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가를 위한 국내 포럼·심포지엄·컨퍼런스 모음 (9월)
현안과이슈 / by / 작성일 : 2017.09.02 / 수정일 : 2021.12.27



활동가를 위한 국내 포럼·심포지엄·컨퍼런스 모음 (9월)


* [역사문제연구소] 2017 연속기획 : 혁명 (역사문제연구소)
* [서울새활용플라자] 개관 컨퍼런스 : 업사이클링, 디자인 그리고 사회 (서울새활용플라자)
* [마포 지역포럼 10] 공유를 부르는 토지와 주택 (마포시민협력플랫폼)
* [2017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 
Seoul International Fair & Sustainable Tourism Forum 2017 (SIFT 2017)
* [인권재단 사람] 유엔인권정책센터 사무국 활동가 전원 사퇴를 통해 본 조직 내 민주주의를 위한 간담회 (인권재단 사람 외)
* [아쇼카 한국] 
제1회 Change Talk. 체인지메이커, 영감을 말하다​ (아쇼카 한국, 체인지 메이커스)
* [사회혁신리서치랩] 20회 열린 세미나 : 도시와 성매매, 여성인권 사이에서 (사회혁신리서치랩, 서울혁신센터)
* [2017 NPO 국제 컨퍼런스] 변화는 어디서 오는가? - NPO가 마주한 변화와 내일을 위한 실천 과제 (서울시NPO지원센터 외)
* [사회혁신리서치랩] 배다리마을, 공유의 다리를 잇다 : 인천 배다리마을 운동과 공유지 (사회혁신리서치랩, 서울혁신센터)
* [문학중심 유음] 젠트리피케이션 예방·대응 매뉴얼 발행 기념회 (문학중심 유음, 서울문화재단 외)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활동가와 0000 사이 : 13 IDENTITY 활동가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 [역사문제연구소 인권간담회] 도시개발과 인권 - 청량리 재개발과 성매매집결지 여성의 삶 (역사문제연구소)
* [한국독립영화협회, 9월 독립영화의 날] 비평하는 페미니즘 : 한국 독립영화 속 여성주의 시선들 (한국독립영화협회)
* [한국성폭력상담소] 2017 성평등한 사회를 위한 성폭력 판례뒤집기 토론회 : 피해자 권리 상실 삼각지대, 준강간 (한국성폭력상담소)
* [2017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국제학술회의]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 의미와 쟁점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외)
* [하자센터] 2017 서울청소년창의서밋 :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하자센터 외)
* [디지털 성범죄 심포지엄] 매개되는 욕망, 거래되는 몸 : 한국과 일본의 성매매, 디지털 성폭력 사태 (디지털성범죄아웃 DSO 외)
* [경기도 국제 공정무역 컨퍼런스] 경기도, 공정무역을 품다 (경기국제공정무역 컨퍼런스조직위원회 외)
* [피스모모 창립 5주년 기념 컨퍼런스] 전쟁의 북소리에 춤추지 않는 교육 (피스모모)





<혁명>
 - 2017년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기획

 지난 겨울 촛불의 경험은 잊혀졌던 혁명의 기억을 극적으로 소환했다. ‘우리는 촛불의 힘으로 정권 교체를 실현했지만이는 끝이 아닌 또다른 시작이다우리가 혁명을 기억하는 한 혁명의 과정은 끝나지 않으며혁명은 언제나 현재에 대한 물음이 되어야 할 것이다그런데 우리가 기억한 혁명은 어떤 혁명이었을까지금 우리들의 혁명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
 

 역사문제연구소는 6월 항쟁 30주년과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이한 이 시점에서 다시 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성찰하는 연속기획 혁명을 준비했다. 2017년 8월 26일부터 11월 25일까지 3개월간 이어지는 연속기획혁명은 영화상영강좌학술발표집담회 등 다양한 주제와 방식으로 진행된다기획의 오프닝으로 준비된 영화와 대담에서는 영화상영과 함께 역사적 의미를 짚어주는 오픈토크를 통해 영화와 시대를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또한 혁명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성찰하는 기획강좌를 비롯하여 다양한 강좌를 준비했다혁명과 역사를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고민하는 이들과 함께세계 각지에서 일어났던 혁명들의 의미가 무엇인지우리가 참조할 지점이 무엇인지 논의해 보려 한다역사문제연구소 정기심포지움은 혁명의 역사를 젠더라는 프리즘과 함께 지금의 시점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했다. ‘혁명전시 기획에서는 예술가들과의 공동 작업을 통해 이 시대 역사연구자들이 고민하는 다양한 혁명의 의미를 보여주고자 한다혁명기획의 대미를 장식할 집담회에서는 1980년대 사회운동에서의 주도적 이론가들을 초빙하여 당시 혁명을 꿈꾸었던 사람들에게 수용된 러시아혁명은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를 논의하며, 80년대를 역사화하는 작업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혁명은 금지된 것을 상상하고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것이다이번혁명기획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혁명은 무엇인지를 함께 고민하고 나누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을 기대한다많은 관심과 격려그리고 참여를 부탁드린다.
 

