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응과 청소년 참여 - 유니세프 보고서
현안과이슈 / by 그림 / 작성일 : 2020.08.17 / 수정일 : 2020.08.17

유니세프는 코로나19 대응과 청소년 참여를 다루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지역사회 참여: 코로나19 대응에 청소년들을 참여시키는 실무팁>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실무팁이라는 제목답게 청소년들이 코로나19 대응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을 단순히 보호 대상으로 보기 보다 문제 해결의 파트너로서 함께 협력해야 한다는 논지가 흥미롭습니다. 본문은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보고서를 번역하여 소개합니다.  

※ 원문: UNICEF(2020), “Risk Communication & Community Engagement: Practical Tips on Engaging Adolescents and Youth in the COVID-19 Response” 

https://www.unicef.org/documents/practical-tips-engaging-adolescents-youth-coronavirus-disease-covid-19-response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지역사회 참여: 코로나19 대응에 청소년들을 참여시키는 실무팁
 


코로나19는 확진자 급증, 학교 폐쇄, 코로나19 처리에 정신없는 보건 서비스 등 전례없는 세계적인 비상사태를 보여준다. 노인들과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가장 취약하지만, 청소년들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높다. 게다가 학교 폐쇄는 청소년들의 교육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사회 네트워크를 파괴한다. 공식적, 비공식적인 업무 중단은 젊은이들을 포함한 사람들의 생계에 새로운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같은 공중 보건 위기는 기존의 취약점, 돌봄 서비스 접근성, 불평등을 악화시킬 것이다. 특히 여성과 소녀들에게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코로나19 대응이 청소년들의 우선순위와 욕구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한편 그들은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인구 집단일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노력에서 매우 효과적인 파트너로 고려되어야 한다. 청소년들은 또래들과 지역사회에서 교육자와 변화의 매개자가 되기 위한 의미있는 참여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이 청소년들의 관점을 존중하며, 코로나19 대응에서 그들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젊은이들과 함께 일하는 것은 세대 간 갈등을 해소하고 연령이 다른 그룹 간 연대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보고서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응의 일환으로서 유니세프 국가사무소, 파트너, 젊은이들에게 청소년 참여에 대한 실무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번째 단계로 청소년들의 욕구가 무엇인지, 그들이 어떻게 행동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청소년들과 관계 맺기를 권한다. 청소년들과의 상담은 유니세프가 코로나19 대응에서 청소년들을 어떻게 참여, 보호, 지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최고의 자원이다. ‘피해를 주지 않는다(do not harm)’는 원칙이 항상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모든 행동은 피해에 대한 잠재적 리스크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그러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계획을 준비해야 한다.
 


청소년 아웃리치 (OUTREACH TO ADOLESCENTS AND YOUTH)


코로나19 대응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함께 기획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청소년 네트워크를 동원하는 것으로 시작하라.


청소년들이 코로나19 대응에서 청소년들을 동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스미디어, 로컬미디어, 디지털 채널과 플랫폼에 접속한다(라디오 프로그램, 소셜 미디어, U-Report, 로컬 방송국 등). 

청소년 단체, 네트워크, 인플루언서, 자원봉사 프로그램과 파트너가 되어 코로나19 대응에 청소년들을 참여시킨다. 코로나19 대응은 맞춤형 개입의 필요성을 고려하고, 다양한 커뮤니티와 그룹에 맞는 적절한 메시지 전략을 가진 사회 및 행동 변화 커뮤니케이션 기획을 포함한다.  

항상 가장 빈곤하고 배제된 청소년들을 고려하고(예: 젊은 여성과 소녀, 임산부, 장애인, 폭력 피해자, 소수민족, 이주민, 난민, 국내실향민 등), 그들에게 접근하기 위해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활용한다(예: 특정 그룹들과 함께 일하는 단체, 피어투피어 커뮤니케이션, 소셜 미디어, 라디오, U-Report 등).  

청소년들의 관심과 욕구를 청취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함께 결정한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지역 및 국가 계획, 조정, 피드백 메커니즘에 청소년들의 의미 있는 참여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 옹호한다.

정부기관, 공공보건의료기관, 스타트업, 학계 및 연구기관, 코로나19 대응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최전선에서 일하거나 자원봉사하는 청소년들과 파트너가 된다. 

U-Report를 통해 청소년들의 사례와 관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U-Report 코로나19 정보센터의 대응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대응 정보를 제공하고, 상황분석, 수요조사, 위기대응에 청소년 참여에 대한 질문을 포함시킨다.
 


정보 공유와 교육 (INFORM AND EDUCATE)


청소년들이 효과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와 예방책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자원을 갖추고, 교육을 받아야 한다. 


