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을 조금 더 스마트하게 만드는 툴킷
현안과이슈 / by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18.07.26 / 수정일 : 2023.03.31

 *이 자료는?

UCLA Luskin center for Innovation​ 에서 발행한 '스마트 공원을 만들기 위한 툴킷'에 대한 자료

 

 *이 자료를 소개하는 이유는?

주어지는 공간으로서의 도시 공원이 아니라 디자이너와 이용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방법을 소개해보고자 함.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머물러 있는 공간으로서의 도시공원이 아니라 상호작용하고 혁신적인 공간으로 변화가능한 도시공원의 가능성을 소개하고 싶었음.

 

 *이 정보가 필요한 사람 

공공의 공간인 도시공원의 관리나 디자인에 관심이 있는 사람. 공동체의 요구에 맞춰 도시공원을 디자인 해보고 싶은 사람.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도시공원 관리에 관심있는 관리자나 디자이너 또는 이용자. 



◎ 원문 제목 및 링크 

SMART Parks: A Toolkit  -UCLA Luskin center for Innovation
http://innovation.luskin.ucla.edu/sites/default/files/ParksWeb020218.pdf )



◎ 개요 번역문 

이 툴킷은 공원을 좀더 스마트하게 만드는 기술들의 조합이다. 이것은 공원 관리자, 디자이너, 지지자나 기술이 어떻게 공원에 적용되는지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다. 이 툴킷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들을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시 공원들의 주요 요소들인 풍경Landscape, 관개시설irrigation, 빗물storwater, 인공적요소hardscape, 활동공간activity spaces, 도시의 가구와 편의시설urban furniture and amenities, 전기사용lighting, and digiscape로 구성되어 있다. 

Chapter1 
소개 - 스마트공원의 정의와 이 툴킷의 범위와 방법론
공공의 공원은 적어도 백년 이상 도시에서의 삶에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해왔고, 앞으로도 도시에서 필수 불가결한 영역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공원은 대중들이 충분히 이용하지 않는 것 뿐 아니라 프로그램이나 관리자 등의 자원이 줄어드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들을 마주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새로운 기술과 혁신적인 관리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공원관리자들의 능력을 확장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툴킷의 목적은  기존에 존재하거나 새로 만들어질 공원들을 스마트하게 만들어줄 기술들을 보여주는데 있다.

스마트공원이란 무엇인가 - 스마트공원이란 동등한 접근성, 공동체에의 적합성, 안전, 회복력, 물과 에너지의 효용성, 효율적인 작용과 지속성 등의 가치를 성취하기 위한 환경적이거나 디지털기술 혹은 물질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공원을 의미한다. 스마트공원은 사회적 물질적 기반을 반영한다. 또한 접근이 쉽고, 기후변화에 대응이 가능하고, 물과 에너지 효율이 좋으며 공동체의 안전과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지속되기 쉽다. 기술적인 혁신은 공원을 개선시키고 장기적인 비용을 줄여준다. 

이 툴킷은 공원을 스마트하게 만드는 기술의 모음으로 자원으로 사용될 뿐이지 공원 디자이너나 전문가를 대체할 수는 없다.

Chapter2
스마트 공원의 필요와 역할 - 이 챕터는 오늘날 공원이 마주한 도전과 이점의 이해를 돕는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일하고, 주계획에서 그들의 장기적인 필요를 고려하고 실행하는 기술들의 장점을 다각화하기 위해 교육과 봉사활동을 함으로써, 스마트공원을 공동체나 더 큰 지역으로 통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Chapter3 
스마트공원의 가치 기준 -이 챕터에서는 스마트공원을 만드는 것의 일반적인 목적을 논의하고 접근Access, 공동체 적합성Community Fit, 건강Health, 안전Safety, 저항성Resilience, 물Water, 에너지Energy, and 작용과 지속Operations and Maintenance의 8가지 가치기준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Chapter4
풍경 - 
이 챕터는 초목정원이나 산책로 같은 공원의 자연적인 요소들을 통칭하는 ‘풍경’에 관한 기술을 6가지 소개한다. 자동 잔디 깎는 기계automatic lawn mowers, 근적외선사진near-infrared photography, 지붕녹화green roofs, 벽면녹화green walls, 공기가 통하게 함으로써 뿌리생장을 조절하는 화분air-pruning plant containers, 진동으로 꽃가루를 옮기는 기구vibrating pollinators. 각각의 기술들의 실제 사용예시와 챕터2의 가치기준으로 평가한 결과도 함께 나열되어 있다.