■ 영화와 대담


서울아트시네마 공동 주최 특별상영

<<붉은 대기>> (크리스 마르케 감독, 1977)

일시 2017년 8월 26일 토요일 오후 2시

장소 서울아트시네마 (종로3가 서울극장 안 시네마테크 전용관)

상영후 오픈토크 

사회 배경식(역사문제연구소)

패널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신동규(창원대학교 사학과), 이규상(눈빛출판사)

알콜상영회

<<미국의 바람과 불>> (김경만 감독, 2012)

일시 2017년 9월 1일 금요일 오후7시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5층 관지헌

진행 이정은(역사문제연구소)

대담 김경만(감독), 김은경(역사학연구소)

참가비 1만원 (술과 다과 제공)
 

<<파업 전야>> (이은, 이재구, 장동흥, 장윤현 감독, 1990)

일시 2017년 9월 8일 금요일 오후7시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5층 관지헌

진행 장미현(역사문제연구소)

대담 이은(감독)

참가비 1만원 (술과 다과 제공) 

 

■ 강좌 

 

혁명과 민주주의영원한 운동의 역사 

일시 : 2017년 9월 13일10월 25일 매주 수요일 저녁 79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관지헌(5)
 

강연 주제 및 세부 일정

-제1(9월 13) : 프랑스혁명과 민주주의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박윤덕프랑스혁명사충남대 사학과)

-제2(9월 20) : 러시아혁명과 민주주의-대중과 정당의 역동적 상호관계

(류한수러시아혁명사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

-제3(9월 27) : 1968년 프랑스 민주주의의 위기혁명인가?

(신동규프랑스현대사창원대 사학과)

-제4(10월 11) : 아랍의 봄, 21세기 재설정되는 국경과 민주주의

(홍미정중동현대사단국대 중동학과)

-제5(10월 18) : 라틴아메리카의 혁명포퓰리즘민주주의

(박구병라틴아메리카 현대사아주대 사학과)

-제6(10월 25) : 1989년 동유럽평화혁명과 민주주의

(이동기독일현대사강릉원주대 사학과)

-제7(11월 1) : 한국광장의 혁명-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이행

(한성훈역사사회학연세대 역사와공간연구소)
 

 지난 겨울부터 올해까지 많이 회자되고 있는 단어가 혁명과 민주주의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어떤 의미에서 혁명과 민주주의를 소환하는 것일까? ‘촛불’의 경험은 잊혀졌던 혁명을 다시금 화두로 제기했고, 정권교체를 이루었지만, 그것만이 결론은 아닐 것이다. 제도화된 질서가 이룩되는 순간 또다른 문제는 나타난다. 혁명과 민주주의에 대한 질문은 언제나 늘 현재진행형이다.


 우리는 언제나 혁명과 민주주의를 소환하고 고민한다. 프랑스혁명 이후 전개된 다양한 ‘혁명’ 또는 대중봉기는 제도적으로 정착된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의 역사이자 민주화운동의 역사였다. 역사문제연구소는 6월 항쟁 30주년과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이하여 세계 ‘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짚어보는 강좌를 준비했다. 이번 강좌에서는 그 수많은 ‘혁명’ - 프랑스혁명과 러시아혁명에서 이슬람과 라틴아메리카의 혁명에 이르기까지 - 제기된 다양한 ‘민주주의’의 문제에 주목하고, 대중의 역동성이 혁명과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이는 멈추지 않는 영원한 운동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번 강좌는 세계 혁명사를 오랫동안 연구한 중진 연구자들이 뜻을 모아 함께 준비했다. ‘혁명’과 ‘민주주의’를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고민하는 이들과 함께, 세계 각지에서 일어났던 역사적인 ‘혁명’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우리가 참조해야 할 지점이 무엇인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참가비 전체수강 5만원(한 강좌 수강시 1만원)
- 참가신청 : 구글양식(https://goo.gl/forms/JHT4qFjr67ojrDOl1)/ 전화 / 메일로 신청 후 입금(역사문제연구소 회원 20% 할인)


전공투 : 대안적 앎의 공간

-일시 : 9월 26(오후 7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관지헌

-강사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참가비 : 1만원
 

■ 심포지움

 

혁명의 젠더젠더의 혁명

일시 : 2017년 10월 21(오후 1오후 6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관지헌(5)
 

1부 혁명과 반혁명 그리고 젠더(사회 한봉석) 13:00~14:00

여대생들거리에 서다 – 4.19 혁명과 6.3항쟁 당시 여대생의 참여와 그 의미(오제연성균관대) 

5.16 군사쿠데타 이후의 유흥업 재편과 1960년대 성매매 현장(김대현연세대)
 

2부 사회주의 실험과 젠더(사회 한봉석14:10~15:10

지분과 유산 – 여성 사회주의자의 자기서사(장영은성균관대)

중국 사회주의의 성역할 타파 실험사회주의 고조기와 대약진운동기를 중심으로(장수지연세대)
 

3부 혁명과 젠더(사회 이기훈15:20~16:20

1970~8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혁명’ 경험순영언니의 고통과 용기(장미현역사문제연구소)

광장의 페미니즘그 이후(오혜진성균관대)
 

4부 종합토론(사회 이기훈16:30~18:00

토론 : 허윤(이화여대), 류진희(성균관대), 소현숙(한양대)

* 세부일정 및 주제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세미나 

혁명: 역사와 예술

-현재 텍스트 수잔 벅 모스김정아 역,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문학동네, 2004

-일시 : 8월 14(저녁 7시부터 진행

-장소 역사문제연구소 벽사당
 

■ 전시 

혁명’ 웹전시

-일정 : 2017년 11월 6일 오픈 웹 전시 예정

-상세 내용은 추후 공지

■ 집담회 

러시아혁명을 1980년대에 묻다

-기획 취지 : 1980년대 혁명을 꿈꾸었던 사람들에게 러시아혁명은 어떤 의미였을까?