• 청소년들이 코로나19에 대해 적절한 정보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 정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다국어, 장애인 접근 가능한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청소년들에게 코로나19에 대한 사실과 거짓에 대해 교육할 때, 손씻기를 포함한 위생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적절한 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고위험군에 대한 사회적 연결과 지원을 제공한다.

• 청소년들이 코로나19와 관련된 외국인 혐오증, 낙인, 차별 같은 부정적인 행동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코로나19는 (사람들을) 차별하지 않으며 우리의 대응도 차별하지 않는다’').

• 도시, 시골 또는 국경 지역의 난민 캠프, 이민자 수용 시설, 환승 장소, 비공식 정착지와 같은 고위험 배경 속에서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전염병을 예방하고 그들의 웰빙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실행한다.

• 필요한 경우, 코로나19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루머 추적'을 통해 거짓 정보를 판별하는 U-Report 코로나19 정보 챗봇을 이용한다. 

• 청소년들이 또래 집단, 가족, 돌봄 서비스, 커뮤니티 안에서 예방적 실천의 교육자가 될 수 있도록 역량을 구축한다. 

• 코로나19 대응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어디에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원격 및 대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보건, 보호, 기타 사회적 지원 서비스/핫라인(심리학적 지원, 젠더기반폭력 관리 포함) 등. 

• 청소년들이 성적 착취와 학대를 포함한 방임, 착취, 학대를 보고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고, 보고서는 기밀로 유지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청소년들이 안전하다고 느끼지 않을 경우 취할 수 있는 행동을 포함하여 안전에 대한 자원을 온라인으로 공유한다. 
 


참여와 행동하기 (ENGAGE AND TAKE ACTION)


청소년들이 그들의 커뮤니티 안에서 행동할 수 있도록 파트너가 되라. 


• 청소년들이 코로나19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상황에 맞는 정보, 외국인 혐오증에 대한 정보, 낙인과 차별에 대한 정보, 코로나19에 대한 거짓 정보를 또래들과 커뮤니티 네트워크 간에 배포하는 등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안전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을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하라. 

• 청소년들이 또래 친구들와 어린 아이들의 학습을 도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정신 건강과 사회심리적 지원, GBV 지원 서비스와 정보 연계를 촉진한다.

• 독거노인 및 기타 취약계층에 안전한 지원을 제공하는데 청소년 단체, 네트워크,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참여시킨다. 이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음식과 의약품와 같은 기본적인 욕구 지원을 포함한다. 

• 청소년들이 Youth Challenge 같은 온라인 공모전을 통해 코로나19와 관련된 지역사회 문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 청소년들과 협력하여 그들의 삶, 가족, 학교, 미래 계획에서 전염병의 2차적 영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정책 입안자, 학교 당국, 지역사회 지도자들에게 전달하여 청소년 욕구를 다룰 수 있도록 한다.

• 온라인에서 청소년들이 경험과 고민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코로나19 대응에서 청소년들이 긍정적인 행동을 취한 사례를 보여준다.



청소년들의 효과적이고 윤리적인 참여를 위한 9가지 기본 요건  


1. 투명하고 유용한 정보(Transparent and informative): 청소년들은 완전하고, 접근하기 쉽고, 다양성에 민감하고, 연령에 맞는 정보를 받아야 한다.

2. 자발적인(Voluntary): 청소년들은 결코 자신의 의사에 반하는 관점을 표현하도록 강요받으면 안 되고, 어떤 단계에서든 참여를 중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3. 존중하는(Respectful): 어른들은 청소년들의 아이디어, 행동, 그들이 기여한 부분에 대해 알고 존중하고 지지해야 한다.

4. 관련있는(Relevant): 청소년들은 지식, 기술,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회, 자신의 삶과 관련 있는 문제에 대한 관점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5. 청소년 친화적인(Adolescent-friendly): 환경과 업무 방식은 청소년들의 발달하는 능력과 흥미를 고려하고 반영해야 한다.

6. 포용적인(Inclusive): 다양한 연령, 성별, 장애, 배경을 가진 소외된 청소년들을 포함한다.

7. 훈련 지원(Supported by training): 어른들과 청소년들은 청소년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훈련과 멘토링을 받아야 한다. 

8. 안전하고 위험에 민감한(Safe and sensitive to risk): 관점을 표현하는 것은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 청소년들은 리스크 평가와 완화에 참여해야 하고,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알아야 한다.

9. 책임있는(Accountable): 청소년들은 자신의 참여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명확한 피드백을 받아야 하고, 또래 친구들과 그 피드백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받아야 한다.





작성자 : 그림 / 작성일 : 2020.08.17 / 수정일 : 2020.08.17 / 조회수 : 12581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