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운미팅 커뮤니케이션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또랑 / 작성일 : 2017.05.23 / 수정일 : 2023.04.04
모든 단체나 조직에서는 회의를 한다. 
​그러나 제대로 된 회의를 하는 조직이 있을까나?
특히나 비영리 단체에서 회의는 정말 길고 성과없이 끝나는 경우가 많다.
괜히 "비영리회의주의자"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은 회의를 어떻게 준비하고 진행하는지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회의 중에서 단순히 사실을 공유하는 회의가 아니라 무엇이 문제이고 그 근본문제를 찾고 해결책을 같이 찾는 회의다. 

과연 비영리 단체에서 회의를 준비하는 사람이 있을까? 여기서 준비는 단순히 회의자료를 취합하고 출력하고 회의장소를 빌리고 셋팅하는 사람이 아니다. 
회의의 목적과 의미를 사전에 설명하고 누가 회의에 들어올지 그리고 회의가 끝날때 이뤄야 할 목표는 뭔지.. 그리고 그 회의 이후에 그 목표들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사람을 말한다. 그러나 대부분 비영리 단체에서는 단순한 회의 준비(연락, 출력, 셋팅)는 후배들이 하고 회의 진행은 팀장들이 하고
결국 수행은 다시 후배들이 하고 점검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그래서 결국 회의적 인간이 되어버린다. 

이 책은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회의설계를 통해 문제의 해결점을 찾을 것인가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표도 나와있다. 대부분의 사례가 기업의 사례이긴 하지만 
비영리 단체에서도 충분히 적용가능한 사례들이 많다. 일상적인 공유회의는 그대로 진행하더라도 아이디어를 도출하거나 혁신적인 문제해결이 필요할 때는 준비된 회의를 진행해야 한다. 회의를 이끌어 나가야 할 팀장과 리더에게 이 책을 권한다. (첨부한 파일은 필자가 간단하게 요약한 피피임)



책 목차

저자의 글

프롤로그

이 책을 활용하려면

1부 타운미팅이란

01 GE의 변화와 혁신

02 타운미팅 이해하기

2부 타운미팅의 프로세스와 설계

01 타운미팅의 프로세스

02 타운미팅의 설계

3부 타운미팅을 위한 도구들

4부 퍼실리테이션 스킬

01 퍼실리테이터란

02 퍼실리테이터의 역할 | 팀원 행동에 대한 퍼실리테이터의 대응 | 갈등과 저항을 해결하는 프로세스

03 퍼실리테이터의 전문화

04 퍼실리테이션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술

05 퍼실리테이션을 위한 질문 기술

5부 프리미팅

6부 타운미팅의 진행

01 타운미팅 세션 ① 킥 오프, 주제의 구체화

02 타운미팅 세션 ② 문제점 도출 및 원인 선정

03 타운미팅 세션 ③ 해결 방안 도출과 실행 계획

04 타운미팅 세션 ④ 스폰서에게 프레젠테이션하기

7부 스폰서를 설득하는 프레젠테이션 스킬

01 잭 웰치의 프레젠테이션 노하우

02 래리 킹의 청중 분석 노하우

03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4P 분석 전략

04 효과적인 보디랭귀지 기술

8부 포스트미팅

9부 성공 사례와 문제점 극복

01 타운미팅 성공 사례

02 저항과 문제점의 극복

10부 액션러닝, CAP, 식스시그마와 연계하기​

글쓴이 최위환(또랑)은 환경과 생명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녹색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녹색시민들이 연결되어 모여서 떠들고 꿈꿀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실험을 해가고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라 관계, 지식이 아니라 훈련이라 생각하며,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만큼 배우면서 해나가고 있습니다. 소셜한 시민운동을 고민하는 단체들과 함께 "맨땅에 헤딩하면서 배우는 비영리소셜마케팅" 강좌를 진행하였습니다.​ 2017 해본다학교 "홍보" 분야 이끔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작성자 : 또랑 / 작성일 : 2017.05.23 / 수정일 : 2023.04.04 / 조회수 : 17646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