 집담회는 1980년대 혁명을 꿈꾸었던 사람들에게 러시아혁명을 묻는다한국사회에서 1980년대는 뜨거웠던 시절로 기억되지만 2017년 현재의 관점에서 뜨거웠던 시절의 급진적 부분들은 한여름 밤의 꿈처럼 사라졌다그 이유를 87년 항쟁의 한계로 보든, 1990년대 초반 동구권 붕괴의 결과로 보든한국사회의 변화로 보든 혁명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잊혀진 이름이 되었다혁명을 꿈꾸었던 사람들에게 러시아혁명은 어떤 의미였을까? 1980년대를 상징하는 광주항쟁은 실제로 혁명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이하여 1980년대의 혁명운동과 혁명사 수용방식그리고 현재의 평가를 함께 나눠본다.

-사회 전원배(역사문제연구소)

-발제 이진경(수유너머), 최민(다음시대연구소) 등

-일시 : 2017년 11월 25() 13:00-18:00

 

역사문제연구소를 찾아오는 방법 : http://www.kistory.or.kr/index.php?subPage=150

역사문제연구소를 후원하는 방법 : http://www.kistory.or.kr/index.php?subPage=610 

문의 및 신청 : 역사문제연구소 02)3672-4191 / kistory@kistory.or.kr

 # 원문 출처 : 역사문제연구소 (http://www.kistory.or.kr/bbs/board.php?bo_table=story1&wr_id=201&sca=)





서울새활용플라자 개관 컨퍼런스
 - 업사이클링, 디자인 그리고 사회


네트워크 행사

 - 목 적 : 새활용플라자 활동 관련 내·외부 전문가 협업체계 구축 유도
 - 일 시 : 2017년 9월 5일(화) 18:30~20:30
 - 장 소 : 서울새활용플라자 내부 (3F 테라스 등)
 - 대 상 : 약 100인 (
컨퍼런스 연사, 새활용플라자 입주자 및 프로그램 협력사, 국내외 전문가, 기타 사전 활동 참여자 및 참여 예정자 등)
 - 내 용 : 행사 취지 및 참석자 소개, 케이터링 및 네트워킹 등
* 행사 내용 및 장소는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전문가회의(Upcycling Design Link)

 - 목 적 : 아시아 공동의 관심사인 환경문제에 대하여, 각국 디자인전문가로서 디자인적 솔루션을 제시하고 논의하는 집단지성의 원탁회의
 - 주최/주관 : 서울시, 서울디자인재단 /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 일 시 : 2017년 9월 6일(수) 10:00~12:30
 - 장 소 :서울새활용플라자 1F 미디어룸
 - 대 상 :약 30인(컨퍼런스 연사,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국내외 업사이클링 디자인 전문가 등)
 - 내 용 :향후 Upcycling Design Link 활동 논의 등* 행사 내용 및 장소는 변동 될 수 있습니다.

 # 사전 등록 : 서울새활용플라자 (
http://www.seoulup.or.kr/Bus/pre_register_reg.php?id=2&keyword=&keyfield=&page=1)
 # 원문 출처 : 서울새활용플라자 (http://www.seoulup.or.kr/Bus/openevent.php)




[마포시민협력플랫폼 - 마포 지역포럼 10] 공유를 부르는 토지와 주택

 - 2017년 9월 5일 오후 4시, 성산종합사회복지관 중강당

 천정부지로 솟아오르는 집값, 집없는 자들은 모두 주거유목민!
 토지와 주택은 투기의 대상의 되어 버린 지금, 집값안정을 목표로 한 주택 공급의 두 가지 새로운 변화.
 토지임대부 주택과 주택협동조합.

 이 두 사례는 토지와 주택이 각자의 필요에 부합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유되고 이용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토지와 주택이 개인의 재산증식수단으로 활용되지 않고
 주거를 비롯한 활동공간이 필요한 사람들이
 적정가격으로 이용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주택공급의 흐름에서 새롭게 등장한 위 두 가지의 사례들은 어떠한 성과를 남겼을까요?
 이후에도 유효한 주택공급의 방편이 되기 위해서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토지와 주택을 어떤 방식으로 소유하고 이용해야 모두에게 공평하고 정의로울까요?

