 가치를 준수하고 있는지 등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책무의 범위
과정 책무(Process Accountability): 단체가 비전과 사명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확립하고 있는지, 이해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는 대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지, 인권 증진을 위한 노력과 활동이 있는가 등 점검
개발효과성(Development Effectiveness): 단체의 활동이 빈곤, 불평등, 소외 등과 같은 문제의 현상 뿐 아니라 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변화를 도출하였는가, 국제적으로 합의된 공통된 사업수행 원칙을 준수하였는가, 사업에 참여하는 현지 주민이 스스로의 권리를 인식하고 의견을 표현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가 등 점검
합법성(Legality): 관계 법령과 규범의 준수, 현지문화와 현지 법령 존중 여부 점검
투명성(Transparency): 의사결정 과정과 재무를 포함한 사업 수행 과정과 결과를 이해관계자에게 정확히 공개하고 있는지 점검
윤리적 책무(Ethics): 개발협력 사업 수행에 있어 지켜야 할 공통된 기본 윤리를 준수하고 있는지, 윤리경영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 등 점검
자가진단양식은 ‘국제개발협력NGO 행동규범’의 5개 부문 – 조직운영, 사업수행, 재무회계, 정보공개, NGO 임직원 행동윤리 – 에 대한 책무성 이행 정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본 행동규범의 5개 부문 원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제개발협력NGO 행동규범 5개 부문 원칙
조직: 단체의 활동과 성과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분명하고 민주적인 조직 및 의사결정구조를 마련하고, 이해관계자와 일반시민이 제안,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조직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다.
사업: 단체의 비전과 목표에 따라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에 의거하여 사업을 기획, 시행, 평가하며, 이 사업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공통된 원칙을 충족시키는 사업이어야 한다. 단체는 사업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재무회계: 단체는 모든 재정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후원자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하며, 전문적인 재정운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정보공개: 단체는 단체의 운영, 활동 및 회계정보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해관계자 및 일반 대중, 다른 NGO와도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며 공유한다.
NPO임직원 행동원리: 단체의 임원, 직원, 자원봉사자 등 개발 NGO 단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본 행동규범에 명시된 임직원 행동윤리를 준수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한다.
문항은 총 80개 문항으로 기본 73개 문항과 추가 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문항은 조직 15문항, 사업 17개 문항, 재무회계 19개 문항, 정보공개 12문항, NGO 임직원 행동윤리 10문항입니다. 추가 문항은 기본 문항 중 일부 문항에 대한 (예/아니오)응답 근거를 서술 하는 문항으로, 자의적 해석을 방지하고 기본 문항 응답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 추가질의를 하고 있습니다.

본 자가진단서는 국제개발협력NGO의 특수성에 기반해 제작되었지만, 책무성과 관련해 조직 자가진단을 고민하는 다른 NPO 조직들도 참고하기에 좋은 자료가 될 것입니다.



국제개발협력NGO책무성 자가진단서(개정판)​ 다운로드 바로가기

작성자 : SinMás / 작성일 : 2020.07.15 / 수정일 : 2020.07.16 / 조회수 : 18314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