Chapter5 
관개시설 - 관개시설과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는 챕터로 특히 물의 관리에 관해 이야기한다. 언급되는 5개의 기술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 물 관리기smart water controllers, 저압력 스프링쿨러low-pressure and rotating sprinklers, 표면 점적 관개subsurface drip irrigation, 스마트 물계량기smart water metering, and 중수재활용graywater recycling.

Chapter6
빗물 - 공원에서 빗물관리의 중요성과 녹색인프라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 인공토양engineered soils, 지하저장고underground storage basins, 드론drones, 실시간 조절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시스템Real-Time Control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Adaptive Control, 그리고 빗물저장rainwater harvesting의 5가지 기술에 대해 이야기한다. 

Chapter7 
인공적요소(hardscape) - 공원에서 인공적 요소란 보도가 깔린 산책로나 앉을 수 있는 구역, 주차장 같은 만들어진 부분들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되어 소개되는 기술로는 직교적층목재cross-laminated timber, 투수성 도로포장pervious paving, 압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타일piezoelectric energy-harvesting tiles, 자가치유되는  바이오콘크리트self-healing concrete, 광촉매 티타늄디옥사이드 코팅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coating, 빛투과 콘크리트transparent concrete, 주광형광골재daylight fluorescent aggregate, 그리고 탄소 재활용 콘크리트carbon upcycled concrete 등이 있다.

Chapter8 
활동공간 - 신체적인 활동을 위한 공간과 어떻게 기술과 프로그래밍이 방문자 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와 관련된 6가지 기술들은 다음과 같다.  상호반응놀이구조interactive play structures, 고성능 트랙 high-performance track surfaces, 수영장 오존화pool ozonation, 에너지를 생산하는 운동기구energy-generating exercise equipment, 옥외 DJ부스outdoor DJ booths, 표면경도 실험도구hard-surface testing equipment

Chapter9
도시형 가구와 생활편의시설Urban Furniture and Amenities 도시형 가구와 생활편의시설은 공원벤치나 쓰레기통, 화장실 등의 방문자들이 다양하게 사용하는 공원의 인공물이나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 챕터에서는 이에 관한 7가지 기술을 이야기한다. 스마트 벤치smart benches, 태양광발전 및 빛가림 구조물solar shade structures, 태양광발전 쓰레기압축기 solar-powered trash compactors, 화장실사용중센서restroom occupancy sensors, 스마트 음수대smart water fountains, 디지털 안내스크린digital signs, 자전거와 보행인 자동계수기automatic bicycle and pedestrian counters

Chapter10
조명 -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안전성을 높임으로써 방문자를 끌어당기는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부분으로 움직임 감지센서motion-activated sensors, 예술로 사용되는 LED와 광섬유 조명LEDs and fiber optics as art, 전력망에 연결되지 않은 조명off-grid light fixtures, 디지털기술이 추가된 LED조명digital additions to LED fixtures, 조명 차단막lighting shields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Chapter11
Digiscape - 이 챕터는 Wi-Fi,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앱application software, 센서망과 IOT(sensor networks and the Internet of Things)의 4가지 기술에 대해 언급하며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공원이 좀더 풍부한 접근성, 안전성, 프로그램 등을 가질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Chapter12
실행에의 조언 - 
모든 공원은 각각의 공동체와 필요, 예산, 현존하는 인프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챕터에서는 계획하고 실행하는 동안 고려해야 할 논의나 흐름들을 보여준다. 공원의 변화에 우선해야 할 것들과 7개의 가치기준에 의거한 각각의 기술의 평가표를 포함한다. 



작성자 : 종합재미상사 / 작성일 : 2018.07.26 / 수정일 : 2023.03.31 / 조회수 : 15657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