 <프로그램>
 발제 1. 서울시 토지임대부 주택이 주는 시사점_김미정 (두꺼비하우징 대표)
 발제 2. 함께주택협동조합이 주는 시사점_전은호 (시민자산화센터 대표)
 토론. 박종숙(함께주택협동조합 이사장), 강세진(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

 - 주최 : 마포시민협력플랫폼
 - 주관 : 가칭) 대안주택포럼
 

 # 원문 출처 : 다정한 사무소 (https://www.facebook.com/mapogoodfriend​)





[2017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 

Seoul International Fair & Sustainable Tourism Forum 2017 (SIFT 2017)

 

 2017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에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올해는 UN이 지정한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의 해입니다. UNWTO(세계관광기구)에 의하면 지난해 전세계 인구의 1/6, 12억 5천만 명이 해외여행을 하였으며,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10%를 차지하는 정도의 규모입니다. 세계의 관광객 수가 해마다 높아지는 양적인 성장과 동시에 여행지역의 환경보전과 사회문화, 거주민들을 존중하는 질적인 면에서의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여행자의 책임을 강조하는 책임여행(Responsible Tourism)이 등장하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현지 주민들이 여행을 주도하는 마을여행(CBT : Community Based Tourism), 그리고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에코투어리즘(Eco Tourism) 등의 여행형태가 오늘날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키우는 힘이 되고 있습니다.

 10여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보전과 경제기여, 그리고 누구나 여행할 수 있는 권리와 환경을 만들어 여행자, 여행지역 모두가 행복한 여행을 하는 공정여행이란 여행형태가 시작되었습니다. 최근 국내외 여러 가지 상황으로 관광객이 줄어들어 관광업계가 곤란한 상황인데 반해 과잉관광(Overtourism) 현상으로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한 지역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는 서울뿐 만 아니라 바르셀로나, 베네치아 등 유럽과 아시아의 대도시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작년 서울시는 “모두가 행복한 관광: 대도시와 공정관광, 대도시와 마을여행”을 주제로 제1회 서울공정관광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관광’을 철학 삼아, 대도시에서 공정관광을 실천하는 방법과 이를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올해는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관광을 통해 관광업계, 관광객 그리고 주민이 모두 행복한 꿈을 꿀 수 있는 열 띈 대화의 장이 될 것입니다.
 

 포럼의 준비과정에서 많은 협력과 노력을 아끼지 않은 서울시와 UNWTO 그리고 서울시의 ‘행복한 공정관광’ 여정에 흔쾌히 동의하고 참여한 지자체, 공정관광협회 등 관계자 여러분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2017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 드립니다.

 

2017 서울공정관광국제포럼 조직위원회
 

행사명

 - 국문 ㅣ 2017 서울공정관광국제포럼

 - 영문 ㅣ Seoul International Fair & Sustainable Tourism Forum 2017 (SIFT 2017)

 - 주제 ㅣ 도시관광 :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의제

 - 공식언어 ㅣ 영어
 

일시 및 장소

 - 일시 ㅣ 2017년 9월 7일(목) 10:00 – 18:30

 - 장소 ㅣ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 그랜드볼룸

주최, 후원, 주관

 - 주최 : 서울특별시
 - 후원 : UNWTO
 - 주관 : 서울관광마케팅

프로그램

09:30 – 10:00 등록

10:00 – 11:00 개회식

 - 개회사 : 나효우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 조직위원장, 착한여행 대표)

 - 환영사 : 박원순 (서울시장)

 - 축사 : Carlos Vogeler (UNWTO 사무차장)

 - MOU 협약식

    – 서울특별시

    – 바르셀로나시

 - 글로벌 캠페인 세리머니

11:00 – 11:10 휴식

11:10 – 12:50 세션 1. 도시관광, 도전과 사례

 - 좌장 : Ary Suhandi (INDECON 대표)

 - 발표자

   – Ernest Cañada (Alba Sud 조정관)

   – 임영신 (이매진피스 대표)

   – Raj Gyawali (Socialtours 대표)

 - [Q&A] 토론 및 질의 응답

12:50 – 14:30 오찬

14:30 – 16:10 세션 2. 도시관광 과제와 전략

 - 좌장 : 김철원 (경희대학교 컨벤션경영학과 교수)

 - 발표자

    – Agustí Colom Cabau (바르셀로나 시의원)

    – 심창섭 (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이훈 (한양대학교 관광학과 교수)

    – Ary Suhandi (INDECON 대표)

 - [Q&A] 토론 및 질의 응답

16:10 – 16:25 커피 브레이크

16:25 – 18:05 UNWTO 공동세션 모두를 위한 관광

 - 좌장 : Carlos Vogeler (UNWTO 사무차장)

 - 발표자

   – Anna Grazia Laura (유럽 접근가능한 관광 네트워크 대표)

   – Joseph Kwan (Universal Design & Accessibility Consultants, Ltd. 상무이사)

   – Rosa Suriñach (UN-Habitat 대외협력 조정관)

   – 박재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패럴림픽통합부 접근성증진팀 팀장)

 - 토론자

   – 홍서윤 (장애인여행문화연구소 대표)

 - [Q&A] 토론 및 질의 응답

18:05 – 18:30 마무리 세션

 - 발표자

   – 한범수 (경기대학교 관광문화대학 학장)

   – 나효우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 조직위원장, 착한여행 대표)

 - [Q&A] 질의 응답

※ 상기 일정은 추후 변동 될 수 있습니다.
 

