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녹색연합지속가능보고서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또랑 / 작성일 : 2017.05.22 / 수정일 : 2017.05.22
2016년에 다양한 이해관계자 토론과 내부 활동가의 토론을 거쳐 녹색연합의 지속가능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녹색연합의 활동뿐 아니라 조직운영과 조직문화까지 폭넓게 토론하고 정리하였습니다. 
단순히 텍스트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을 넘어 우리에게 변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변화가능한 부분이 무엇인지도 돌아보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지속가능보고서를 작성한 이후 녹색연합의 변화한 것들

1.점심시간을 8시간 노동시간에 포함함으로써 실질적인 주 7시간으로 노동시간 단축
2.기존 연 20만원 활동가 교육비를 30만원으로 10만원 인상
3.부분적 근무시간의 유연화(저녁에 행사가 있을시에 2시출근 ~ 10시퇴근 가능)

과정을 통해 나온 공통의 질문들 

그러나 더욱더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변화보다는 지속가능보고서를 통해 아래와 같이 함께 할 수 있는 질문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질문들이 내재화되고 지속적인 물음으로 남기 위해서는 더욱더 많은 힘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공통의 질문들을 찾아낸 것만으로도 그 과정이 뜻깊었습니다. 

*사업을 통해 목표한 변화가 일어났습니까?
- 목표와 활동내용은 녹색연합의 고유 목적에 부합합니까?
- 사업을 통해 이루고자 한 구체적인 변화가 무엇입니까?
- 목표와 방향 설정은 적절 하였습니까? (시의성, 자원 요소 등)
*활동가의 성장을 위한 과제와 요소가 있습니까? 그 시도가 활동가의 성장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활동의 가치와 의미가 공유되고 확산되었습니까? (대중적인 확산, 가치의 전달)
*사업의 목표달성을 위한 핵심 자원은 무엇입니까? 이를 확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습니까?
*회원/후원자들에게 한 약속을 성실히(꾸준히, 진정성 있게) 이행하고 있습니까?
*새로운 시도(방법, 아이템, 접근법, 관점 등 모든 것)를 하였습니까?
*내외부의 변화 요소를 활동에 잘 반영하였습니까?
*사업의 계획, 점검, 실행, 개선에 우리 모두의 녹색연합이 함께 하였습니까?
*외부와 연대하고 협력하고 있습니까? 이를 통해 얻은 성과는 무엇입니까?​

한 해단체의 활동에 대한 결과와 재정공유 뿐아니라 얼마나 지속가능한 조직인지를 단체의 구성원 뿐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점검하고 더욱 지속가능한 조직으로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과 준비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되돌아보는 소중한 기회를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녹색연합 지속가능성보고서 보러가기 : https://issuu.com/i_greenkorea/docs/greenkorea2016_reaport

글쓴이 최위환(또랑)은 환경과 생명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녹색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녹색시민들이 연결되어 모여서 떠들고 꿈꿀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실험을 해가고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라 관계, 지식이 아니라 훈련이라 생각하며,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만큼 배우면서 해나가고 있습니다. 소셜한 시민운동을 고민하는 단체들과 함께 "맨땅에 헤딩하면서 배우는 비영리소셜마케팅" 강좌를 진행하였습니다.​ 2017 해본다학교 "홍보" 분야 이끔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성자 : 또랑 / 작성일 : 2017.05.22 / 수정일 : 2017.05.22 / 조회수 : 1958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