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지역공동체의 실천적 집단지성의 발현으로서 커뮤니티매핑에 대한 소고 (2014, 서울도시연구)
NPO보고서 및 연구자료 / by 코기토 / 작성일 : 2015.01.28 / 수정일 : 2020.06.18
커뮤니티매핑은 웹2.0 시대 구글지도와 같은 공개 지도 데이터의 확산과 함께 지역사회를 새롭게 바라보고 공동체활동을 펼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소개되어왔습니다. 서울도시연구의 이 연구논문은 커뮤니티매핑이 이러한 의의를 실현하면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연구자들은 커뮤니티매핑이 아직은 초기 단계로 개념정립이 충분하지 않은 단계에 있으므로 관련 이론과 주요 사례 소개에 그친 것을 아쉬워하며, 향후 실제적인 사례 분석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지역공동체의 실천적 집단지성의 발현으로서 커뮤니티매핑에 대한 소고 (다운로드)
  • 서울도시연구 (권호: 제15권 제4호)
  • 발행일: 2014-12-31
  • 연구자: 정수희, 이병민
논문요약:본 고는 최근 국내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한 지도만 들기인 ‘커뮤니티매핑(Community Mapping)’에 대한 연구이다. 정보기술 환경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새로운 사회패러다임의 변화는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사회자본 역시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흐름 속 에서 집단지성이 등장했다. 커뮤니티매핑은 집단지성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사례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사회자본의 변형과 확장의 관점에서 집단지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천 사례로서커뮤니티매핑을이론적으로접근하고자한다.이과정을통해커뮤니티매핑이 21세기도시공 동체를 형성하는 콘텐츠이자 도구로서 갖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궁극적으로는 웹2.0시대에 새롭게 요 구되는 사회자본의 축적도구이자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직접적인 실천 프로그램으로서 커뮤니티매 핑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서울도시연구: 서울연구원 정기간행물.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서 서울을 비롯한 도시 관련 연구 중심의 전문지입니다. (연 4회 발간)


작성자 : 코기토 / 작성일 : 2015.01.28 / 수정일 : 2020.06.18 / 조회수 : 26522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