 # 원문 출처 : 이매진피스 (http://www.imaginepeace.kr/?p=2395)





<유엔인권정책센터 사무국 활동가 전원 사퇴를 통해 본 조직내 민주주의를 위한 간담회>

* 일시: 9월 7일(목) 저녁 7시

* 장소: 인권재단사람 2층 한터홀 

* 사회: 미류(인권운동사랑방)
 

* 발표

1. 코쿤 사무국 활동가 전원 사퇴 배경 및 쟁점 _ 코쿤 전 사무국 활동가 

2. 손잡고 문제에 비춰본 조직내 민주주의 _ 윤지선 활동가

* 토론

1. 평화박물관 이후 무엇이 달라졌나 _ 조은 (평박 전 활동가)

2. 시민사회활동가 대나무숲이 지금 우리에게 말하는 것 _ 혜만 (시민사회활동가 대나무숲)

3. 인권있는 인권 조직,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_쥬리 (아수나로) 

4.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나? _ 이승훈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 전체토론

-------------------------------------------------------------------------------------

** 아래 링크를 통해 간담회 사전 신청을 받습니다.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f3QYLAqYi88PexEYd5j8qTcFlivBBh9Y1MhJ10XLxRfCoVbQ/viewform?c=0&w=1

 

 # 원문 출처 : https://www.facebook.com/klee0807 (Kawon Lee 님의 페이스북)








[아쇼카 한국] 제1회 Change Talk. 체인지메이커, 영감을 말하다

"Everyone A Changemaker"
쇼카 한국의 '체인지메이커스' 공간 오픈을 기념한 자리에 오셔서 함께 자리를 빛내주세요.
인도 아쇼카 펠로우 안슈 굽타(Anshu Gupta)와 최진석 건명원 원장의 강연, 창의와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명상과 네트워킹 시간이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2017년 9월 11일 (월), 6:30 PM ~ 9:00 PM
 - 장소 : 헤이그라운드 B1 체인지메이커스 영감홀 (2호선 뚝섬역)
 - 참가 신청 : https://goo.gl/fqRRBH
 - 주최 : 아쇼카 한국

 *선착순 마감이오니 빠른 신청 부탁드려요.
 *9/6(수) 자정 마감. 조기 마감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사전 신청자 중, 못 오시는 분들은 메시지를 남겨주세요.

 # 원문 출처 : 아쇼카 한국 (https://m.facebook.com/ashokakorea/posts/880090558820949)





| 열린세미나 20 |

도시와 성매매, 여성인권 사이에서

 

발표 : 이하영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부설 여성인권센터 보다)
 

안녕하세요,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의

20회 열린세미나 "도시와 성매매, 여성인권 사이에서"에 초대합니다.

 

일시. 2017년 9월 13일(수) 오후 7:00~8:30

장소. 서울혁신파크 미래청(1동) 2층 작은이야기방1

참여.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무료)

주최.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

문의. soinnolab@gmail.com

# 사전 신청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ciluQjWa8tYRcSbK05p2kXdnGU-I1yrCyOfeu_iKtYtZreA/viewform?usp=send_form

# 원문 출처 : 사회혁신리서치랩 (http://soinnolab.net/)







[2017 NPO 국제 컨퍼런스] 변화는 어디서 오는가? - NPO가 마주한 변화와 내일을 위한 실천 과제

 - 일시 : 2017년 9월 13일(수) 10:00~17:30
 - 장소 : 백범김구기념관
 - 주최 : 서울시 / 주관 : 서울시NPO지원센터
 - 협력단체 : 씨닷, 진저티프로젝트, 다음세대재단, 알트랩
 - 사전 등록하기 : http://bit.ly/2wr2uwP
 - 공식 사이트 : www.npoconference.kr
 - 문의 : conference@seoulnpocenter.kr, 02-2231-6033

 # 원문 출처 : 2017 NPO 국제 컨퍼런스 (http://npoconference.kr/)

 



 

배다리마을, 공유의 다리를 잇다

: 인천 배다리마을 운동과 공유지

 

안녕하세요,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의 워크숍 "배다리마을, 공유의 다리를 잇다"에 초대합니다.

 

| 발표 |

"배다리마을 지키고 가꾸기 10년의 활동과 산업도로 부지 이야기"

(민운기 | 스페이스 빔 대표)

"마을에서 사람을 잇고, 공간을 나누다"

(권은숙 | 배다리 생활문화공간 <달이네> 운영자)

| 토론 |

김상철(경의선공유지시민행동), 장훈교(사회혁신리서치랩)

| 사회 |

박미리(사회혁신리서치랩)

 

일정. 2017.9.14.(목) 오후 3시~5시

장소. 서울혁신파크 미래청 2층 큰이야기방2

주최.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

문의. soinnolab@gmail.com

웹사이트. http://soinnolab.net/

# 사전 신청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caQBH_ktXfXcy8JLtfViP0cPnX7GzOrfn0XBNA9F4OpMfWA/viewform

# 원문 출처 : 사회혁신리서치랩 (http://soinnolab.net/)





<젠트리피케이션 예방 • 대응 매뉴얼(임차상인 편)> 발행기념회

 

_일시 : 2017년 9월 14일 목요일 오후 5-7시

_장소 : 서교예술실험센터 지하1층 다목적실

_주최 : 하마들(구본기생활경제연구소, 둘셋, 문학중심 유음)

_후원 : 서울문화재단

_문의 : 정현석(유음 출판사 발행인, the.yueum@gmail.com)

_참가 신청 : https://goo.gl/forms/rWVoaKfo6GelR6sl1

_보도 자료 : http://naver.me/GTTK5TIa

 

 젠트리피케이션을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을까요. 젠트리피케이션은 다양한 개념으로 쓰이고 있지만, 비자발적 이주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첫 번째 매뉴얼은 한국에서 유독 문제시되고 있는 건물주로부터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임차상인들을 위해 제작했습니다.

