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웹에서 유통되는 정보, 지식의 신뢰연구 (2007, 정보통신정책)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박준우 / 작성일 : 2015.01.23 / 수정일 : 2020.06.18
‘지식은 소수의 전문가들이 그들만이 해석할 수 있는 책이나 데이터를 통 해서 생산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일을 해나가면서 얻은 경험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아이디어와 정보들을 모두 포괄한다’ (매카티)

지식에 대한 이런 정의에 동의하시나요?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 잘 편집된 권위있는 문헌만이 지식의 전달도구로 인정받던 것과 달리, 웹 2.0이라는 키워드와 함께 위키피디아가 브리태니커 사전을 앞지르고, 각종 노하우 공유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던 2000년대 중반의 정보, 지식 유통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김희연 연구원이 작성한 것으로, 정보통신정책 통권 415호에 실렸습니다.

 


김희연
정보통신정책 제 19월 8호 통권 415호

오늘날 대중의 지혜, 또는 집단지성을 활용한 지식은 이제 일상생활의 필수조건이 되어가고 있다. 사람들은 궁금한 것이 생기면 검색을 통해 웹에서 유통되는 정보, 지식을 수집하고, 이를 받아들인다. 이는 검색결과에 대한 신뢰가 암묵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웹에서 유통되는 정보, 지식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에서 유통되는 정보, 지식의 신뢰에 관한 이슈를 정리하였다.

목차
1. 웹 2.0 시대의 정보, 지식
1) 정보, 지식 생산에서 일반 대중의 부상
2) 지식의 새로운 정의2. 대중의 지혜와 정보, 지식 신뢰성 문제
1) 대중의 지혜: 지식검색과 위키피디아의 성장
2) 정보, 지식의 신뢰성 문제
3. 신뢰 제고를 위한 정보, 지식 서비스의 진화


작성자 : 박준우 / 작성일 : 2015.01.23 / 수정일 : 2020.06.18 / 조회수 : 2565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