 

 우리는 임차상인이 임대차보호법을 미리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여러 사태에서 경험한 바 있습니다. 임차상인이 아니더라도 내가 아끼는 가게에 본 매뉴얼을 전해 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만들었습니다. 발행기념회, 보러 오세요.


 # 원문 출처 : 문학중심 유음 (https://www.facebook.com/the.yueum/)
 

 

 




활동가와 0000 사이 - 13 IDENTITY 활동가

활동가와 시민, 활동가와 노동자, 활동가와 처장, 동료와 꼰대, 활동가와 전문가, 활동과 퇴근, 도덕적 의무감과 욕망, 정년과 명퇴(용퇴), 활동가와 민주정부, 활동과 성장, 협력과 효율, 권리와 책임, 메이커와 요구 사이 등등 활동가들은 다양한 정체성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새롭게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활동가들의 욕구와 현실 속에서 괴리감을 줄여나가며, 활동가들이 스스로 시민운동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이 자리를 통해 활동가들이 서로의 고민을 나누며 빈 곳을 채워갈 수 있는 네트워크가 새롭게 형성되길 기대한다.

<함께 만들고 실천하는 '어떤' 조직문화>
 2017년 9월 14일, 목요일 오후 2시​, 장소 추후 공지

 - 세부 프로그램
  · 소개 시간 : 난 '어떤' 사람
  · 생각 나눔 : 내가 바라는 '어떤' 조직 문화
  · 자기 진단 : 스펙트럼 게임, 빙고 게임
  · 강의 : '어떤' 이에게 듣는 '어떤' 조직

<활동가와 '밝은 미래' 사이>
 2017년 9월 28일, 목요일 오후 2시, 장소 추후 공지

 - 세부 프로그램

  · 소개 시간 : 내가 생각하는 10년 후 모습

  · 모둠 논의를 위한 이그나이트
    > 최저 임금 1만원 시대, 시민단체는 어떻게 대응할까?
    > 50대 활동가를 꿈꾼다 : 정치인과 어공이 아닌 활동가의 미래
    > 촛불시민정권, 시민사회의 포지셔닝
  · 모둠 논의 

  · 종합 토론 : 활동가,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활동가의 자리매김, 메이커Maker와 옹호자Advocate 사이>
 2017년 10월 12일, 목요일 오후 2시, 장소는 추후 공지

 - 세부 프로그램

  · 소개 시간 : 내 삶을 바꾼 경험

  · 자기 진단 : 문제 재정의 기법을 통한 내가 주력하는 운동 과제 진단
  · 강의 : 사회혁신과 시민운동 _장훈교 

  · 탐방 : 사회혁신운동의 메카, 성수동 탐방

<가을 여행 : 활동가의 쉼, 그리고 내년을 위한 모색>
 2017년 10월 19일~21일, 지리산

 - 세부 프로그램

  · 19일(목) : 시민사회, 활동가 성장을 위해 무엇을 갖출 것인가?

  · 20일(금) : 모둠/개인별 지리산 단풍 여행, 2018 활동가 성장을 위한 나의 준비 

  · 21일(토) : 지리산 권역에 부는 변화의 바람 탐방

<프로그램 신청>
 - 시민사회 활동가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
 - 각 프로그램마다 개별 신청 가능, 3개 프로그램 모두 듣는 사람 우대
 - 9월 6일까지 링크를 통해 신청 (https://goo.gl/CJvp2Z)
 - 문의 : 김모드 활동가 (010-2944-4917)

 # 원문 출처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http://www.civilnet.net/xe/now1_news/173286)

 




역사문제연구소 인권간담회

도시개발과 인권 – 청량리 재개발과 성매매집결지 여성의 삶

 

강연 : 고진달래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활동가)

일시 : 2017년 9월 18일(월) 저녁 7시

장소 : 역사문제연구소 5층 관지헌 (제기동역 1번 출구)

 

역사문제연구소가 올해 인권간담회를 개최합니다. 지난해에는 연구소 동네인 제기동의 서울발달장애인훈련센터 설립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올해에도 우리 동네의 변화와 인권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자 합니다. 서울 북부지역은 재개발이 지금도 한창 진행 중입니다. 청량리 지역은 ‘588’로 불렸던 성매매 집결지 혹은 여성들의 삶의 공간이 철거되었습니다. 한편, 여전히 이곳에 사람이 살고 있습니다. 용두동에 터전을 두고서 성판매자 지원과 연구를 하고 있는 ‘이룸’이 청량리 재개발 지역에 사는 여성들과 만나고 대안을 모색 중입니다. 이룸과의 간담회를 통해 도시개발이 초래하는 인권 침해의 문제, 성매매 집결지와 여성들의 삶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겠습니다. 여러분의 참석을 환영합니다!

 

* * * 

연구소가 제기동에 자리잡은지도 3년, 제기동과 도로 하나 사이의 청량리, 그곳에 있다는 것은 늘 알았지만, '보이지 않았던 곳' 혹은 '보려 하지 않았던 곳'. 왜였을까 생각해봅니다. 고민하고 만나고자, 강연을 듣고 이야기 나누려 해요~ 많은 관심과 참석 바랍니다.

 

 - 포스터 제작 : 검은네모단

 

# 원문 출처 : 역사문제연구소 (https://www.facebook.com/kistorypage/)

 
 

 




[한국독립영화협회 16회 독립영화의 날]
비평하는 페미니즘 : 한국 독립영화 속 여성주의 시선들

2017년 9월 18일(월) 19:30~21:30, 홍대 미디액트

 열여섯 번째 독립영화의 날에는 한독협 성평등위원회와 비평분과 주최로 <비평하는 페미니즘 : 한국 독립영화 속 여성주의 시선들> 포럼을 엽니다. 성평등위원회 위원장인 남순아 감독의 사회로 두 번의 발제와 토론이 이어집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한국독립영화협회 독립영화의 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독립영화인들과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기적인 행사입니다. 한독협 회원을 포함해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1. 상대적이거나, 수동적이거나
  - 최근 한국 독립영화 속의 여성 캐릭터들
 · 발제 : 성상민 평론가 (한독협 비평분과)
 · 토론 : 세컨드필름매거진 장은진 에디터

2. 여성주의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
 · 발제 : 권진경 평론가 (한독협 비평분과)
 · 토론 : 마민지 감독 <버블 패밀리>
 

* 신청 : http://bit.ly/2eGOJTg
* 사회 : 남순아 감독 <아빠가 죽으면 나는 어떡하지?>
* 주최 : 한국독립영화협회 성평등위원회X비평분과

 # 원문 출처 : 한국독립영화협회 (
https://www.facebook.com/kifv01/​)

 




2017 성평등한 사회를 위한 성폭력 판례뒤집기 토론회 

<피해자 권리 상실 삼각지대, 준강간>

 

일시 : 2017년 9월 19일 오후 3시~6시

장소 : 서울혁신파크 청년허브 다목적홀 (불광역 2번 출구)

문의 : 성문화운동팀 박아름(02-338-2890, ksvrc@sisters.or.kr)

주최 : 한국성폭력상담소

후원 : 서울특별시 성평등기금

* 토론회 자료집에는 지난 6월 2일 진행하였던 모의법정 대본 및 판결문도 함께 수록될 예정입니다.

* 사전신청 링크 : https://goo.gl/forms/ArAUEaC0m528vdlY2
 

▶진행순서

 - 사회 : 김혜정(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

 - 발제1. 친고죄 폐지 이후 준강간의 판결 동향 : 박아름 (한국성폭력상담소 성문화운동팀)

 - 발제2. 취한 사람은 동의할 수 없다 : 이은의 (이은의 법률사무소 변호사)

 - 토론1. 블랙아웃이 왜 무죄의 근거가 되어야 하는가? : 이원윤 (페미니스트 의사)

- 토론2. 피해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는 판결들 : 배복주 (장애여성공감 대표)

쉬는 시간

 - 발제3. '피해자다움'과 '가해자다움'에 대한 통념 : 추지현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 토론3. #그건_강간입니다 : 최영지 (한국성폭력상담소 여성주의상담팀)

 - 토론4. 무고는 어떻게 피해자의 권리 보장을 가로막는가? : 김홍미리 (여성주의 연구활동가)

종합 토론

 

# 원문 출처 : 한국성폭력상담소 (https://www.facebook.com/ksvrc1991/)

 




[2017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국제학술회의]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 의미와 쟁점

 - 2017년 9월 21일(목)~22일(금)

*9월 21일 목요일 (13:30~18:00,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9월 22일 금요일 (13:30~18:00, 서울대학교 근대법학교육백주년기념관 최종걸홀)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에 대하여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는 자리가 서울대학교 인권센터에서 마련됩니다. 희망법 조혜인 변호사를 비롯해서, 고려대 이준일 교수, 숙명여대 홍성수 교수, 박주민 의원 등 국내외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2017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국제학술회의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 의미와 쟁점']이 오는 21일과 22일 양일간 서울대학교에서 열립니다. 지난 대선 이후 우리 사회에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차별금지법의 필요성과 그 나아갈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 원문 출처 :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
https://www.facebook.com/HopeandLaw​)

 

 









서울 청소년 창의서밋 :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 2017년 9월 22일(금) / 9월 23일(토), 하자센터


 올해로 9회를 맞는 창의서밋은 지난 2013년부터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라는 큰 주제 아래 진행되어 왔습니다. 올해의 주제는 9년 동안의 서밋에 답장을 보내는 마음으로 Re:, 다시금 창의성을 통해 서로의 힘을 북돋고 Re:CREATIVE, 경계를 넘어 사유하고 실천하며 Re:BOUND, 스타트업처럼 가볍게 새로 시작하고 Re:START:UP, 공통의 기억을 통해 연대를 모색해보려 합니다 Re:MEMBER.
 청소년과 우리 사회의 진로에 대한 고민과 실천을 풀어놓는 배움과 축제의 장인 창의서밋에 모든 분들을 반가운 마음으로 초대합니다.

 # 원문 출처 : 2017 서울청소년 창의 서밋 (http://summit2017.haja.net/)
 

 




[디지털 성범죄 심포지엄] 매개되는 욕망, 거래되는 몸 : 한국과 일본의 성매매, 디지털 성폭력 실태

 - 2017년 9월 23일, 오후 1시 45분~6시, 중앙대학교 310관 B502호

 1부. 디지털 성범죄 실태 (13:45~15:40)
 - 사회자 : 이나영(중앙대 사회학과)
 - 일본 JK비즈니스와 소녀들의 현실, 니토 유메노 (Colabo)
 - 일본 AV산업 실태와 피해사례, 가나지리 가즈나 (PAPS)
 - 한국 디지털 성폭력의 실태, 하예나 (DSO)
 - 한국 성매매 산업과 디지털, 이하영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쉬는 시간 (15:40~16:00)

 2부. 주제 토론 및 플로어 토론 (16:00~18:00)
 - 사회자 : 변정희(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
 - 일본의 성노동(Sex Work)론, 오노자와 아카네(릿쿄대)
 - 일본 AV산업과 페미니즘, 김부자(도쿄외국어대)
 - 한국 성매매/디지털 성폭력 법의 현황과 과제, 장임다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한국 10대 성매매 실태와 대책, 조진경 (십대여성인권센터)

주관 : CAU중앙대 사회학과 BK21, 디지털성범죄아웃 DSO
주최 : 디지털성범죄아웃 DSO, 성매매문제해결을 위한 전국연대, 정의기억재단, 십대여성인권센터, 희망의 씨앗, 콜라보
후원 : 서울시


 # 원문 출처 : 디지털성범죄아웃 DSO (https://www.facebook.com/stopsoranet/)





[경기도 국제 공정무역 컨퍼런스]
경기도, 공정무역을 품다


 · 일시 2017년 9월 26일(화) 오전 9시~16시(오전 9시~오전 10시는 등록 시간)
 · 장소 : 경기도 문화의 전당 (수원/분당선 수원시청역 10번 출구에서 5분 거리)
 · 프로그램
   1) 개막식 및 경기도 공정무역 도시 추진 선언식
   2) 기조 발제 (캐롤 윌스 : 기후변화, 난민 문제 등 세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공정무역의 역할)
   3) 점심 시간
   4) 그룹 강연 (5개 세션 동시 진행, 세션별 신청)
     - 1세션 (제랄드 고드뢰이유 : 사회적 경제와 공정무역의 협력 방안)
     - 2세션 (션 맥휴 : 공정무역 커뮤니티 운동_캐나다 공정무역 학교 사례)
     - 3세션 (힐다 카두야 : 공정무역을 통한 생산지 지역 변화_필리핀 사례)
     - 4세션 (나세르 아부파하 : 공정무역을 통한 생산지 지역 변화_팔레스타인 사례)
     - 5세션 (크리스틴 젠트 : 공정무역 공공 조달과 입법 제도 현황과 과제)
​ · ​마무리 토론+폐막식 (오후 4시에 폐막식 포함 모든 프로그램 종료)

*공정무역을 이해하고, 공정무역 상품을 사용하며 빈곤과 환경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습니다. 더불어 지역 풀뿌리 운동을 통해 평등, 공정, 민주주의를 확산시킬 수 있죠. 그 첫 번째 발걸음인 <경기도 국제 공정무역 컨퍼런스>, 놓치지 마세요. 9월 20일 신청 마감.
* 바로 신청하기 : https://goo.gl/6MHWKz

 # 원문 출처 : 한국공정무역협의회 (http://fairtradeday.blog.me/221089965406)





[피스모모 창립 5주년 기념 컨퍼런스]

전쟁의 북소리에 춤추지 않는 교육
 - 부제 : 비판적 교육학과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민교육의 실천과 도전


*언제 : 2017년 9월 28일(목) 오후 1시 30분~6시
*어디서 : 서울시 청년허브 다목적홀 (3, 6호선 불광역, 2번 출구)
*누가 : 변화된 교육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관심 있는 사람, 평화-안보 영역의 시민참여와 그것을 위한 교육적 개입에 관심 있는 사람, 시민교육·비판적 교육학 또는 평화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참가신청 : 피스모모 홈페이지 (www.peacemomo.org)
*내용
 - 축사 :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 기조연설_교육은 사회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 마이클 애플
 - 분단과 군사주의를 넘어서는 시민교육 : 김엘리
 - 평화교육과 비판적 페다고지 : 이대훈
 - 질의응답 & 그룹토론
 + 컨퍼런스 종료 후, 모모 창립 5주년 후원의 밤 행사가 이어집니다.
*후원 : 서울시 청년허브, 아름다운 가게

 # 원문 출처 : 피스모모 (
http://www.peacemomo.org/boardPost/101739/14​)


 # 9월에 진행되는 국내 포럼·심포지엄·컨퍼런스 중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들을 위한 행사들을 한 데 간추려 모아보았습니다. 새로운 행사가 업데이트 될 시, 계속 추가해 모음으로 올려둘 예정입니다.


글쓴이 _쑥
서울시NPO지원센터 아카이브 큐레이터. 봄철에 먹는 향긋한 쑥국을 좋아합니다.
한국여성의전화에서 진행하는 20대 여성인권활동가 아카데미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 페미니즘, 소수자에 관심이 많습니다.


작성자 : / 작성일 : 2017.09.02 / 수정일 : 2021.12.27 / 조회수 : 18880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목록으로